728x90
책소개
한 줄의 글로 인생관을 바꾸어 놓은 명구가 있는가 하면, 한 권의 책이 인류 역사를 변혁시켜 놓은 것도 허다하다. 이렇듯 언제 어디서 무슨 책을 어떻게 읽고 감화를 받았느냐에 따라 인생의 목표가 갈라진다.
이 책은 크게 한국편, 중국편, 서양편으로 나뉘어 동서양을 아우르고 시공간을 뛰어넘어 인간의 지혜를 밝혀 줄 명저들을 모아 놓고 있다. 한국편에서는 고대 역사서인 삼국사기, 삼국유사를 비롯하여 조선시대 이기론의 중심에 있는 이황과 이이의 각기 다른 철학과 실학자 정약용의 사상 등을 포함한 23가지 이야기를, 중국편에서는 우리에게 익숙한 공자, 맹자, 노자, 장자의 교육 철학을 비롯한 13가지 이야기를, 서양편에서는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을 시작으로 29편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 책에 소개되는 우리의 문화유산인 명저들을 통해서 삶을 살아가는 지혜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크게 한국편, 중국편, 서양편으로 나뉘어 동서양을 아우르고 시공간을 뛰어넘어 인간의 지혜를 밝혀 줄 명저들을 모아 놓고 있다. 한국편에서는 고대 역사서인 삼국사기, 삼국유사를 비롯하여 조선시대 이기론의 중심에 있는 이황과 이이의 각기 다른 철학과 실학자 정약용의 사상 등을 포함한 23가지 이야기를, 중국편에서는 우리에게 익숙한 공자, 맹자, 노자, 장자의 교육 철학을 비롯한 13가지 이야기를, 서양편에서는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을 시작으로 29편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 책에 소개되는 우리의 문화유산인 명저들을 통해서 삶을 살아가는 지혜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목차
머리말
Part 01 한국편
제1장 원효의 '대승기신론소'
제2장 지눌의 '교육사상'
제3장 최치원의 '삼교사상'
제4장 서경덕의 '자연철학관'
제5장 삼국사기의 '교육사상'
제6장 삼국유사의 '역사의식'
제7장 이황의 '교학사상'
제8장 이율곡의 '교육사상'
제9장 유성룡의 '징비록'
제10장 최한기의 '기철학'
제11장 정약용의 '목민심서'
제12장 신채호의 '조선상고사'
제13장 박은식의 '한국통사'
제14장 한용운의 '조선불교유신론'
제15장 이승훈의 '교육사상'
제16장 안창호의 '교육정신'
제17장 남궁억의 '교육관'
제18장 함석헌의 '씨? 교육사상'
제19장 이중환의 '택리지'
제20장 '동학사상'과 '민족교육'
제21장 '한사상'과 '퍼지이론'
제22장 한국인의 '굿문화'
제23장 한국의 '풍수사상'
Part 02 중국편
재1장 공자의 '교육철학'
제2장 노자의 '교육철학'
제3장 맹자의 '교육사상'
제4장 장자의 '내편교육'
제5장 주자의 '성리사상'
제6장 순자의 '인성교육관'
제7장 사마천의 '사기'
제8장 임어당의 '생활의 철학'
제9장 시경의 '사상'
제10장 주역사상에서 본 '인간'
제11장 도덕경의 ‘도덕사회’
제12장 중용사상과 인간
제13장 아Q정신의 연구
Part 03 서양편
제1장 마키아벨리의 '군주론'
제2장 비트겐슈타인의 '논리철학 논고'
제3장 베버의 '기독교적 직업윤리'
제4장 스티븐 호킹의 '시간이란 무엇인가'
제5장 밀의 '자유론'
제6장 단테의 '신곡'
제7장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론'
제8장 헤겔의 '철학강요'
제9장 루소의 '인간불평등기원론'
제10장 루소의 '사회계약론'
제11장 스미스의 '국부론'
제12장 쇼펜하우어의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제13장 하르트만의 '미학'
제14장 코메니우스의 '분석교육학'
제15장 듀이의 '민주주의와 교육'
제16장 헤르바르트의 '교육사상'
제17장 피히테의 '국민교육사상'
제18장 페스탈로치의 '교육철학과 교수방법론'
제19장 프뢰벨의 '인간의 교육'
제20장 칸트의 '순수이성비판'
제21장 다윈의 '종의 기원'
제22장 데카르트의 '방법서설'
제23장 사르트르의 '존재와 무'
제24장 베이트슨의 '마음의 생태학'
재25장 토인비의 '현대문명비판'
제26장 토플러의 '권력이동시대'
제27장 모어의 '유토피아'
제28장 간디의 '비폭력사상'
제29장 톨스토이의 '인생론'
Part 01 한국편
제1장 원효의 '대승기신론소'
제2장 지눌의 '교육사상'
제3장 최치원의 '삼교사상'
제4장 서경덕의 '자연철학관'
제5장 삼국사기의 '교육사상'
제6장 삼국유사의 '역사의식'
제7장 이황의 '교학사상'
제8장 이율곡의 '교육사상'
제9장 유성룡의 '징비록'
제10장 최한기의 '기철학'
제11장 정약용의 '목민심서'
제12장 신채호의 '조선상고사'
제13장 박은식의 '한국통사'
제14장 한용운의 '조선불교유신론'
제15장 이승훈의 '교육사상'
제16장 안창호의 '교육정신'
제17장 남궁억의 '교육관'
제18장 함석헌의 '씨? 교육사상'
제19장 이중환의 '택리지'
제20장 '동학사상'과 '민족교육'
제21장 '한사상'과 '퍼지이론'
제22장 한국인의 '굿문화'
제23장 한국의 '풍수사상'
Part 02 중국편
재1장 공자의 '교육철학'
제2장 노자의 '교육철학'
제3장 맹자의 '교육사상'
제4장 장자의 '내편교육'
제5장 주자의 '성리사상'
제6장 순자의 '인성교육관'
제7장 사마천의 '사기'
제8장 임어당의 '생활의 철학'
제9장 시경의 '사상'
제10장 주역사상에서 본 '인간'
제11장 도덕경의 ‘도덕사회’
제12장 중용사상과 인간
제13장 아Q정신의 연구
Part 03 서양편
제1장 마키아벨리의 '군주론'
제2장 비트겐슈타인의 '논리철학 논고'
제3장 베버의 '기독교적 직업윤리'
제4장 스티븐 호킹의 '시간이란 무엇인가'
제5장 밀의 '자유론'
제6장 단테의 '신곡'
제7장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론'
제8장 헤겔의 '철학강요'
제9장 루소의 '인간불평등기원론'
제10장 루소의 '사회계약론'
제11장 스미스의 '국부론'
제12장 쇼펜하우어의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제13장 하르트만의 '미학'
제14장 코메니우스의 '분석교육학'
제15장 듀이의 '민주주의와 교육'
제16장 헤르바르트의 '교육사상'
제17장 피히테의 '국민교육사상'
제18장 페스탈로치의 '교육철학과 교수방법론'
제19장 프뢰벨의 '인간의 교육'
제20장 칸트의 '순수이성비판'
제21장 다윈의 '종의 기원'
제22장 데카르트의 '방법서설'
제23장 사르트르의 '존재와 무'
제24장 베이트슨의 '마음의 생태학'
재25장 토인비의 '현대문명비판'
제26장 토플러의 '권력이동시대'
제27장 모어의 '유토피아'
제28장 간디의 '비폭력사상'
제29장 톨스토이의 '인생론'
'54.인문교양 (독서>책소개) > 1.인문교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피 인문학 (0) | 2022.07.13 |
---|---|
하루 한 줄 고전 인문학 (0) | 2022.07.03 |
내안의 참나와 주역사상 (0) | 2022.06.21 |
행복의 정복 (러셀) (0) | 2022.06.03 |
인간 도리. 인간됨을 묻다 (0) | 2022.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