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자본.경제.기업. (독서>책소개)/5.경제전망

경제와 미래 (장피에르 뒤피)

동방박사님 2022. 8. 18. 07:14
728x90

책소개

눈먼 낙관론에서 합리적 비관론으로
정치까지 경제에 잠식당한 우리 사회는 미래가 없다

프랑스 철학자 장 피에르 뒤피가 규제할 수 없는 ‘경제’로 인해 우리 사회가 맞닥뜨린 문제를 조명한다. 그는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경제가 차지하고 있는 위상을 먼저 문제 삼는다. 경제의 위상은 그 한계를 크게 벗어나 있으며 사회 전반과 개인적 삶을 완전히 장악하려 하고 있다는 비판이다. 게다가 경제는 정치를 말 잘 듣는 도구로 여긴다.

더 심각한 문제는 사람들이 그것을 그저 받아들이고 있다는 것이다. 경제와 사회의 뒤바뀐 위상을 되돌려 놓기 위해 저자는 ‘합리적 비관론’ 혹은 ‘식견 있는 비관론’이라는 개념을 제시한다. 사회 구성원들이 원자력 발전과 핵무기, 그리고 기후 변화가 가까운 미래에 큰 재앙을 일으킬 수 있음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수용의 전제 조건은 무엇보다 정치인들이 더 이상 경제에 굴복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중대한 재앙이 임박해 있음을 알려 주는 정보가 도처에 널려 있어도 우리는 그 사실을 믿지 않으려 한다. 지식이 믿음으로 바뀌지 않기 때문에 행동하지 않는 것이다. ‘합리적 비관론’이 취하는 방법은 재앙의 도래가 ‘우리의 운명인 것처럼’ 생각하는 것인데, 이때의 운명은 우리가 자유롭게 거부할 수 있는 운명이다. 저자는 최악의 경우를 반드시 일어날 수 있는 일로 간주함으로써 그것을 막기 위해 모든 지능과 상상력, 결단력을 동원할 것을 역설한다. ‘합리적 비관론’을 통해 우리 스스로 예상한 미래를 이끌어가야 한다는 것이다.

 

목차

서문: 정치, 경제의 현혹에서 벗어나기

1장 경제와 악의 문제

1. 악의 문제
2. 경제의 폭력
3. 폭력으로부터 우리를 지켜주는 경제
4. 경제와 성스러움
5. 경제의 자기 초월성과 패닉
6. 경제에 의한 윤리의 타락

2장 자기 초월성

1. 가격의 자기 초월성
2. 자기 초월로서의 미래
3. 금융 위기에 대한 공적 발언
4. 대참사와 의사소통
5. 말 없는 자기 초월성
6. 고문의 아바타들
7. 정치적 자기 초월성

3장 종말의 경제와 경제의 종말

1. 앞날의 문제
2. 경제와 죽음
3. 통계상 사망과 가상 사망의 경제
4. 기다림: 자신의 죽음과 거품 붕괴
5. 종말의 경제

4장 경제 이성 비판

1. 칼뱅주의 선택의 비합리성과 자본주의의 동력
2. 예정설 선택하기
3. 허위의식과 칼뱅의 선택
4. 개인주의라는 거짓말

결론: 운명론에서 벗어나기
부록: 시간의 역설

옮긴이의 글: 경제에 던지는 관념적 포고문
찾아보기
 

저자 소개

저 : 장 피에르 뒤피 (Jean-Pierre Dupuy)
 
파리 공과대학(에콜폴리테크니크)과 스탠퍼드 대학의 명예교수. 현대 프랑스를 대표하는 철학자로 1941년 파리에서 태어나 파리 공과대학을 졸업했다. 주로 사회 철학과 정치학, 과학기술 윤리를 강의했다. 주요 저서로 《질서와 무질서 Ordres et Desordres》(1976), 《사물의 지옥 L’enfer des choses》(1979, 공저), 《양식 있는 재앙론을 위하여 Pour un catastrophism...

역 : 김진식

 
울산대학 프랑스학과 명예교수. 서울대학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저서로 《르네 지라르에 의지한 경제논리비판》(2005), 《알베르 카뮈와 통일성의 미학》(2005), 《르네 지라르》(2018), 《모방이론으로 본 시장경제》(2020)가 있다. 역서로 《폭력과 성스러움》(1993), 《희생양》(1998), 《알베르 카뮈: 부조리와 반항의 정신 1·2》(2000), 《나는...
 

책 속으로

경제학자들의 임무는 경제를 제대로 감독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경제학자들이 오늘날 일어나고 있는 터무니없는 사태의 의미를 설명해줄 것이라고 기대한다. 하지만 그런 사태에 관해 전혀 설명할 수 없다는 사실을 제일 먼저 고백하는 사람이 바로 경제학자들이다. 그런데도 그들의 콧대는 수그러들 줄 모른다.
--- p.8

진정한 숙명론자는 흔히 짐작하는 그런 사람이 아니라 경제에 현혹된 세계에 존재하는 가짜 개인주의의 희생양으로서 여러 개의 세탁비누 중 하나를 선택하는 슈퍼마켓의 자유와 진정한 자유를 혼동하고 있는 사람이라는 생각이 그것이다.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밀턴 프리드먼이 말하는 ‘선택의 자유’가 바로 슈퍼마켓의 자유이다.
--- p.16

경제에는 폭력이 내재되어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경제가 폭력을 저지한다는 것 또한 사실이다. 경제에 의해 폭력이 억제될 수 있어 사회 질서의 붕괴도 막을 수 있음이 드러나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악에 대한 경제의 양면성은 폭력에 대한 성스러움의 양면성의 관계와 같다.
--- p.42

경제 이론이 은연중에 윤리를 권장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달리 무슨 말을 할 의욕도 생기지 않는다. 경제는 파괴적 정념이 빚은 폭력에 대한 해결책으로 도피와 배제를 들고 있다. 그렇다면 저 지하에서 올라오는 악을 피하고자 사람들이 좀비로 변해야 한다는 말일까?
--- p.53~54

평범한 우리가 보기에 가장 뛰어난 예언자는 사실 자기 말의 결과를 계산하는 사람이 아니라 아주 단순하게 미래가 어떻게 될지를 알거나 예측하는 사람일 것이다. 이런 사람을 우리는 전문가라고 부른다.
--- p.76

경제는 르네 지라르가 말하는 ‘모방 욕망’이 마음대로 뛰노는 공간이라 할 수 있다. 모방은 광고가 부추기는 유행 현상에서 뚜렷이 드러난다. 모방은 또 지식인 사회와는 달리 경쟁자 모방을 감추지 않는 비즈니스 세계에서 더 분명히 드러난다. 케인스도 잘 이해했듯이 더 섬세하게는 철저히 불확실한 상황에 놓여 있을 때 모방은 하나의 규칙과 같은 역할을 한다.
--- p.92

경제적 합리성이 이 일자리를 가능한 한 없애야 하는 뼈아픈 고문으로 만들고 있기는 하지만 말이다. 이 모순은 자본주의 가 안고 있는 풀기 어려운 문제다. 이 문제는 아마도 문화의 변화만이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 p.105

경제에서는 모든 게 끝났다. 경제는 점점 더 공공연하게 정치를 조롱하면서 이를 자랑스럽게 여기고 있다. 경제는 때로는 정치를 물리칠 수 있다는 것을 자랑하기도 하고 또 그러다가 어떨 때는 정치에 단역을 떠넘긴다. 경제는 겁주기를 즐기고 사람들은 경제를 두려워한다. 경제가 불안해할까봐 조심스러운 행보를 하는 무능한 정치인들보다 경제를 기쁘게 하는 것은 없다. 그런데 경제는 잘못을 저질렀다.
--- p.118

위기가 극복될 기미가 보일 때마다 각종 경제 단체 회원들은 최악의 사태는 일어나지 않았다는 자축의 말을 서로 주고받는다. 그들이 자본주의를 다시 제자리에 올려놓았다고 주장하는 그 레일이 바로 그 순간 자본주의를 깊은 구렁으로 이끄는 것임을 보 지 못한 채 말이다. 그들이 그들 자신에게 보내는 찬사는 차마 듣기 거북하고, 그들의 저서에 그들이 표하는 호의는 비웃음을 자아내게 하고, 그들이 펼치는 낙관론은 기분 나쁘다.
--- p.127

예측 불가능한 사건의 부담감은 그 확률의 진폭 혹은 파급 효과가 낳은 결과다. 그 파급의 폭은 엄청나고 일어날 확률은 낮지만 전혀 없는 것은 아닌 재앙이라면 우리의 기대치에는 아주 큰 가중치가 주어져야 할 것이다. 어떤 재앙이 일어날 확률은 희박하지만 어쩌다 일어난다면 그 그림자는 미래의 전망을 어둡게 뒤덮을 것이기 때문이다.
--- p.143

뉴컴의 역설이 드러나는 조건은 예측에 만족하지 못하고 그들의 예측에 맞추어서 세상을 변화시키는 예측자들이 존재하는 것이다. 신학적으로 말하자면 이들은 바로 섭리의 신과 같다. 그래서 모든 경제 주체들은 이 섭리 속에 존재해야 할 소명 의식을 가져야 하는 식이 된다.
--- p.183

인정받을 만하기를 바라는 욕망은 물론 인정받고 싶어 하는 욕망에 근거한 것이긴 하지만 그 나름의 자율성과 상대적 독립성을 획득하고 있으며, 우리의 의식은 자기 초월을 통해서 평범한 구경꾼들의 판단을 뛰어넘는다는 것을 애덤 스미스는 보여주려 한 것이 아닐까? 그러나 애덤 스미스는 성공하지 못했다. 결국 모든 사람이 바라는 대상이자 우리와 똑같은 입장에 처한 타인들의 시선을 끄는 경제적 부는 모두가 그것을 가졌다는 것을 확신하지도 못하면서 갖기를 원하는 것의 기호라 할 수 있다. 부를 목표로 삼고 소유를 통해서 부를 확인하는 태도는 칼뱅주의 선택과 그 구조는 동일하지만 그 의미는 다르다. 변치 않는 하나님의 결정이 쉽게 변하는 군중들의 판단으로 대체된 것이 그것이다.
--- p.209~210
 

출판사 리뷰

경제의 지배

금융 위기로 전 세계가 공황 상태에 빠지면 시장과 정치는 이를 진정시키기 위해 노력한다. 기자들은 금융 위기를 자연의 맹목적 재앙에 빗대 기사를 쓴다. 과연 경제 시스템은 자연과 같이 인간의 간섭 없이 작동하는 것인가? 《경제와 미래》는 오늘날 우리가 경제에 아무런 역할을 하지 않는 것처럼 여긴다는 데 문제의식을 가진다.

정작 위기가 발생하면 경제는 우리에게 희생을 요구한다. 알다시피 희생은 신성하다고 여겨지는 것에 행해지는 행위다. 저자는 성스러운 것들이 차례차례 물러나며 공석이 된 자리를 비약적으로 발전한 경제가 차지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스스로도 모르는 사이에 완전히 ‘경제인’, 즉 호모 에코노미쿠스가 되어 버린 시민들이 당연하게 여기고 있는 것이다. 단지 경제의 지배에서 벗어나 동떨어진 시선을 가진 사람만이 이러한 경제의 위상에 경악할 것이다.

경제 이성과 정치 이성을 조정하는 ‘미래’

책에 따르면 우리가 맹목적으로 이끌리고 있는 경제의 ‘합리성’의 바탕에는 ‘미래에 의한 조정’이 있다. 경제는 아직 존재하지 않는 미래에 이끌려 가지만 결과적으로 그것을 존재하게 하는 미래에 자신을 투영하고 있다. 일종의 시간 역설이다. 자신의 거짓말을 스스로 맹신하는 ‘뮌하우젠 증후군’이 이 역설의 본보기가 될 것이다.

자본주의 경제에서 중요한 특징은 모든 주체가 자기 초월적 미래라는 같은 이미지를 중심으로 자신의 행동을 조정한다는 것이다. ‘윤리’라고 부르는 만병통치약을 제외하면 해결하지 못할 문제를 해결해 주는 주목할 만한 특징이다. 문제는 자기 초월적 미래가 없었다면 (자본주의가) 제대로 기능하지 못했을 미래에 대한 신뢰와 미래의 무한성이다. 이렇게 해서 경제는 윤리가 되고 정치가 된다고 달리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정치는 시민들로 하여금 자신을 초월하여 미래를 향해 과감히 뛰어들 수 있게 이끌어 주어야 한다. 그러나 지금은 이런 능력을 상실했다. 저자는 정치가 이 능력을 되찾기 위해서 돌아볼 곳은 정치에 남아 있는 성스러운 영역이라고 말한다.

칼뱅주의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슈퍼마켓

미래에 의한 조정은 사전 예정이라 부를 수밖에 없는 것과 경제 주체들이 지닌 선택의 자유를 한데 결합하게 된다. 이것이 경제가 다시 합리적인 것이 될 수 있는 조건들이다. 여기서 칼뱅주의의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의 관련성에 관한 막스 베버의 그 유명한 주장이 등장한다.

저자는 베버의 주장을 되짚어 봄으로써 지금까지 굳건히 서 있던 합리적이고 형이상학적인 원칙들을 하나씩 무너뜨린다. 칼뱅주의의 운명론과 합리적 선택을 설명하기 위해 뉴컴의 역설을 제시하며, 운명론과 자유 의지가 이상한 방식으로 공존하는 실존주의를 살핀다. 즉 사르트르가 ‘허위의식’이라 명명한 바 있는 부정적 진실을 포함한 신념의 문제에까지 이르는 것이다. 많은 의미를 담고 있는 모호한 표현인 ‘미래에 대한 신뢰’가 없으면 경제는 더 이상 작동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저자에 따르면 진정한 운명론자는 흔히 짐작하는 그런 사람이 아니라 경제에 현혹된 세계에 존재하는 가짜 개인주의의 희생양이다. 예컨대 여러 개의 세탁비누 중 하나를 선택하는 슈퍼마켓의 자유와 진정한 자유를 혼동하고 있는 사람이다. 우리 앞에는 언제나 택할 수 있는 수많은 선택지와 수많은 길이 있고, 그래서 우리는 최선의 것을 선택한다고 믿고 있기 때문이다. 평범한 이런 반운명론은 여지없이 지배 전략의 온갖 함정에 빠져버리고 만다.

운명론이 있다고 생각하는 거기에는 운명이 없다

처참한 결과를 피한다고 생각하는 것보다 운명을 거부하는 것이 훨씬 더 어려울 수 있다. 운명으로 표현되는 재앙은 사람들로부터 더 많은 신뢰를 받을 수 있다. 재앙이 확실하다는 신뢰가 생겨나면 움직임이 촉발될 것이다. 재앙을 막아 내는 데 필요한 우리의 모든 능력이 발휘될 것이다. 그러므로 이 방법은 운명론을 제외한 모든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운명이라는 허구에 의지하는 이런 방법은 ‘2보 전진을 위한 1보 후퇴’라는 라이프니츠의 말처럼 일종의 ‘우회’라고 할 수 있다. 필연에 대적할 수 있는 참된 자유의 수단을 획득하기 위해 통속적이고 ‘가벼운’ 개념의 자유를 멀리하는 것. 그것이 우리의 첫걸음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