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한국역사의 이해 (독서>책소개)/1.고대.삼국.신라

고대 군사사와 동아시아 (한국고대사탐구학회)

동방박사님 2022. 11. 24. 22:20
728x90

책소개

동아시아 군사사를 돌아보며

이 책은 동아시아의 고대 군사사에 대해 연구하여 온 열네 명의 저자가 2016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고대사탐구(韓國古代史探究)에 게재하였던 14편의 군사사 관련 논문들을 정리, 종합하여 출판하는 책이다. 이 책에 실린 논문의 저자들은 현재 동아시아 각국의 고대사에 대해 중진으로서 지속적인 연구를 계속해 온 이들부터 신진으로서 참신한 견해들을 펼치고 있는 이들까지 다양한 구성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그 연구 대상 또한 고대 한반도와 요동 지방은 물론 서주시대의 중국과 9세기의 일본에 이르기까지 폭 넓은 시공간에 걸쳐있다.

이 글에 실린 논문들은 기본적으로 연구 대상의 시간적인 순서에 따라 배치되어 있지만, 그럼에도 동아시아의 역사적 변천에 따라 일정한 시대적 경향성을 읽어낼 수 있다. 가장 먼저 소개되는 논문들은 고대 동아시아 세계에서 다양한 국가와 정치체들이 전쟁의 주체로 성장하는 과정과 그 성장 과정에서 맺어졌던 다양한 국제 관계에 대한 논문들과 이어서 고대 국가가 성숙해 나가는 과정에서 군사(軍事)가 어떻게 국가제도의 일환으로서 정비되어 나가는지에 대한 글과 한반도를 중심으로 한 6~7세기의 국가에서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핀 글들이 실렸다. 다음으로 신라와 당에 의해 백제 고구려가 멸망한 이후 신라가 당의 확장주의 정책을 저지하고 자국의 자립성을 대외적으로 확고히 하여 나가는 시기에 대해 분석한 논문들이 실렸으며, 마지막에 실린 2편의 논문에서는 통일 이후의 신라와 9세기의 일본에서 내부와 외부의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군사 조직이 정비되어 나가는 과정과 그 배경, 의의를 살펴볼 수 있다.

목차

서문

선‘험윤방흥’ - 서주와 험윤의 전역 기록 검토
Ⅰ. 들어가며
Ⅱ. 西周對험윤戰役기록 검토: 전래문헌
Ⅲ. 西周對험윤戰役기록 검토: 출토문헌
Ⅳ. 西周와 험윤간의 戰役기록에 나타난 몇 가지 특징
Ⅴ. 맺음말

‘나제동맹’의 攻守전략 검토
Ⅰ. 머리말
Ⅱ. ‘나제동맹’의 방어 전략과 백제의 구상
Ⅲ. ‘나제동맹’의 공격 전략과 삼년산성의 전략적 위치
Ⅳ. 맺음말

高句麗南征이후 新羅加羅의 전술 변화 고찰
Ⅰ. 머리말
Ⅱ. 高句麗南征이전 新羅加羅의 전술
Ⅲ. 高句麗의 전술과 重裝騎兵활용
Ⅳ. 新羅加羅의 重裝騎兵도입 및 돌격전술
Ⅴ. 맺음말

612년 高句麗-隋전쟁의 전개 양상
Ⅰ. 머리말
Ⅱ. 高句麗와 隋간 戰運의 고조와 전쟁 발발
Ⅲ. 高句麗軍과 隋軍간 성곽전의 전개
Ⅳ. 隋軍의 별동대 편성과 高句麗의 대응
Ⅴ. 맺음말

6~7세기 신라 병부의 조직 정비와 병마행정의 변화
Ⅰ. 머리말
Ⅱ. 將軍의 制度化와 병부의 성립
Ⅲ. 병부의 정비와 兵馬行政의 변화
Ⅳ. 맺음말

신라 중고기 軍役의 형태와 운영 양상
Ⅰ. 머리말
Ⅱ. 隋書 신라전에서 확인되는 신라의 군역
Ⅲ. 신라 군역의 제형태 양상
Ⅳ. 중고기 군역의 운영과 율령체제
Ⅴ. 맺음말

7세기 고구려의 장군과 군사 운용 - 천남생 묘지 를 중심으로-
Ⅰ. 머리말
Ⅱ. 천남생 묘지 에 보이는 장군의 의미
Ⅲ. 장군의 운용과 전시의 군사편성
Ⅳ. 대모달 욕살과 장군의 관계
Ⅴ. 맺음말

648년 당태종의 ‘평양이남 백제토지’ 발언의 해석과 효력 재검토
-‘신라의 백제통합론’과 ‘삼한일통의식 9세기 성립설’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Ⅰ. 문제의 제기
Ⅱ. ‘신라의 백제통합론’ 비판
Ⅲ. ‘삼한일통의식 9세기성립설’ 비판
Ⅳ. 당태종 발언의 배경과 효력
Ⅴ. 맺음말

백제 멸망기 당의 신라 침공 계획
Ⅰ. 머리말
Ⅱ. 660년 前後당의 신라 침공 정황
Ⅲ. 659년 ‘계림도대총관’ 검토
Ⅳ. 당의 신라 침공 계획 배경과 신라의 대응
Ⅴ. 맺음말

백제 부흥전쟁 시 주류성과 백강의 위치
Ⅰ. 머리말
Ⅱ. 부흥전쟁의 근거지 주류성
Ⅲ. 백강과 백강구 전투
Ⅳ. 홍주 주류성 검토
Ⅴ. 맺음말

고구려 영류산의 위치와 나당연합군의 진군로
Ⅰ. 머리말
Ⅱ. 대성산과 영류산의 관계
Ⅲ. 당군의 남하와 욕이성의 위치
Ⅳ. 안주-평양 교통로와 나당연합군의 남하
Ⅴ. 평양 이북 교통로와 영류산의 위치
Ⅵ. 맺음말

매소성 戰役및 나당전쟁의 종료 始點에 대한 재검토
Ⅰ. 머리말
Ⅱ. 한 중 사서의 675년 2월 기사 재검토
Ⅲ. 670년대 설인귀의 행적에 대한 재검토
Ⅳ. 매소성 전역의 과정 및 의의
Ⅴ. 맺음말

신라 통일기 三武幢의 설치와 麗濟유민
Ⅰ. 머리말
Ⅱ. 나당전쟁의 격화와 白衿武幢의 창설
Ⅲ. 평시 체제로의 전환과 麗濟유민의 新羅化
Ⅳ. 친위 군사력의 확대와 赤衿黃衿武幢의 창설
Ⅴ. 맺음말

9세기 후반 일본의 弩師배치 배경
Ⅰ. 머리말
Ⅱ. 緣海諸國으로의 노사 배치와 부임자
Ⅲ. 四天王法과 신라 문제
Ⅳ. 맺음말
 

저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