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문학의 이해 (독서>책소개)/4.한국고전문학

허균 척독 (2023)

동방박사님 2023. 6. 28. 08:41
728x90

소개

『홍길동전』의 작가이자 허난설헌의 동생인 허균의 척독(尺牘)을 엮었다. 척독이란 일반 서간문보다 훨씬 짧은 편지 형식으로 명나라 초기부터 유행했는데, 허균은 이 척독을 우리나라 최초로 하나의 문학 장르로 인식하고 이를 조선 문단에 널리 전파했다. 유성룡, 이덕형, 이항복, 권필, 한석봉, 서산 대사, 사명 대사, 이매창 등 정치계 문학계 예술계를 가리지 않고 총 68명과 주고받은 176통의 척독을 모두 소개한다. 친한 이들에게 격식을 차리지 않고 솔직한 마음을 드러낸 이 편지들을 통해, 소설에서는 볼 수 없었던 인간 허균을 만날 수 있다.

목차

척독 상(尺牘 上)
1. 서애 정승께 드리는 편지 갑진년(1604) 8월
2. 서애 정승께 드리는 편지 을사년(1605) 2월
3. 서애 정승께 드리는 편지 병오년(1606) 1월
4. 한음 정승께 올리는 편지 을사년(1605) 3월
5. 한음 정승께 올리는 편지 무신년(1608) 3월
6. 오성 정승께 올리는 편지 을사년(1605) 3월
7. 오성 정승께 올리는 편지 경술년(1610) 5월
8. 일송 정승께 올리는 편지 을사년(1605) 2월
9. 황지천에게 올리는 편지 갑진년(1604) 9월
10. 황지천에게 올리는 편지 병오년(1606) 8월
11. 황지천에게 올리는 편지 정미년(1607) 3월
12. 윤월정에게 올리는 편지 병오년(1606) 8월
13. 윤월정에게 올리는 편지 정미년(1607) 8월
14. 윤월정에게 올리는 편지 무신년(1608) 5월
15. 이오봉에게 올리는 편지 갑진년(1604) 9월
16. 이오봉에게 올리는 편지 병오년(1606) 3월
17. 유서경에게 올리는 편지 을사년(1605) 3월
18. 유서경에게 올리는 편지 을사년(1605) 9월
19. 이월사에게 보내는 편지 경술년(1610) 9월
20. 이월사에게 보내는 편지 신해년(1611) 1월
21. 신현옹에게 보내는 편지 무신년(1608) 3월
22. 신현옹에게 보내는 편지 무신년(1608) 3월
23. 신현옹에게 보내는 편지 경술년(1610) 10월
24. 신현옹에게 보내는 편지 신해년(1611) 1월
25. 한유천에게 보내는 편지 신축년(1601) 8월
26. 한유천에게 보내는 편지 신축년(1601) 8월
27. 한유천에게 보내는 편지 신축년(1601) 9월
28. 이창해에게 올리는 편지 기유년(1609) 9월
29. 이창해에게 올리는 편지 기유년(1609) 9월
30. 이창해에게 올리는 편지 기유년(1609) 10월
31. 황사숙에게 보내는 편지 기유년(1609) 1월
32. 최분음에게 보내는 편지 을사년(1605) 11월
33. 최분음에게 보내는 편지 병오년(1606) 11월
34. 최분음에게 보내는 편지 정미년(1607) 6월
35. 최분음에게 보내는 편지 정미년(1607) 8월
36. 최분음에게 보내는 편지 정미년(1607) 9월
37. 최분음에게 보내는 편지 정미년(1607) 9월
38. 최분음에게 보내는 편지 정미년(1607) 10월
39. 최분음에게 보내는 편지 정미년(1607) 2월
40. 최분음에게 보내는 편지 무신년(1608) 1월
41. 최간이에게 보내는 편지 정미년(1607) 3월
42. 최간이에게 보내는 편지 정미년(1607) 3월
43. 정한강에게 보내는 편지 병신년(1596) 9월
44. 정한강에게 보내는 편지 병신년(1596) 9월
45. 정한강에게 보내는 편지 신축년(1601) 3월
46. 정한강에게 보내는 편지 계묘년(1603) 8월
47. 김남창에게 보내는 편지 을사년(1605) 12월
48. 김남창에게 보내는 편지 병오년(1606) 7월
49. 김남창에게 보내는 편지 병오년(1606) 10월
50. 김남창에게 보내는 편지 무신년(1608) 8월
51. 심학이에게 보내는 편지 무신년(1608) 3월
52. 정화백에게 보내는 편지 경술년(1610) 10월
53. 이지봉에게 보내는 편지 기유년(1609) 12월
54. 이지봉에게 보내는 편지 경술년(1610) 4월
55. 김여수에게 답하는 편지 경술년(1610) 12월
56. 홍녹문에게 보내는 편지 정미년(1607) 12월
57. 홍녹문에게 보내는 편지 무신년(1608) 1월
58. 윤지중에게 보내는 편지 병오년(1606) 8월
59. 남자안에게 보내는 편지 경술년(1610) 1월
60. 이중집에게 답하는 편지 기유년(1609) 1월
61. 윤차야에게 보내는 편지 기유년(1609) 10월
62. 윤차야에게 보내는 편지 경술년(1610) 1월
63. 홍휘세에게 보내는 편지 경술년(1610) 4월
64. 홍휘세에게 보내는 편지 경술년(1610) 7월
65. 제강공자에게 보내는 편지 신축년(1601) 3월
66. 제강공자에게 보내는 편지 임인년(1602) 2월
67. 제강공자에게 보내는 편지 기유년(1609) 8월
68. 이관송에게 답하는 편지 무신년(1608) 8월
69. 이관송에게 보내는 편지 기유년(1609) 9월
70. 이관송에게 보내는 편지 신해년(1611) 1월
71. 이자민에게 보내는 편지 경술년(1610) 3월
72. 이자민에게 보내는 편지 경술년(1610) 3월
73. 이자민에게 보내는 편지 경술년(1610) 4월
74. 이자민에게 보내는 편지
75. 한석봉에게 보내는 편지 갑진년(1604) 10월
76. 한석봉에게 보내는 편지 갑진년(1604) 3월
77. 송천옹에게 보내는 편지 신해년(1611) 2월
78. 송천옹에게 보내는 편지 신해년(1611) 2월
79. 경홍을 초대함 을사년(1605) 4월
80. 이실지에게 보내는 편지 정미년(1607) 6월
81. 이실지에게 보내는 편지 을사년(1605) 7월
82. 이실지에게 보내는 편지 정미년(1607) 7월

척독 하(尺牘 下)
1. 허자하 형에게 보내는 편지 계묘년(1603)
2. 허자하 형에게 보내는 편지 갑진년(1604) 10월
3. 허자하 형에게 보내는 편지 정미년(1607) 10월
4. 허자하 형에게 보내는 편지 기유년(1609) 9월
5. 허자하 형에게 보내는 편지 기유년(1609) 9월
6. 허자하 형에게 보내는 편지 경술년(1610) 3월
7. 허자하 형에게 보내는 편지 경술년(1610) 6월
8. 허자하 형에게 보내는 편지 기유년(1609) 9월
9. 임자정에게 답하는 편지 정미년(1607) 8월
10. 임자정에게 답하는 편지 정미년(1607) 10월
11. 임자정에게 답하는 편지 무신년(1608) 11월
12. 조지세에게 보내는 편지 정미년(1607) 10월
13. 조지세에게 보내는 편지 정미년(1607) 12월
14. 조지세에게 보내는 편지 무신년(1608) 3월
15. 조지세에게 보내는 편지 무신년(1608) 9월
16. 조지세에게 보내는 편지 무신년(1608) 12월
17. 조지세에게 보내는 편지 무신년(1608) 12월
18. 조지세에게 보내는 편지 기유년(1609) 9월
19. 조지세에게 보내는 편지 기유년(1609) 10월
20. 조지세에게 보내는 편지 경술년(1610) 2월
21. 조지세에게 보내는 편지 경술년(1610) 2월
22. 권여장에게 보내는 편지 경술년(1610) 5월
23. 권여장에게 보내는 편지 경술년(1610) 5월
24. 권여장에게 보내는 편지 경술년(1610) 3월
25. 권여장에게 보내는 편지 신해년(1611) 2월
26. 박숙야에게 보내는 편지 기유년(1609) 12월
27. 임약초에게 보내는 편지 기해년(1599) 5월
28. 임약초에게 보내는 편지 기해년(1599) 5월
29. 임약초에게 보내는 편지 기해년(1599) 1월
30. 임약초에게 보내는 편지 경자년(1600) 2월
31. 임약초에게 보내는 편지 경자년(1600) 3월
32. 임약초에게 보내는 편지 경자년(1600) 6월
33. 임자승에게 보내는 편지 경자년(1600) 2월
34. 임자승에게 보내는 편지 경자년(1600) 3월
35. 임자승에게 보내는 편지 경자년(1600) 3월
36. 임자승에게 보내는 편지 경자년(1600) 3월
37. 임자승에게 보내는 편지 경자년(1600) 5월
38. 임자승에게 보내는 편지
39. 임자승에게 보내는 편지 경자년(1600) 7월
40. 임자승에게 보내는 편지 신축년(1601) 2월
41. 심중경에게 보내는 편지 경술년(1610) 9월
42. 윤명익에게 답하는 편지 경술년(1610) 12월
43. 조이숙에게 보내는 편지 기유년(1609) 9월
44. 심부안에게 보내는 편지 무신년(1608) 7월
45. 조선술에게 보내는 편지 경술년(1610) 9월
46. 기헌보에게 보내는 편지 신해년(1611) 1월
47. 정시망에게 답하는 편지 경술년(1610) 12월
48. 임무숙에게 보냄 경술년(1610) 7월
49. 장지국에게 답하는 편지 신해년(1611) 1월
50. 조카 실에게 답하는 편지 신해년(1611) 1월
51. 조카 실에게 답하는 편지 신해년(1611) 3월
52. 양오 조호에게 보내는 편지 무신년(1608) 6월
53. 숙정 민인길에게 보내는 편지 무신년(1608) 12월
54. 용산수령 이할에게 보내는 편지 신해년(1611) 3월
55. 함산수령 한회일에게 보내는 답장 신해년(1611) 1월
56. 함산수령에게 보내는 답장 신해년(1611) 3월
57. 남궁생에게 답하는 편지 신해년(1611) 2월
58. 조카 채에게 답하는 편지 신해년(1611) 3월
59. 이손곡에게 보내는 편지 기유년(1609) 4월
60. 이손곡에게 보내는 편지 기유년(1609) 4월
61. 이손곡에게 보내는 편지 경술년(1610) 10월
62. 윤오정에게 답하는 편지 기유년(1609) 7월
63. 윤오정에게 답하는 편지 신해년(1611) 4월
64. 홍중인에게 보내는 편지 기유년(1609) 9월
65. 홍중인에게 보내는 편지 경술년(1610) 12월
66. 이여인에게 보내는 편지 정유년(1597) 8월
67. 이여인에게 보내는 편지 병오년(1606) 2월
68. 이여인에게 보내는 편지 병오년(1606) 5월
69. 이여인에게 보내는 편지 병오년(1606) 5월
70. 이여인에게 보내는 편지 무신년(1608) 1월
71. 이여인에게 보내는 편지 무신년(1608) 4월
72. 이여인에게 보내는 편지 무신년(1608) 7월
73. 이여인에게 보내는 편지 무신년(1608) 12월
74. 이여인에게 보내는 편지 기유년(1609) 1월
75. 이여인에게 보내는 편지 기유년(1609) 3월
76. 이여인에게 보내는 편지 기유년(1609) 3월
77. 이여인에게 보내는 편지 경술년(1610) 5월
78. 이여인에게 보내는 편지 신해년(1611) 3월
79. 양자점에게 보내는 편지 정미년(1607) 10월
80. 양자점에게 보내는 편지 기유년(1609) 9월
81. 이사상에게 보내는 편지 기유년(1609) 10월
82. 아무개에게 보내는 편지 정미년(1607) 2월
83. 아무개에게 보내는 편지 정미년(1607) 8월
84. 이나옹에게 보내는 편지 을사년(1605) 7월
85. 이나옹에게 보내는 편지 정미년(1607) 1월
86. 서산 노사에게 보내는 편지 임인년(1602) 2월
87. 서산 노사에게 보내는 편지 임인년(1602) 3월
88. 서산 노사에게 보내는 편지 임인년(1602) 4월
89. 서산 노사에게 보내는 편지 임인년(1602) 5월
90. 송운 대사에게 보내는 편지 갑진년(1604) 2월
91. 송운 대사에게 보내는 편지 병오년(1606) 1월
92. 해안 경석에게 보내는 편지 무신년(1608) 10월
93. 계랑에게 보내는 편지 기유년(1609) 1월
94. 계랑에게 보내는 편지 기유년(1609) 9월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저자 소개 

원저 : 허균 (許筠, 단보(端甫), 교산(蛟山), 학산(鶴山))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문학가다. 1597년 문과에 급제했으며 여러 벼슬을 거쳐 1610년에는 명나라에 가서 우리나라 최초의 천주교 신자가 되었다. 정치를 하는 자들이 백성을 두려워하지 않고 핍박을 하면 언젠가는 아래로부터 혁명이 일어난다고 주장했다. 또한 인재를 소중히 여기지 않고 버리는 것은 하늘을 거역하는 일이라고도 했다. 그래서 당시 조선에서 서얼이라는 이유로 인재를 버리는 풍습을 못마땅히 여기며 한탄했다....
 
역 : 박상수
 
박상수(朴相水)는 민족문화추진회(현 한국고전번역원), 국사편찬위원회, 온지서당, 중국 어언문화대학교 등에서 한문과 고문서, 초서와 중국어를 공부했고, 단국대학교 한문학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전문위원, 단국대학교 강사, 한국한문학회 출판이사 등을 역임했으며, 지금은 전통문화연구회, 고전번역연구소, 국사편찬위원회에서 한문 번역과 탈초·강의를 하고 있다. 번역서와 탈초 자료로, 《간찰簡札 선....

출판사 리뷰

한 폭의 종이에 진정(眞情)을 담다

척독이란 편지, 즉 서(書)의 다른 이름이다. 편지는 기록한 재질에 따라 이름이 다른데 비단에 쓴 것을 ‘첩(帖)’, 대쪽에 쓴 것을 ‘간(簡)’, 나무쪽에 쓴 것을 ‘독(牘)’ 또는 ‘찰(札)’, 종이에 쓴 것을 ‘전(箋)’, 봉투를 사용한 것을 ‘함(函)’이라 했다. 척독이란 명칭 역시 본래는 종이 대신 석 자 정도 되는 목판에 옻칠해 글을 쓴 데서 비롯했다. 그 유래는 오래되었으나 하나의 문체로 인정받은 것은 명대(明代)에 이르러서다. 명나라 하복징(賀復徵)은 척독이란 한 폭의 종이에 진정을 요약하는 글로 간략함을 말한다고 정의했다. 명나라 진무인(陳懋仁)은 수간(手簡), 소간(小簡), 척독은 모두 ‘간략하다’는 뜻이며, 진한(秦漢) 이래 친지들 간에 오가며 문답하는 데 쓰인 글이라고 했다. 이후 만명(晩明)에 이르러 척독의 창작이 보편화됨에 따라 점차 문장 분류의 명칭으로 굳어지게 되었다.

한마디 짧은 말로 이치의 핵심을 찌르다

우리나라에서는 17세기부터 서서히 일반 서신과 척독을 구별하기 시작했는데, 그 주역이 바로 허균이다. 허균은 척독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명나라 문인들의 척독을 모아 『명척독』을 엮었으며, 명나라의 척독 선집을 두루 읽고 자신도 적극적으로 척독을 쓰고 주위에 전파했다. 허균의 문집 『성소부부고(惺所覆?藁)』에서는 ‘서’와 ‘척독’을 다른 문체로 구분해 엮었는데, 이는 이후 사대부들의 문집 편차 방식의 기준이 되었다. 허균은 척독의 단사(單詞)와 척언(斥言)으로 이치의 핵심을 곧바로 지적해 사람의 뜻을 설득하면서도 뜻은 말 밖에 있다고 했다. 또한 척독은 진정(眞情)의 표출을 통해 풍부한 서정성을 담고 있으며, 일상생활의 실용적인 문장임과 동시에 예술 영역에서 문학성을 가지고 있다고 본 것이다.

68명과 나눈 176통의 편지

척독은 편지글이다. 따라서 이 글에는 작가의 내면이 고스란히 나타날 뿐만 아니라 주변 인물과의 교유 관계도 쉽게 살필 수 있다. 이 책에는 허균이 총 68명에게 보낸 176통의 척독을 수록했다. 그 수신인으로는 유성룡, 이항복, 이덕형 등의 정치인, 정구, 이수광, 권필 등의 문학자, 한석봉, 이정, 이매창 등의 예술가, 서산 대사, 사명 대사, 중관 대사 등의 불교계 인사, 기생 이매창까지 다양한 계층의 유명인들을 포함하고 있어 허균의 폭넓은 고유 관계는 물론, 당대 사회의 다양한 모습과 사건들을 파악할 수 있다.

짧은 행간에서 드러나는 개성의 향기

허균의 척독은 대부분 단문이다. 짧은 것은 17자이고, 가장 긴 것도 161자에 불과하니, 지금으로 치면 블로그나 페이스북이 아니라 트위터인 셈이다. 일반적인 서간문의 형식을 파괴하고 짧은 편지 속에 간결미와 함축미뿐 아니라 서정성까지 담은 그의 척독에서는 독창성과 예술성이 돋보인다. 반역죄로 불행하게 생을 마감했지만 『홍길동전』을 비롯한 뛰어난 작품들을 남기고, 과거 급제 후에도 문신들을 대상으로 한 시험에서 몇 차례나 장원을 한 천재 문인 허균의 독특한 개성과 인간적인 매력을 만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