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책소개
18세기 말에서 20세기 말까지 모든 신학적 흐름을 담고 있어
『신학사 4』는 18세기 말에서 20세기 말까지 모든 신학적 흐름을 담고 있다. 이 책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첫 번째 부분은 현대 신학에 젖줄이 되어 준 18세기 말부터 19세기 말까지의 주요 신학과 철학의 흐름을 담고 있다. 여기에는 낭만주의 시대의 신학, 관념론, 무신론, 실존철학, 개신교 자유주의, 근대주의, 동방정교회 신학, 다양한 가톨릭 신학 학파를 비롯해 이 시기를 종합하는 제1차 바티칸 공의회를 전후로 한 교도권의 결정들이 소개되어 있다.
그리고 두 번째 부분에는 현상학, 실존주의 등으로 대변되는 새로운 철학적 지평, 20세기 전반에 발전한 개신교의 복음주의 신학을 주도한 바르트, 브루너, 틸리케, 불트만을 비롯한 다양한 개신교 거장들의 신학이 소개되어 있다. 또한 가톨릭 신학을 주도한 아우구스티누스적 노선에 있던 학자들(과르디니, 드 뤼박), 전통적 토미즘 노선을 발전시킨 학자들(가리구-라그랑주, 셰뉘, 콩가르 등), 초월적 토미즘을 발전시킨 학자들(마레샬, 라너, 로너간), 문학과 과학의 노선에 있던 학자들(샤르댕, 발타사르, 다니엘루)의 신학도 소개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20세기의 동방정교회 신학을 발전시킨 불가코프, 플로로프스키, 에브도키모프, 로스키의 신학도 소개되어 있다.
또한 세 번째 부분에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통해 각 분야별로 제시된 전망을 비롯해, 비오 11세, 요한 23세, 바오로 6세, 요한 바오로 2세까지 이어지는 교도권의 가르침이 소개되어 있다. 20세기의 급진주의 신학(하비 콕스, 로빈슨, 해밀턴, 반 뷰렌, 알타이저)과 희망의 신학(블로흐, 몰트만), 정치신학(메츠, 머레이), 해방신학(구티에레스, 아스만, 보프, 소브리노 등), 가톨릭 신학의 쇄신을 주도한 라칭거, 한스 큉, 스킬레벡스의 신학도 소개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신학적 인식론을 주도한 판넨베르크와 다양한 신학의 토착화 작업(흑인신학, 여성신학, 아시아 신학, 아프리카 신학), 20세기 말의 이탈리아 신학도 소개되어 있다.
『신학사 4』는 18세기 말에서 20세기 말까지 모든 신학적 흐름을 담고 있다. 이 책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첫 번째 부분은 현대 신학에 젖줄이 되어 준 18세기 말부터 19세기 말까지의 주요 신학과 철학의 흐름을 담고 있다. 여기에는 낭만주의 시대의 신학, 관념론, 무신론, 실존철학, 개신교 자유주의, 근대주의, 동방정교회 신학, 다양한 가톨릭 신학 학파를 비롯해 이 시기를 종합하는 제1차 바티칸 공의회를 전후로 한 교도권의 결정들이 소개되어 있다.
그리고 두 번째 부분에는 현상학, 실존주의 등으로 대변되는 새로운 철학적 지평, 20세기 전반에 발전한 개신교의 복음주의 신학을 주도한 바르트, 브루너, 틸리케, 불트만을 비롯한 다양한 개신교 거장들의 신학이 소개되어 있다. 또한 가톨릭 신학을 주도한 아우구스티누스적 노선에 있던 학자들(과르디니, 드 뤼박), 전통적 토미즘 노선을 발전시킨 학자들(가리구-라그랑주, 셰뉘, 콩가르 등), 초월적 토미즘을 발전시킨 학자들(마레샬, 라너, 로너간), 문학과 과학의 노선에 있던 학자들(샤르댕, 발타사르, 다니엘루)의 신학도 소개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20세기의 동방정교회 신학을 발전시킨 불가코프, 플로로프스키, 에브도키모프, 로스키의 신학도 소개되어 있다.
또한 세 번째 부분에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통해 각 분야별로 제시된 전망을 비롯해, 비오 11세, 요한 23세, 바오로 6세, 요한 바오로 2세까지 이어지는 교도권의 가르침이 소개되어 있다. 20세기의 급진주의 신학(하비 콕스, 로빈슨, 해밀턴, 반 뷰렌, 알타이저)과 희망의 신학(블로흐, 몰트만), 정치신학(메츠, 머레이), 해방신학(구티에레스, 아스만, 보프, 소브리노 등), 가톨릭 신학의 쇄신을 주도한 라칭거, 한스 큉, 스킬레벡스의 신학도 소개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신학적 인식론을 주도한 판넨베르크와 다양한 신학의 토착화 작업(흑인신학, 여성신학, 아시아 신학, 아프리카 신학), 20세기 말의 이탈리아 신학도 소개되어 있다.
목차
서론 : 힘겨운 두 세기
1. 프랑스 혁명 27
2. 신학의 힘겨운 여정 30
제1부 프랑스 혁명으로부터 제1차 세계대전까지
머리말 39
제1장 낭만주의 시대의 신학 41
1. 낭만주의 43
2. 요한 헤르더 46
1) 생애와 작품 46
2) 인간성 관념과 인류의 역사 47
3) 칸트를 거슬러 50
4) 교리 없는 그리스도교 51
3. 노발리스 55
1) 생애와 작품 55
2) 낭만주의의 수수께끼 같은 인물 56
3) 노발리스 사상의 주요 노선 57
4) 종교에 관한 아가페적 개념 59
4. 야코비 64
1) 생애와 작품 64
2) 야코비의 사변적 핵심 65
3) 종교적 경험의 원초적 특성과 하느님 인식 66
5. 슐라이어마허 69
1) 생애와 작품 69
2) 슐라이어마허의 중요성 70
3) 종교의 본질 72
4) 신학의 과제 75
5) 그리스도론 78
6. 낭만주의의 모호성 80
추천 도서 82
제2장 관념론 내에서의 그리스도교, 종교철학, 근본신학 85
1. 관념론 철학의 발전 85
1) 관념론의 기원 85
2) 관념론의 근본 원리들 86
3) 관념론 철학의 신학적 모체 89
2. 피히테 90
1) 생애와 작품 90
2) 체계 92
3) 종교철학 95
3. 셸링 99
1) 생애와 작품 99
2) 초기 셸링 : 동일성 철학 100
3) 후기 셸링 : 긍정철학과 그리스도론 105
4. 헤겔 109
1) 생애와 작품 109
2) 절대적 관념론의 체계 111
3) 그리스도교와 그리스도론 118
4) 철학의 신학화인가, 신학의 철학화인가 125
5) 결론적 평가 128
추천 도서 132
제3장 무신론의 도전 137
1. 현대 무신론의 발단 138
2. 포이어바흐 142
1) 생애와 작품 142
2) 신학을 인간학으로 해소시킴 142
3. 마르크스 147
1) 생애와 작품 147
2) 종교적 소외 : ‘민중의 아편’인 종교 148
4. 콩트 155
1) 생애와 작품 155
2) 인류 숭배 156
5. 니체 163
1) 생애와 작품 163
2) ‘신의 죽음’의 선포 163
3) 그리스도의 적 169
4) 결론 174
추천 도서 176
제4장 키에르케고르의 실존철학 181
1. 생애 183
2. 작품 185
3. 철학적 전이해 : 실존의 우위 185
4. 불안과 신앙 190
5. 인간과 신 사이의 무한한 질적 차이 195
6. 역설 : 예수 그리스도 201
7. 키에르케고르의 위대성 209
추천 도서 216
제5장 개신교 자유주의 218
1. 주요 갈래 220
1) 중재의 신학 221
2) 자유주의적 신학 222
2. 도르너 223
1) 생애와 작품 223
2) 신앙론으로서의 신학 224
3) 개신교적 원리 226
3. 슈트라우스 228
1) 생애와 작품 229
2) 사상 230
4. 리츨 233
1) 생애와 작품 233
2) 사상 234
3) 결론적 평가 237
5. 트뢸치 238
1) 생애와 작품 238
2) 사상 239
6. 폰 하르낙 242
1) 생애와 작품 242
2) 사상 : 그리스도교를 희랍화의 무게로부터 해방함 243
3) 평가 247
7. 캘러 248
1) 생애와 작품 248
2) 사상 250
추천 도서 253
제6장 유럽 가톨릭 신학 : 프랑스 혁명부터 제1차 바티칸 공의회까지 256
1. 힘겨운 재각성 256
2. 호교론자들 : 샤토브리앙, 드 매스트르, 드 보날드 258
1) 샤토브리앙 260
2) 드 매스트르 263
3) 드 보날드 265
3. 전통주의와 맹신주의 : 라므네, 보탱, 보네티 269
1) 라므네 270
2) 보탱 275
3) 보네티 278
4. 독일 ‘합리주의자들’ : 헤르메스, 귄터, 프로샴머 280
1) 헤르메스 281
2) 귄터 285
3) 프로샴머 289
5. 튀빙겐 가톨릭 학파 : 드라이, 묄러, 쿤 294
1) 드라이 296
2) 묄러 299
3) 쿤 306
6. 영국 가톨릭 신학의 부흥 : 뉴먼 308
1) 와이즈만 308
2) 뉴먼의 생애 310
3) 작품들 313
4) 사상 315
5) 신앙의 합리성 315
6) 교회와 그 직분 319
7) 교의의 발전 324
추천 도서 330
제7장 19세기 이탈리아 신학의 쇄신 노력 336
1. 로스미니 337
1) 생애 338
2) 작품 340
3) 로스미니의 목표들 342
4) 관념의 기원 : 존재 관념 343
5) 존재론 347
6) 자연신학 348
7) 도덕 351
8) 언어의 기능과 가치 353
9) 신학의 쇄신 358
10) 신학적 인간학 361
11) 하느님 말씀의 신학 365
2. 로마 학파와 신스콜라학의 발단 368
1) 신스콜라학의 의미 369
3. 토마스 부흥 운동의 단초 373
1) 조반니 페로네 376
2) 카를로 파살리아 378
3) 요한 밥티스트 프란첼린 380
4) 토마스 칠리아라 382
추천 도서 385
제8장 제1차 바티칸 공의회부터 비오 10세까지 교회 교도권의 가르침 389
1. 비오 9세 390
1) 원죄 없으신 잉태 교리 규정 391
2) 회칙 「얼마나 큰 관심으로」- 근대성 단죄 393
3) 제1차 바티칸 공의회 397
2. 제1차 바티칸 공의회의 교회론 404
3. 레오 13세와 「영원하신 아버지」 411
1) 사회 교리 416
2) 회칙 「영원하신 아버지」와 토마스주의의 천명 420
3) 신학적 정위 426
4) 가톨릭 문화의 재구성 428
4. 비오 10세와 근대주의의 위기 430
5. 결론 435
추천 도서 437
제9장 제1차 바티칸 공의회와 제1차 세계대전 사이의 가톨릭 신학 439
1. 교회 학문들의 발전 441
1) 역사 연구 442
2) 성서 연구 445
2. 신스콜라 학자들 : 쉐벤과 비요 447
1) 쉐벤 448
2) 비요 453
3. 근대주의자들 : 루아지, 르 루아, 티렐, 무리, 부오나유티 457
1) 근대주의의 위기 457
2) 알프레드 루아지 461
3) 에두아르드 르 루아 466
4) 조지 티렐 469
5) 로몰로 무리 471
6) 에르네스토 부오나유티 473
4. 근대주의에 대한 가톨릭 신학의 반응 475
추천 도서 479
제10장 19세기 동방정교회 신학의 부흥 482
1. 알렉스 콤자코프 486
2. 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 488
3. 블라디미르 솔로비예프 494
4. 파벨 플로렌스키 504
5. 결론 508
추천 도서 510
제2부 : 제1차 세계대전에서 제2차 바티칸 공의회까지
전체주의와 이데올로기 시대의 신학
제1장 근대성의 위기와 신학자들의 대답 515
1. 문화적 지평 : 근대 문화의 시대적 위기 517
2. 철학적 지평 : 새로운 철학들 522
1) 에드문트 후설 : 현상학과 하느님에 대한 문제 522
2) 마르틴 하이데거와 신학 : 실존주의 531
3)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 신실증주의, 언어분석과 신학 537
4) 지그문트 프로이트 : 정신분석과 신학 544
3. 종교적 지평 : 세속화, 무신론, 대화 548
1) 세속화 549
2) 무신론 554
3) 대화 563
4. 1915-1965년 : 신학적 흐름의 구체화와 계층화 565
추천 도서 568
제2장 1915-1965년의 복음주의 신학 570
1. 칼 바르트 : 신정통주의 572
1) 방법론 : 변증법에서 신앙의 유비로 574
2) 신학의 대상 : 하느님의 말씀 577
3) 예수 그리스도 : 하느님의 선택된 자 580
4) 그리스도의 은총의 장소이자 수단인 교회 583
5) 죄인에 대한 선택과 의화 586
6) 결론 588
2. 에밀 브루너 590
3. 헬무트 틸리케 591
4. 루돌프 불트만 : 신약 성경의 비(非)신화화 595
1) 신약 성경의 비신화화 597
2) 그리스도와 그분의 메시지 601
3) 하느님 말씀의 사자(使者)인 교회 607
4) 결론 611
5) 불트만의 제자들과 비신화화를 둘러싼 논쟁 614
5. 본회퍼 : 세속화 신학 616
1) 프리드리히 고가르텐 : 세속화 신학의 시작 616
2) 디트리히 본회퍼 : 생애와 작품 618
3) 복음의 세속화 622
4) 그리스도 중심주의 : 그리스도, 타인들을-위한-인간 627
5) ‘최종적 실재’와 ‘준(準)최종적 실재’ 사상과 윤리 문제 633
6) 결론 638
6. 해석학적 신학 : 푹스와 에벨링 641
1) 에른스트 푹스 : 신앙 언어에 대한 사상으로서의 해석학 643
2) 게르하르트 에벨링 : 하느님 말씀에 대한 사상으로서의 해석학 647
⑴ 주요 작품 648
⑵ 사상 648
⑶ 케리그마의 언어적 차원 650
⑷ 번역으로서의 해석학 651
7. 폴 틸리히 : 신학의 존재론화 652
1) 생애 653
2) 작품 656
3) 경계선 상에서 657
4) 상관관계 방법론 659
5) 철학과 신학 663
6) 문화와 종교 665
7) 신앙과 이성, 그리고 실존할 용기 668
8) ‘새로운 존재’인 그리스도 673
9) 하느님 나라의 상징인 교회 677
10) 평가 680
8. 오스카 쿨만 : 구원 역사신학 681
1) 생애와 작품 682
2) ‘해석학적 방법론’ 683
3) 그리스도교 메시지의 본질에 속하는 구원 역사 688
4) 구원 역사의 발전 694
5) 구원 역사의 중심이신 예수 696
6) 사도 교회와 사도 후 교회의 구원론적 가치 700
7) 베드로의 수위성 704
8) 평가 706
9. 아메리카적인 사회-정치신학 709
1) 발터 라우센부쉬 710
⑴ 주요 작품 712
⑵ 사상 : 사회 복음과 하느님 나라 712
2) 라인홀드 니버 717
⑴ 작품 719
⑵ 사상 720
3) 리처드 니버 724
추천 도서 726
제3장 1915-1965년의 가톨릭 신학 733
1. 아우구스티누스적 경향 : 과르디니와 드 뤼박 736
1) 로마노 과르디니 : 양극의 신학 737
⑴ 생애 737
⑵ 작품 740
⑶ 전체적인 사상 741
⑷ 대립자들의 체계 742
⑸ 계시 746
⑹ 주님 747
⑺ 신앙 750
⑻ 교회 753
⑼ 인격 756
2) 드 뤼박 : 역설의 신학 760
⑴ 생애 760
⑵ 작품 763
⑶ 가톨릭적 전망 764
⑷ 초본성 769
⑸ 역사적 방법론 770
⑹ 신비의 역설 773
⑺ 교회의 신비 775
⑻ 무신론 778
2. 성 토마스의 흔적 안에서의 신학 : 가리구-라그랑주, 셰뉘, 콩가르 782
1) 레지널드 가리구-라그랑주 : 영성신학 786
⑴ 생애와 작품 786
⑵ 사상 788
⑶ 영성신학 791
2) 마리-도미니크 셰뉘 : 시대의 징표의 신학자 793
⑴ 생애 793
⑵ 작품 795
⑶ 신학의 본성과 과제 796
⑷ 육화의 신비 799
⑸ 시대의 징표 801
3) 이브 콩가르 : 교회와 공의회 신학자, 에큐메니즘과 평신도 신학자 804
⑴ 생애 805
⑵ 주요 작품 807
⑶ 교회론적 사상 807
3. 샤를 주르네 : 교회신학 815
4. 에리히 프르치바라 : 존재의 유비의 신학 821
1) 생애와 작품 821
2) 사상 823
5.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의 이탈리아 신학 825
1) 피에트로 파렌테 828
2) 안토니오 피올란티 831
3) 카를로 콜롬보 833
6. 초월적 토미즘 836
1) 조셉 마레샬 836
2) 칼 라너 : 은총의 초월신학 838
⑴ 생애 838
⑵ 작품 841
⑶ 초월신학 843
⑷ 종교철학 845
⑸ 신학의 인간학적 전환 850
⑹ 초본성적 실존 : 은총 854
⑺ 그리스도론 856
⑻ 구원의 보편 성사인 교회 862
3) 버나드 로너간 : 신학의 초월적 방법론 868
⑴ 생애와 작품 868
⑵ 신학적 방법론 870
7. 문학가, 예술가, 과학자를 위한 신학 : 테이야르 드 샤르댕과 발타사르 874
1) 피에르 테이야르 드 샤르댕 : 우주 진화의 신학 876
⑴ 생애 876
⑵ 작품 877
⑶ 샤르댕의 과학적 철학적 신학적인 거대한 종합 879
⑷ 하느님의 존재에 대한 증명 881
⑸ 그리스도 현상 886
⑹ 활동 영성 888
⑺ 평가 892
2) 한스 우르스 폰 발타사르 : 하느님 영광의 신학 896
⑴ 생애와 작품 896
⑵ 사상 : ‘가톨릭적인’ 우주적 비전 900
⑶ 철학적 계기 903
⑷ 사랑과 영광 909
⑸ 그리스도 910
⑹ 삼위일체 913
⑺ 교회 914
8. 장 다니엘루 : 역사신학, 문화신학, 종교신학 920
1) 생애 921
2) 주요 작품 923
⑴ 역사연구서 923
⑵ 신학연구서 923
3) 사상 923
4) ‘누벨 테올로지’ 929
추천 도서 936
제4장 20세기의 동방정교회 신학 942
1. 세르게이 불가코프 : 지혜론 945
1) 생애와 작품 945
2) 지혜론 사상 946
2. 게오르크 플로로프스키 : 신(新)교부학 949
1) 생애 949
2) 주요 작품 950
3) 사상 951
3. 파벨 에브도키모프 : 신인론 953
1) 생애 953
2) 작품 954
3) 사상 954
4. 블라디미르 로스키 : 신비신학 960
1) 생애와 작품 960
2) 로스키 신학의 기둥들 962
3) 부정적 신비신학 964
추천 도서 969
제5장 제2차 바티칸 공의회와 신학 970
1. 요한 23세와 공의회 소집 971
2. 바오로 6세, 공의회의 인도자 977
3. 공의회의 가르침 987
1) 전례 헌장 「거룩한 공의회」 989
2) 계시 헌장 「하느님의 말씀」 989
3) 교회 헌장 「인류의 빛」 991
4) 사목 헌장 「기쁨과 희망」 999
5) 일치 교령 「일치의 재건」 1009
6) 비그리스도교 선언 「우리 시대」와 종교 자유 선언 「인간 존엄성」 1012
7) 공의회 발언들의 신학적 특성과 공의회의 가치 1014
4.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신학자들의 역할 1016
추천 도서 1019
제3부 제2천년기 말의 신학 : 쇄신과 토착화
제1장 비오 11세부터 요한 바오로 2세까지 교황 교도권의 가르침 1023
1. 비오 11세 1024
2. 비오 12세 1033
1) 성경, 교도권, 신학 1036
2) 교회론 1039
3) 윤리 1041
4) 사회 교리 1044
3. 요한 23세 1045
4. 바오로 6세 1050
5. 요한 바오로 2세 1063
1) 새 복음화 1070
2) 토착화 1073
3) 사랑의 문명을 위하여 1075
6. 결론 1080
추천 도서 1082
제2장 급진주의 신학 또는 “사신신학” 1083
1. 19세기 말의 신학 1083
2. 급진주의 신학 1089
1) 급진주의 신학의 이유들 1091
2) 하비 콕스 : 세속 도시 신학 1093
⑴ 생애 1093
⑵ 작품 1094
⑶ 사상 : 세속 도시 안에서 교회와 신학의 의무 1094
3) 토마스 로빈슨 : 하느님의 인간적 얼굴의 신학 1098
⑴ 생애와 작품 1098
⑵ 사상 1099
4) 윌리엄 해밀턴 : 단편적 신학 1102
⑴ 생애와 작품 1102
⑵ 사상 1103
5) 폴 반 뷰렌 : 신학적 의미론 1106
⑴ 생애와 작품 1106
⑵ 사상 1107
6) 토마스 알타이저 : 그리스도교적 무신론의 복음 1111
⑴ 생애와 작품 1111
⑵ 사상 1111
추천 도서 1116
제3장 희망의 신학 1117
1. 60년대의 낙관적 기류 1118
2. 에른스트 블로흐의 희망의 철학 1119
3. 종말론의 재발견 1121
4. 위르겐 몰트만 1122
1) 생애 1122
2) 주요 작품 1124
3) 사상 1124
5. 희망의 신학의 발전과 쇠퇴 1135
추천 도서 1137
제4장 정치신학 1138
1. 신학의 정치적 관심의 기원 1140
2. 요하네스 밥티스트 메츠 : 정치신학의 창시자 1143
1) 생애 1143
2) 작품 1143
3) 사상 1144
4) 「세상의 신학」 1144
5) 정치신학 1148
3. 존 코트니 머레이 : 종교 자유의 신학자 1155
1) 생애와 작품 1155
2) 사상 1156
추천 도서 1161
제5장 해방신학 1162
1. 해방신학의 기원 1162
1) 정치적 원인 1163
2) 문화적 원인 1164
3) 교회적 원인 1164
4) 신학적 원인 1165
2. 해방신학의 세 단계 1166
3. 해방신학의 주된 방향 1168
4. 해방신학의 근본 논지 1169
5. 해방신학의 특징 1174
6. 해방신학의 주역들 1178
1) 구스타보 구티에레스 1178
⑴ 생애와 작품 1178
⑵ 사상 1179
⑶ 신앙교리성의 지적과 구티에레스의 답변 1182
2) 우고 아스만 1185
⑴ 생애와 작품 1185
⑵ 사상 1186
3) 레오나르도 보프 1188
⑴ 생애와 작품 1188
⑵ 해방신학의 목표와 방법 1190
⑶ 해방자 예수 그리스도 1191
4) 혼 소브리노 1194
⑴ 생애와 작품 1194
⑵ 해석학적 지평 1195
⑶ 신학의 원천 1196
⑷ 실천의 기준 1197
⑸ 역사적 예수 1197
⑹ 칼케돈의 정의 1200
5) 해방신학의 다른 주창자들 1201
⑴ 엔리케 두셀 1201
⑵ 호세 미게스 보니노 1203
⑶ 후안 세군도 1203
⑷ 이그나시오 에야쿠리아 1204
7. 해방신학에 대한 교회 교도권의 개입 1205
추천 도서 1208
제6장 가톨릭의 신학적 쇄신 : 라칭거, 큉, 스킬레벡스 1209
1. 요제프 라칭거 : 교도권의 신학 1210
1) 생애 1210
2) 작품 1212
3) 신학의 교리 교육적 역할 1213
4) 신앙의 이성적 기초 1215
5) 교도권과 신학 1219
6) 교회의 성찬적 차원 1220
7) 교회 밖의 구원 1224
2. 한스 큉 : 보편적인 교회일치신학 1227
1) 생애 1227
2) 주요 작품 1228
3) 교회 : 제도적 차원보다 우선하는 카리스마적 차원 1229
4) 무류권 문제 1235
5) 예수 그리스도, 하느님의 대리자 1238
6) 하느님의 실존 문제 1243
7) 종교들의 신학 1245
3. 에두아르트 스킬레벡스 : 그리스도교적 실천의 신학 1247
1) 생애 1248
2) 작품 1249
3) 신앙의 해석학 1250
4) 그리스도론 1254
5) 구원론과 그리스도교적 체험 1259
추천 도서 1263
제7장 신학적 인식론과 역사신학 1264
1.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 1264
1) 생애 1265
2) 작품 1267
3) 계시와 역사 1268
4) 신학적 인식론 : 신학의 과제와 방법 1271
5) 그리스도론 1273
6) 인간학 1278
추천 도서 1285
제8장 신학의 새로운 토착화 1286
1. 흑인신학 1288
2. 여성신학 1294
3. 아프리카 신학 1298
4. 아시아 신학 1307
1) 그리스도와 비그리스도교 종교 1309
2) 라이문도 파니카르 1313
⑴ 생애와 작품 1313
⑵ 사상 1314
추천 도서 1318
제9장 20세기 말의 이탈리아 신학 1320
1. 쇄신의 어려움 1320
2. 중요한 결과들 1323
3. 주요 인물들 : 만치니, 사르토리, 포르테 1330
1) 이탈로 만치니 1331
2) 루이지 사르토리 1333
3) 브루노 포르테 1335
4. 미래의 전망 1337
추천 도서 1340
인명 색인 1341
역자 후기 1354
1. 프랑스 혁명 27
2. 신학의 힘겨운 여정 30
제1부 프랑스 혁명으로부터 제1차 세계대전까지
머리말 39
제1장 낭만주의 시대의 신학 41
1. 낭만주의 43
2. 요한 헤르더 46
1) 생애와 작품 46
2) 인간성 관념과 인류의 역사 47
3) 칸트를 거슬러 50
4) 교리 없는 그리스도교 51
3. 노발리스 55
1) 생애와 작품 55
2) 낭만주의의 수수께끼 같은 인물 56
3) 노발리스 사상의 주요 노선 57
4) 종교에 관한 아가페적 개념 59
4. 야코비 64
1) 생애와 작품 64
2) 야코비의 사변적 핵심 65
3) 종교적 경험의 원초적 특성과 하느님 인식 66
5. 슐라이어마허 69
1) 생애와 작품 69
2) 슐라이어마허의 중요성 70
3) 종교의 본질 72
4) 신학의 과제 75
5) 그리스도론 78
6. 낭만주의의 모호성 80
추천 도서 82
제2장 관념론 내에서의 그리스도교, 종교철학, 근본신학 85
1. 관념론 철학의 발전 85
1) 관념론의 기원 85
2) 관념론의 근본 원리들 86
3) 관념론 철학의 신학적 모체 89
2. 피히테 90
1) 생애와 작품 90
2) 체계 92
3) 종교철학 95
3. 셸링 99
1) 생애와 작품 99
2) 초기 셸링 : 동일성 철학 100
3) 후기 셸링 : 긍정철학과 그리스도론 105
4. 헤겔 109
1) 생애와 작품 109
2) 절대적 관념론의 체계 111
3) 그리스도교와 그리스도론 118
4) 철학의 신학화인가, 신학의 철학화인가 125
5) 결론적 평가 128
추천 도서 132
제3장 무신론의 도전 137
1. 현대 무신론의 발단 138
2. 포이어바흐 142
1) 생애와 작품 142
2) 신학을 인간학으로 해소시킴 142
3. 마르크스 147
1) 생애와 작품 147
2) 종교적 소외 : ‘민중의 아편’인 종교 148
4. 콩트 155
1) 생애와 작품 155
2) 인류 숭배 156
5. 니체 163
1) 생애와 작품 163
2) ‘신의 죽음’의 선포 163
3) 그리스도의 적 169
4) 결론 174
추천 도서 176
제4장 키에르케고르의 실존철학 181
1. 생애 183
2. 작품 185
3. 철학적 전이해 : 실존의 우위 185
4. 불안과 신앙 190
5. 인간과 신 사이의 무한한 질적 차이 195
6. 역설 : 예수 그리스도 201
7. 키에르케고르의 위대성 209
추천 도서 216
제5장 개신교 자유주의 218
1. 주요 갈래 220
1) 중재의 신학 221
2) 자유주의적 신학 222
2. 도르너 223
1) 생애와 작품 223
2) 신앙론으로서의 신학 224
3) 개신교적 원리 226
3. 슈트라우스 228
1) 생애와 작품 229
2) 사상 230
4. 리츨 233
1) 생애와 작품 233
2) 사상 234
3) 결론적 평가 237
5. 트뢸치 238
1) 생애와 작품 238
2) 사상 239
6. 폰 하르낙 242
1) 생애와 작품 242
2) 사상 : 그리스도교를 희랍화의 무게로부터 해방함 243
3) 평가 247
7. 캘러 248
1) 생애와 작품 248
2) 사상 250
추천 도서 253
제6장 유럽 가톨릭 신학 : 프랑스 혁명부터 제1차 바티칸 공의회까지 256
1. 힘겨운 재각성 256
2. 호교론자들 : 샤토브리앙, 드 매스트르, 드 보날드 258
1) 샤토브리앙 260
2) 드 매스트르 263
3) 드 보날드 265
3. 전통주의와 맹신주의 : 라므네, 보탱, 보네티 269
1) 라므네 270
2) 보탱 275
3) 보네티 278
4. 독일 ‘합리주의자들’ : 헤르메스, 귄터, 프로샴머 280
1) 헤르메스 281
2) 귄터 285
3) 프로샴머 289
5. 튀빙겐 가톨릭 학파 : 드라이, 묄러, 쿤 294
1) 드라이 296
2) 묄러 299
3) 쿤 306
6. 영국 가톨릭 신학의 부흥 : 뉴먼 308
1) 와이즈만 308
2) 뉴먼의 생애 310
3) 작품들 313
4) 사상 315
5) 신앙의 합리성 315
6) 교회와 그 직분 319
7) 교의의 발전 324
추천 도서 330
제7장 19세기 이탈리아 신학의 쇄신 노력 336
1. 로스미니 337
1) 생애 338
2) 작품 340
3) 로스미니의 목표들 342
4) 관념의 기원 : 존재 관념 343
5) 존재론 347
6) 자연신학 348
7) 도덕 351
8) 언어의 기능과 가치 353
9) 신학의 쇄신 358
10) 신학적 인간학 361
11) 하느님 말씀의 신학 365
2. 로마 학파와 신스콜라학의 발단 368
1) 신스콜라학의 의미 369
3. 토마스 부흥 운동의 단초 373
1) 조반니 페로네 376
2) 카를로 파살리아 378
3) 요한 밥티스트 프란첼린 380
4) 토마스 칠리아라 382
추천 도서 385
제8장 제1차 바티칸 공의회부터 비오 10세까지 교회 교도권의 가르침 389
1. 비오 9세 390
1) 원죄 없으신 잉태 교리 규정 391
2) 회칙 「얼마나 큰 관심으로」- 근대성 단죄 393
3) 제1차 바티칸 공의회 397
2. 제1차 바티칸 공의회의 교회론 404
3. 레오 13세와 「영원하신 아버지」 411
1) 사회 교리 416
2) 회칙 「영원하신 아버지」와 토마스주의의 천명 420
3) 신학적 정위 426
4) 가톨릭 문화의 재구성 428
4. 비오 10세와 근대주의의 위기 430
5. 결론 435
추천 도서 437
제9장 제1차 바티칸 공의회와 제1차 세계대전 사이의 가톨릭 신학 439
1. 교회 학문들의 발전 441
1) 역사 연구 442
2) 성서 연구 445
2. 신스콜라 학자들 : 쉐벤과 비요 447
1) 쉐벤 448
2) 비요 453
3. 근대주의자들 : 루아지, 르 루아, 티렐, 무리, 부오나유티 457
1) 근대주의의 위기 457
2) 알프레드 루아지 461
3) 에두아르드 르 루아 466
4) 조지 티렐 469
5) 로몰로 무리 471
6) 에르네스토 부오나유티 473
4. 근대주의에 대한 가톨릭 신학의 반응 475
추천 도서 479
제10장 19세기 동방정교회 신학의 부흥 482
1. 알렉스 콤자코프 486
2. 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 488
3. 블라디미르 솔로비예프 494
4. 파벨 플로렌스키 504
5. 결론 508
추천 도서 510
제2부 : 제1차 세계대전에서 제2차 바티칸 공의회까지
전체주의와 이데올로기 시대의 신학
제1장 근대성의 위기와 신학자들의 대답 515
1. 문화적 지평 : 근대 문화의 시대적 위기 517
2. 철학적 지평 : 새로운 철학들 522
1) 에드문트 후설 : 현상학과 하느님에 대한 문제 522
2) 마르틴 하이데거와 신학 : 실존주의 531
3)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 신실증주의, 언어분석과 신학 537
4) 지그문트 프로이트 : 정신분석과 신학 544
3. 종교적 지평 : 세속화, 무신론, 대화 548
1) 세속화 549
2) 무신론 554
3) 대화 563
4. 1915-1965년 : 신학적 흐름의 구체화와 계층화 565
추천 도서 568
제2장 1915-1965년의 복음주의 신학 570
1. 칼 바르트 : 신정통주의 572
1) 방법론 : 변증법에서 신앙의 유비로 574
2) 신학의 대상 : 하느님의 말씀 577
3) 예수 그리스도 : 하느님의 선택된 자 580
4) 그리스도의 은총의 장소이자 수단인 교회 583
5) 죄인에 대한 선택과 의화 586
6) 결론 588
2. 에밀 브루너 590
3. 헬무트 틸리케 591
4. 루돌프 불트만 : 신약 성경의 비(非)신화화 595
1) 신약 성경의 비신화화 597
2) 그리스도와 그분의 메시지 601
3) 하느님 말씀의 사자(使者)인 교회 607
4) 결론 611
5) 불트만의 제자들과 비신화화를 둘러싼 논쟁 614
5. 본회퍼 : 세속화 신학 616
1) 프리드리히 고가르텐 : 세속화 신학의 시작 616
2) 디트리히 본회퍼 : 생애와 작품 618
3) 복음의 세속화 622
4) 그리스도 중심주의 : 그리스도, 타인들을-위한-인간 627
5) ‘최종적 실재’와 ‘준(準)최종적 실재’ 사상과 윤리 문제 633
6) 결론 638
6. 해석학적 신학 : 푹스와 에벨링 641
1) 에른스트 푹스 : 신앙 언어에 대한 사상으로서의 해석학 643
2) 게르하르트 에벨링 : 하느님 말씀에 대한 사상으로서의 해석학 647
⑴ 주요 작품 648
⑵ 사상 648
⑶ 케리그마의 언어적 차원 650
⑷ 번역으로서의 해석학 651
7. 폴 틸리히 : 신학의 존재론화 652
1) 생애 653
2) 작품 656
3) 경계선 상에서 657
4) 상관관계 방법론 659
5) 철학과 신학 663
6) 문화와 종교 665
7) 신앙과 이성, 그리고 실존할 용기 668
8) ‘새로운 존재’인 그리스도 673
9) 하느님 나라의 상징인 교회 677
10) 평가 680
8. 오스카 쿨만 : 구원 역사신학 681
1) 생애와 작품 682
2) ‘해석학적 방법론’ 683
3) 그리스도교 메시지의 본질에 속하는 구원 역사 688
4) 구원 역사의 발전 694
5) 구원 역사의 중심이신 예수 696
6) 사도 교회와 사도 후 교회의 구원론적 가치 700
7) 베드로의 수위성 704
8) 평가 706
9. 아메리카적인 사회-정치신학 709
1) 발터 라우센부쉬 710
⑴ 주요 작품 712
⑵ 사상 : 사회 복음과 하느님 나라 712
2) 라인홀드 니버 717
⑴ 작품 719
⑵ 사상 720
3) 리처드 니버 724
추천 도서 726
제3장 1915-1965년의 가톨릭 신학 733
1. 아우구스티누스적 경향 : 과르디니와 드 뤼박 736
1) 로마노 과르디니 : 양극의 신학 737
⑴ 생애 737
⑵ 작품 740
⑶ 전체적인 사상 741
⑷ 대립자들의 체계 742
⑸ 계시 746
⑹ 주님 747
⑺ 신앙 750
⑻ 교회 753
⑼ 인격 756
2) 드 뤼박 : 역설의 신학 760
⑴ 생애 760
⑵ 작품 763
⑶ 가톨릭적 전망 764
⑷ 초본성 769
⑸ 역사적 방법론 770
⑹ 신비의 역설 773
⑺ 교회의 신비 775
⑻ 무신론 778
2. 성 토마스의 흔적 안에서의 신학 : 가리구-라그랑주, 셰뉘, 콩가르 782
1) 레지널드 가리구-라그랑주 : 영성신학 786
⑴ 생애와 작품 786
⑵ 사상 788
⑶ 영성신학 791
2) 마리-도미니크 셰뉘 : 시대의 징표의 신학자 793
⑴ 생애 793
⑵ 작품 795
⑶ 신학의 본성과 과제 796
⑷ 육화의 신비 799
⑸ 시대의 징표 801
3) 이브 콩가르 : 교회와 공의회 신학자, 에큐메니즘과 평신도 신학자 804
⑴ 생애 805
⑵ 주요 작품 807
⑶ 교회론적 사상 807
3. 샤를 주르네 : 교회신학 815
4. 에리히 프르치바라 : 존재의 유비의 신학 821
1) 생애와 작품 821
2) 사상 823
5.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의 이탈리아 신학 825
1) 피에트로 파렌테 828
2) 안토니오 피올란티 831
3) 카를로 콜롬보 833
6. 초월적 토미즘 836
1) 조셉 마레샬 836
2) 칼 라너 : 은총의 초월신학 838
⑴ 생애 838
⑵ 작품 841
⑶ 초월신학 843
⑷ 종교철학 845
⑸ 신학의 인간학적 전환 850
⑹ 초본성적 실존 : 은총 854
⑺ 그리스도론 856
⑻ 구원의 보편 성사인 교회 862
3) 버나드 로너간 : 신학의 초월적 방법론 868
⑴ 생애와 작품 868
⑵ 신학적 방법론 870
7. 문학가, 예술가, 과학자를 위한 신학 : 테이야르 드 샤르댕과 발타사르 874
1) 피에르 테이야르 드 샤르댕 : 우주 진화의 신학 876
⑴ 생애 876
⑵ 작품 877
⑶ 샤르댕의 과학적 철학적 신학적인 거대한 종합 879
⑷ 하느님의 존재에 대한 증명 881
⑸ 그리스도 현상 886
⑹ 활동 영성 888
⑺ 평가 892
2) 한스 우르스 폰 발타사르 : 하느님 영광의 신학 896
⑴ 생애와 작품 896
⑵ 사상 : ‘가톨릭적인’ 우주적 비전 900
⑶ 철학적 계기 903
⑷ 사랑과 영광 909
⑸ 그리스도 910
⑹ 삼위일체 913
⑺ 교회 914
8. 장 다니엘루 : 역사신학, 문화신학, 종교신학 920
1) 생애 921
2) 주요 작품 923
⑴ 역사연구서 923
⑵ 신학연구서 923
3) 사상 923
4) ‘누벨 테올로지’ 929
추천 도서 936
제4장 20세기의 동방정교회 신학 942
1. 세르게이 불가코프 : 지혜론 945
1) 생애와 작품 945
2) 지혜론 사상 946
2. 게오르크 플로로프스키 : 신(新)교부학 949
1) 생애 949
2) 주요 작품 950
3) 사상 951
3. 파벨 에브도키모프 : 신인론 953
1) 생애 953
2) 작품 954
3) 사상 954
4. 블라디미르 로스키 : 신비신학 960
1) 생애와 작품 960
2) 로스키 신학의 기둥들 962
3) 부정적 신비신학 964
추천 도서 969
제5장 제2차 바티칸 공의회와 신학 970
1. 요한 23세와 공의회 소집 971
2. 바오로 6세, 공의회의 인도자 977
3. 공의회의 가르침 987
1) 전례 헌장 「거룩한 공의회」 989
2) 계시 헌장 「하느님의 말씀」 989
3) 교회 헌장 「인류의 빛」 991
4) 사목 헌장 「기쁨과 희망」 999
5) 일치 교령 「일치의 재건」 1009
6) 비그리스도교 선언 「우리 시대」와 종교 자유 선언 「인간 존엄성」 1012
7) 공의회 발언들의 신학적 특성과 공의회의 가치 1014
4.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신학자들의 역할 1016
추천 도서 1019
제3부 제2천년기 말의 신학 : 쇄신과 토착화
제1장 비오 11세부터 요한 바오로 2세까지 교황 교도권의 가르침 1023
1. 비오 11세 1024
2. 비오 12세 1033
1) 성경, 교도권, 신학 1036
2) 교회론 1039
3) 윤리 1041
4) 사회 교리 1044
3. 요한 23세 1045
4. 바오로 6세 1050
5. 요한 바오로 2세 1063
1) 새 복음화 1070
2) 토착화 1073
3) 사랑의 문명을 위하여 1075
6. 결론 1080
추천 도서 1082
제2장 급진주의 신학 또는 “사신신학” 1083
1. 19세기 말의 신학 1083
2. 급진주의 신학 1089
1) 급진주의 신학의 이유들 1091
2) 하비 콕스 : 세속 도시 신학 1093
⑴ 생애 1093
⑵ 작품 1094
⑶ 사상 : 세속 도시 안에서 교회와 신학의 의무 1094
3) 토마스 로빈슨 : 하느님의 인간적 얼굴의 신학 1098
⑴ 생애와 작품 1098
⑵ 사상 1099
4) 윌리엄 해밀턴 : 단편적 신학 1102
⑴ 생애와 작품 1102
⑵ 사상 1103
5) 폴 반 뷰렌 : 신학적 의미론 1106
⑴ 생애와 작품 1106
⑵ 사상 1107
6) 토마스 알타이저 : 그리스도교적 무신론의 복음 1111
⑴ 생애와 작품 1111
⑵ 사상 1111
추천 도서 1116
제3장 희망의 신학 1117
1. 60년대의 낙관적 기류 1118
2. 에른스트 블로흐의 희망의 철학 1119
3. 종말론의 재발견 1121
4. 위르겐 몰트만 1122
1) 생애 1122
2) 주요 작품 1124
3) 사상 1124
5. 희망의 신학의 발전과 쇠퇴 1135
추천 도서 1137
제4장 정치신학 1138
1. 신학의 정치적 관심의 기원 1140
2. 요하네스 밥티스트 메츠 : 정치신학의 창시자 1143
1) 생애 1143
2) 작품 1143
3) 사상 1144
4) 「세상의 신학」 1144
5) 정치신학 1148
3. 존 코트니 머레이 : 종교 자유의 신학자 1155
1) 생애와 작품 1155
2) 사상 1156
추천 도서 1161
제5장 해방신학 1162
1. 해방신학의 기원 1162
1) 정치적 원인 1163
2) 문화적 원인 1164
3) 교회적 원인 1164
4) 신학적 원인 1165
2. 해방신학의 세 단계 1166
3. 해방신학의 주된 방향 1168
4. 해방신학의 근본 논지 1169
5. 해방신학의 특징 1174
6. 해방신학의 주역들 1178
1) 구스타보 구티에레스 1178
⑴ 생애와 작품 1178
⑵ 사상 1179
⑶ 신앙교리성의 지적과 구티에레스의 답변 1182
2) 우고 아스만 1185
⑴ 생애와 작품 1185
⑵ 사상 1186
3) 레오나르도 보프 1188
⑴ 생애와 작품 1188
⑵ 해방신학의 목표와 방법 1190
⑶ 해방자 예수 그리스도 1191
4) 혼 소브리노 1194
⑴ 생애와 작품 1194
⑵ 해석학적 지평 1195
⑶ 신학의 원천 1196
⑷ 실천의 기준 1197
⑸ 역사적 예수 1197
⑹ 칼케돈의 정의 1200
5) 해방신학의 다른 주창자들 1201
⑴ 엔리케 두셀 1201
⑵ 호세 미게스 보니노 1203
⑶ 후안 세군도 1203
⑷ 이그나시오 에야쿠리아 1204
7. 해방신학에 대한 교회 교도권의 개입 1205
추천 도서 1208
제6장 가톨릭의 신학적 쇄신 : 라칭거, 큉, 스킬레벡스 1209
1. 요제프 라칭거 : 교도권의 신학 1210
1) 생애 1210
2) 작품 1212
3) 신학의 교리 교육적 역할 1213
4) 신앙의 이성적 기초 1215
5) 교도권과 신학 1219
6) 교회의 성찬적 차원 1220
7) 교회 밖의 구원 1224
2. 한스 큉 : 보편적인 교회일치신학 1227
1) 생애 1227
2) 주요 작품 1228
3) 교회 : 제도적 차원보다 우선하는 카리스마적 차원 1229
4) 무류권 문제 1235
5) 예수 그리스도, 하느님의 대리자 1238
6) 하느님의 실존 문제 1243
7) 종교들의 신학 1245
3. 에두아르트 스킬레벡스 : 그리스도교적 실천의 신학 1247
1) 생애 1248
2) 작품 1249
3) 신앙의 해석학 1250
4) 그리스도론 1254
5) 구원론과 그리스도교적 체험 1259
추천 도서 1263
제7장 신학적 인식론과 역사신학 1264
1.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 1264
1) 생애 1265
2) 작품 1267
3) 계시와 역사 1268
4) 신학적 인식론 : 신학의 과제와 방법 1271
5) 그리스도론 1273
6) 인간학 1278
추천 도서 1285
제8장 신학의 새로운 토착화 1286
1. 흑인신학 1288
2. 여성신학 1294
3. 아프리카 신학 1298
4. 아시아 신학 1307
1) 그리스도와 비그리스도교 종교 1309
2) 라이문도 파니카르 1313
⑴ 생애와 작품 1313
⑵ 사상 1314
추천 도서 1318
제9장 20세기 말의 이탈리아 신학 1320
1. 쇄신의 어려움 1320
2. 중요한 결과들 1323
3. 주요 인물들 : 만치니, 사르토리, 포르테 1330
1) 이탈로 만치니 1331
2) 루이지 사르토리 1333
3) 브루노 포르테 1335
4. 미래의 전망 1337
추천 도서 1340
인명 색인 1341
역자 후기 1354
책 속으로
초기 세속화(prima modernita) 과정에서 이미 난관에 봉착하게 된 신학의 여정은 두 번째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해서 조금도 더 나아지지 않았다. 아니 오히려 근대 세계와 대화의 길을 모색하는 이들뿐만 아니라 총력을 기울여 그것과 투쟁하기로 작정한 이들에게도, 신학을 하는 일은 점점 더 힘겹고 위험한 일이 되어 갔다.
--- p.30, 「힘겨운 두 세기」 중에서
1789-1918년의 시기에 역사의 위대한 장면들 ─프랑스 혁명, 나폴레옹 제국, 신성동맹, 독일과 이탈리아의 국가 통일, 스페인 식민 제국의 종언, 프랑스와 독일에 의한 새로운 식민 제국 건설, 제1차 세계대전 등─은 무수하다. 동시에 과학과 기술이 획득한 성공도 실로 엄청나고 놀랍다. 특히 이동 수단, 곧 자전거에서 자동차로, 증기 선박에서 기차와 비행기를 보면 더욱 그러하다. 이 모든 정복은 인류 진보의 범상치 않은 가속화, 복지의 급속한 확산, 부르주아 계층의 삶의 질의 주목할 만한 향상 등을 가능하게 만들어 주었다. 결국 19세기는 부르주아의 세기라고 부를 만하다.
--- p.39, 「프랑스 혁명으로부터 제1차 세계대전까지」 중에서
야콥 프로샴머(Jakob Frohschammer)는 1821년 라티스본 근교의 일코벤(Illkoven)에서 태어났다. 이미 12세 때 교회와 최초의 갈등이 있었는데, 그때 본당 신부는 아버지와의 갈등 때문에 자신의 동료로 하여금 라틴어 학교에 입학하는 데 필수적인 강의들을 그 어린이에게 하지 못하도록 금지하였다. 프로샴머 자신이 그의 『자서전』에서 그가 이론적인 동기에서 교회와 겪었던 갈등의 경과를 어떻게 기억하는지 살펴보자.
--- p.289, 「유럽 가톨릭 신학」 중에서
하이데거는 마지막 여러 작품에서 하느님에 대한 문제를 반복해서 언급했지만, 이는 단지 존재가 어떤 방식으로든 하느님과 동일시될 수 없다고 하는 유명한 주장을 다시 확증하기 위해서 그렇게 했을 뿐이다. 하이데거는 철학과 종교 간의 여하한 모든 관계를 배제했으며, 자연신학의 가능성에 이의를 제기했다. 그는 종교적인 신앙 주제가 철학의 권한에 속하지 않는다고 보았다. 절대 존재이자 자연신학의 제1원인으로서 하느님은 신앙의 하느님도 계시의 하느님도 아니다. 그는 존재(Sein)와 존재자(Seiendes) 간의 차이를 상기하는 가운데, 철학은 성(聖)의 차원을 강조하고 하느님과의 만남이 가능한 본질적인 공간을 자유롭게 허용하는 데 기여해야 한다고 보았다.
--- p.534, 「근대성의 위기와 신학자들의 대답」 중에서
같은 시기에 가톨릭 신학에서는 두 가지 구별되는 주요 노선이 나타났다. 하나는 성 토마스의 사상으로부터 영감을 받은 노선이고, 다른 하나는 성 아우구스티누스로부터 영감을 받은 노선이다. 아우구스티누스적인 노선의 주요 대변자는 과르디니, 드 뤼박이 있으며, 성 토마스 사상의 추종자들은 이루 헤아릴 수 없이 많다. 그러나 이들은 성 토마스의 사상에 부여한 상이한 해석에 따라 서로 다른 노선으로 나뉜다. 이를 대표하는 세 가지 주요 노선들 ─① 전통적 토미즘: 가장 많이 추종된 흐름으로, 여기에는 가리구-라그랑주, 파렌테, 피올란티, 콜롬보, 셰뉘, 콩가르, 다니엘루 등이 있다. ② 초월적 토미즘: 라너와 로너간이 있다. ③ 미학적 토미즘: 발타사르가 이에 속한다.─이 있다. 테이야르 드 샤르댕은 이와 달리 완전히 자주적인 선상에서 움직였다.
마지막으로 동방정교회 신학의 리더에는 불가코프, 로스키, 플로로프스키, 에브도키모프가 있다.
--- p.567, 「근대성의 위기와 신학자들의 대답」 중에서
이미 1800년대 후반을 기점으로 콤자코프(Komjakov), 솔로비예프(Solovjev)와 더불어 러시아 신학의 첫 번째 부흥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당시는 아직 엄밀한 의미에서 진정한 운동으로 이어지지 못했다. 반면, 1900년대 초반 레닌그라드와 모스크바의 신학부 소속의 많은 신학자들이 함께하는 진정한 의미의 운동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이 전도유망한 운동은 볼셰비키 혁명 그리고 공산주의의 승리와 더불어 갑작스럽게 중단되었으며, 소비에트 연방에서는 무신론이 국교가 되고 말았다. 10월 혁명 이후 러시아 동방정교회의 모든 지식인들은 해외로 피신해야 했으며 체코슬로바키아, 프랑스, 영국, 미국 등 서방 여러 나라에 거주지를 마련해야 했다. 그러나 이러한 분산이 러시아 동방정교회 신학의 종말을 의미하지 않았다.
--- p.942, 「20세기의 동방정교회 신학」 중에서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때까지 라틴 아메리카는 신학적으로 독립된 삶을 갖고 있지 않았으며, 끊임없이 유럽 신학으로 양육되었다. 공의회 이후에 터져 나온 현대화와 신학적 쇄신을 통해서야 라틴 아메리카 신학은 유럽의 신학적 식민주의와 제국주의에서 벗어나 신학의 기초를 놓을 수 있게 되었는데, 이는 해방신학의 창출로 실현되었다.-- p.1162, 「해방신학」 중에서
--- p.30, 「힘겨운 두 세기」 중에서
1789-1918년의 시기에 역사의 위대한 장면들 ─프랑스 혁명, 나폴레옹 제국, 신성동맹, 독일과 이탈리아의 국가 통일, 스페인 식민 제국의 종언, 프랑스와 독일에 의한 새로운 식민 제국 건설, 제1차 세계대전 등─은 무수하다. 동시에 과학과 기술이 획득한 성공도 실로 엄청나고 놀랍다. 특히 이동 수단, 곧 자전거에서 자동차로, 증기 선박에서 기차와 비행기를 보면 더욱 그러하다. 이 모든 정복은 인류 진보의 범상치 않은 가속화, 복지의 급속한 확산, 부르주아 계층의 삶의 질의 주목할 만한 향상 등을 가능하게 만들어 주었다. 결국 19세기는 부르주아의 세기라고 부를 만하다.
--- p.39, 「프랑스 혁명으로부터 제1차 세계대전까지」 중에서
야콥 프로샴머(Jakob Frohschammer)는 1821년 라티스본 근교의 일코벤(Illkoven)에서 태어났다. 이미 12세 때 교회와 최초의 갈등이 있었는데, 그때 본당 신부는 아버지와의 갈등 때문에 자신의 동료로 하여금 라틴어 학교에 입학하는 데 필수적인 강의들을 그 어린이에게 하지 못하도록 금지하였다. 프로샴머 자신이 그의 『자서전』에서 그가 이론적인 동기에서 교회와 겪었던 갈등의 경과를 어떻게 기억하는지 살펴보자.
--- p.289, 「유럽 가톨릭 신학」 중에서
하이데거는 마지막 여러 작품에서 하느님에 대한 문제를 반복해서 언급했지만, 이는 단지 존재가 어떤 방식으로든 하느님과 동일시될 수 없다고 하는 유명한 주장을 다시 확증하기 위해서 그렇게 했을 뿐이다. 하이데거는 철학과 종교 간의 여하한 모든 관계를 배제했으며, 자연신학의 가능성에 이의를 제기했다. 그는 종교적인 신앙 주제가 철학의 권한에 속하지 않는다고 보았다. 절대 존재이자 자연신학의 제1원인으로서 하느님은 신앙의 하느님도 계시의 하느님도 아니다. 그는 존재(Sein)와 존재자(Seiendes) 간의 차이를 상기하는 가운데, 철학은 성(聖)의 차원을 강조하고 하느님과의 만남이 가능한 본질적인 공간을 자유롭게 허용하는 데 기여해야 한다고 보았다.
--- p.534, 「근대성의 위기와 신학자들의 대답」 중에서
같은 시기에 가톨릭 신학에서는 두 가지 구별되는 주요 노선이 나타났다. 하나는 성 토마스의 사상으로부터 영감을 받은 노선이고, 다른 하나는 성 아우구스티누스로부터 영감을 받은 노선이다. 아우구스티누스적인 노선의 주요 대변자는 과르디니, 드 뤼박이 있으며, 성 토마스 사상의 추종자들은 이루 헤아릴 수 없이 많다. 그러나 이들은 성 토마스의 사상에 부여한 상이한 해석에 따라 서로 다른 노선으로 나뉜다. 이를 대표하는 세 가지 주요 노선들 ─① 전통적 토미즘: 가장 많이 추종된 흐름으로, 여기에는 가리구-라그랑주, 파렌테, 피올란티, 콜롬보, 셰뉘, 콩가르, 다니엘루 등이 있다. ② 초월적 토미즘: 라너와 로너간이 있다. ③ 미학적 토미즘: 발타사르가 이에 속한다.─이 있다. 테이야르 드 샤르댕은 이와 달리 완전히 자주적인 선상에서 움직였다.
마지막으로 동방정교회 신학의 리더에는 불가코프, 로스키, 플로로프스키, 에브도키모프가 있다.
--- p.567, 「근대성의 위기와 신학자들의 대답」 중에서
이미 1800년대 후반을 기점으로 콤자코프(Komjakov), 솔로비예프(Solovjev)와 더불어 러시아 신학의 첫 번째 부흥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당시는 아직 엄밀한 의미에서 진정한 운동으로 이어지지 못했다. 반면, 1900년대 초반 레닌그라드와 모스크바의 신학부 소속의 많은 신학자들이 함께하는 진정한 의미의 운동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이 전도유망한 운동은 볼셰비키 혁명 그리고 공산주의의 승리와 더불어 갑작스럽게 중단되었으며, 소비에트 연방에서는 무신론이 국교가 되고 말았다. 10월 혁명 이후 러시아 동방정교회의 모든 지식인들은 해외로 피신해야 했으며 체코슬로바키아, 프랑스, 영국, 미국 등 서방 여러 나라에 거주지를 마련해야 했다. 그러나 이러한 분산이 러시아 동방정교회 신학의 종말을 의미하지 않았다.
--- p.942, 「20세기의 동방정교회 신학」 중에서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때까지 라틴 아메리카는 신학적으로 독립된 삶을 갖고 있지 않았으며, 끊임없이 유럽 신학으로 양육되었다. 공의회 이후에 터져 나온 현대화와 신학적 쇄신을 통해서야 라틴 아메리카 신학은 유럽의 신학적 식민주의와 제국주의에서 벗어나 신학의 기초를 놓을 수 있게 되었는데, 이는 해방신학의 창출로 실현되었다.-- p.1162, 「해방신학」 중에서
출판사 리뷰
바티스타 몬딘의 『신학사』 전집 완역
『신학사 4』의 출간을 마지막으로 그간 한국 교회에 큰 공백으로 남아 있던 그리스도교 신학의 통사에 대한 원대한 비전을 제시함으로써 신학의 모든 분야에 대한 전체적인 흐름을 꿰뚫어 볼 수 있는 길을 열어 주는 바티스타 몬딘의 『신학사』 전집(1-4권)이 한국어로 완역되었다. 이 시리즈는 2000년대 초반 현 원주 교구장으로 계신 조규만 주교가 기획하고 번역을 시작하신 대작으로 분량 면이나 내용 면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시리즈이다. 이 책을 통해 앞으로 신학을 공부하는 모든 신학도들은 그리스도교 사상 전체를 시대별, 학파별, 인물별, 교도권의 결정에 따라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자신이 심화하고자 하는 신학 분야의 배경, 그와 연관된 다양한 요소들을 섭렵할 수 있을 것이다
『신학사 4』의 출간을 마지막으로 그간 한국 교회에 큰 공백으로 남아 있던 그리스도교 신학의 통사에 대한 원대한 비전을 제시함으로써 신학의 모든 분야에 대한 전체적인 흐름을 꿰뚫어 볼 수 있는 길을 열어 주는 바티스타 몬딘의 『신학사』 전집(1-4권)이 한국어로 완역되었다. 이 시리즈는 2000년대 초반 현 원주 교구장으로 계신 조규만 주교가 기획하고 번역을 시작하신 대작으로 분량 면이나 내용 면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시리즈이다. 이 책을 통해 앞으로 신학을 공부하는 모든 신학도들은 그리스도교 사상 전체를 시대별, 학파별, 인물별, 교도권의 결정에 따라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자신이 심화하고자 하는 신학 분야의 배경, 그와 연관된 다양한 요소들을 섭렵할 수 있을 것이다
'48.카톨릭-천주교 (독서>책소개) > 2.천주신학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회신분법 (2004) (0) | 2023.09.24 |
---|---|
마리아, 은총의 어머니 (2007) - 마리아 교의와 공경의 역사 (0) | 2023.09.24 |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 해설서 (2019) - 천주교일반 (0) | 2023.09.03 |
그리스도론(2023)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신 그리스도 - 신학교리 (0) | 2023.09.03 |
그리스도교 신학의 역사 (2022) (0) | 2023.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