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책소개
본서는 종교개혁자 칼빈의 생애 중 특별히 청년 시절을 추적한다. 왜냐하면, 청년 시기는 인생에 있어 매우 중요한 시기이고, 이 시기에 내린 결정이 한 사람의 일생을 크게 좌우하기 때문이다. 칼빈은 원래 가톨릭 교회 신부였으나, 개신교의 위대한 지도자가 되었다. 이 같은 엄청난 전환이 어떻게 이루어졌는가? 본서는 이 문제에 깊은 관심을 가진다.
목차
1. 칼빈의 어린 시절 / 5
2. 칼빈의 파리대학교 시절 (1523~1527/28) / 29
3. 오를레앙에서의 법학 공부 (1528~29) / 56
4. 부르주에서의 법학 공부 (1529~31) / 68
5. 세네카의 〈관용론〉 주석 출판 (1532년 봄) / 79
6. 칼빈의 '갑작스런' 회심 (subita conversio) / 94
7. 〈기독교 강요〉 초판 집필 및 출판 / 140
8. 제네바 제1차 사역 (1536~38) / 179
9. 스트라쓰부르그에서의 사역 (1538~41) / 217
저자 후기 / 232
2. 칼빈의 파리대학교 시절 (1523~1527/28) / 29
3. 오를레앙에서의 법학 공부 (1528~29) / 56
4. 부르주에서의 법학 공부 (1529~31) / 68
5. 세네카의 〈관용론〉 주석 출판 (1532년 봄) / 79
6. 칼빈의 '갑작스런' 회심 (subita conversio) / 94
7. 〈기독교 강요〉 초판 집필 및 출판 / 140
8. 제네바 제1차 사역 (1536~38) / 179
9. 스트라쓰부르그에서의 사역 (1538~41) / 217
저자 후기 / 232
'46.기독교신학 (연구>책소개) > 3.칼빈주의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칼빈 이후의 개혁신학자들 (2013) (0) | 2023.11.03 |
---|---|
칼빈과 종교 개혁가들 (2012) (0) | 2023.11.03 |
칼빈의 초기사상연구Ⅱ 칼빈「두 서신」과 니코데미즘 (0) | 2023.11.03 |
칼빈의 초기사상연구 (2000) (0) | 2023.11.03 |
한국 교회를 빛낸 칼빈주의자들 (2020) (0) | 2023.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