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책소개
지금으로부터 100 여년 전인 1923년 일제강점기 제주와 오사카 간의 직항로가 개설되면서 군대환을 타고 오사카로 떠났던 제주인들!
· 그들은 왜 고향땅을 뒤로 한 채 오사카행 배에 몸을 실었던 걸까?
· 이카이노 지구라고 불렸던 지역에 재일제주인들이 밀집해 살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 너무나 열악한 환경과 지독한 차별 속에서 그들은 어떤 삶을 살아냈던 걸까?
저자는 이주 1세대 어르신들을 인터뷰하고 다양한 자료를 발로 뛰어 발굴하면서 이곳에 정착해온 재일제주인들의 행보를 생생히 밝혀나간다.
"이 골목을 처음 방문했을 때 작은 입구에 걸려 있던 문패들을 보고는 숨이 멎을 뻔했다. 문패에 ‘金海 모’ ‘新井 모’라는 일본식 이름 옆에 조선 이름이 적혀 있거나 조선 이름 문패만 있는 집들이 골목의 집들 중 절반 이상에 달했기 때문이다." -저자의 회상
목차
그곳은 이방인의 마을 / 히라노 운하는 언제 착공되었나 / ‘조선 마을’의 성립
하숙집에서 셋집으로 / 제주도 사람들의 마을 / 풍속과 관습이 뚜렷이 남은 일상
김치 냄새 풍기는 시장 / 별 하늘을 바라보며 배우는 나날들
최저임금 노동자의 집단으로 / 생활 개선의 요구를 내걸고
맺음말 / 옮긴이의 글
저자 소개
저 : 김찬정
일본 교토에서 태어나 1963년 일본 조선대학교 정치경제학부를 졸업했다.
잡지사 편집 기자를 거쳐 재일 조선인 문제 · 교육 문제를 중심으로 한 논픽션 작가로 활동했으며, 일제 강점기에 오사카의 방적공장에서 일했던 재일교포 1세대 조선 소녀들의 삶을 직접 발로 뛰며 수집한 자료와 증언을 통해 기록한 저서 『조선인 여공의 노래』는 2024년 다큐멘터리 영화로 제작 상영되었다.
역 : 김순임
제주대학교에서 동번역학 석사와 일본 정치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동번역 및 강의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으며 현재 제주대학교 제일제주인센터 특별연구원으로 있다.
번역서로는 [제주도 해녀의 민족지- 바다밭의 생활세계], [전쟁과평화]등이 있다.
역 : 강경희
도쿄대학대학원 종합문화연구와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현재 제주대학교 제일제주인센터 특별연구원으로 강의활동과 연구를 하고 있다.
저서로는[동아시아에서의 인류학-국가, 개발, 시민], [대가야시대 한일해양교류와 현대적 재현], [인류학과 제주학의 시선으로 제주도를 읽다] 등이 있다.
출판사 리뷰
특징과 의의
이카이노는 현재 코리아타운으로 유명한 오사카시 이쿠노구 모모다니의 옛 지명으로 재일제주인 밀집 거주지역이다.
일본 각지에는 적게는 수십 명에서, 많게는 1만 명 정도의 속칭 ‘조선부락’이라고 불리는 조선인 집단거주 지역이 존재한다. 그런 조선부락 중 가장 큰 곳이 오사카의 이쿠노구 모모다니 지역이다.
1930년대 제주도 인구의 25%인 약 5만 명 정도가 일본에 이주하여 살았다는 기록을 보면 얼마나 많은 제주 사람 들이 일본에 거주했는지 알 수 있다.
1세대 재일제주인들이 대부분 돌아가시고 그들의 이야기를 생생하게 들을 수 없는 지금, 이 책은 재일제주인의 이주 역사와 삶을 재조명하고 재인식하는 데 귀중한 의미를 남긴다.
더 나아가 이 책은 한국의 근현대사에서 재일한국인의 역사를 이해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될 것이다.
추천평
1960년대 재일의 젊은 연구자 김찬정 선생은 우리가 주목하지 못했던 재일1세들의 시리고 뜨거운 삶에 시선을 꽂았고, 그 육성들을 찾아 생의 한 여정을 걸었다.
결국 이해하기 어려운 제주의 말들을 오랜 세월에 걸쳐 공적역사로 기록해 냈다.
바닥에 납작 엎드린 풀잎처럼 뿌리내리던 재일1세들의 차별과 갈등 그리고 공동체의 생생함, 말할 수 없는 몸부림이 비로소 보이기 시작하니 얼마나 다행인지 모른다.
구속에서 고향으로 헐벗은 송금을 하던 분투는 또 얼마나 질퍽한가, 이들은 재일의 뿌리이며 그들은 바로 우리 근현대사다
- 하영선 (시인, 전 제주4.3연구소장)
일본 속 최대의 이방인 마을, 이카이노 한때 일본인들에게 무관심의 공간이었던 이곳은 이제 코리아타운으로 변모하여 많은 이들이 찾는 매력적인 장소가 되었다. 재일1세대 어르신들의 고령화로 인해 이제는 들을 수 없는 이카이노 속 고난과 희망의 이야기가 이 책 속에 생생히 살아 숨 쉬고 있다.
- 손영석 (제주대학교 재일제주인센터장)
* 출처 : 예스24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41887841>
'22.역사이야기 (관심>책소개) > 8.제주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원도심으로 떠나는 건축기행 (2021) (4) | 2024.11.07 |
---|---|
제주 근대건축 산책 (2024) - 제주만의 이야기가 깃든 근대 유산을 찾아서 (1) | 2024.11.07 |
제주문화 키워드(2024) - 제주기독신문에 3년간 연재된 제주 인문학의 주제 (7) | 2024.09.08 |
이승만과 하지 장군 (2015) (0) | 2023.04.04 |
서북청년회 (2015) (0) | 2023.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