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성서신학 (연구>책소개)/1.교회사.성서고고학

고대 근동 문화

동방박사님 2021. 12. 28. 09:43
728x90

책소개

고대 이스라엘 13개 민족의 기원과 역사, 언어, 문화, 정치, 경제 등 다양한 영역을 구체적으로 살펴 보고 있다. 최근의 발굴 자료와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여러 학자들의 연구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이것이 구약 성경과 어떠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는지 분명히 밝히고 있다. 고대 근동의 민족에 관하여 단순히 사실을 재현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성경 기록의 참뜻과 메시지를 온전히 전달하고자 노력했다. 150여 년간의 고대 근동에 대한 백과사전적 참고서라는 극찬을 받을 정도로 각종 유물과 논문들을 세밀하게 분석하였음은 물론 풍성한 각주와 저자 색인까지 담았기에, 고대 근동을 연구하는 학자 및 성도들에게 매우 유용한 참고 자료가 될 것이다.

목차

추천사 1 (김의원 박사, 백석대학교 대학원 학사부총장)
추천사 2 (마크 차발라즈, 테리 W. 에딩어, W. 리 험프리즈)
머리말
서문
역자서문
유물사진목록
약어표
기고자
시리아-팔레스타인 고고학적 연대
고대 근동 지도

1부 메소포타미아
1장 수메르인 / 월터 R. 보딘
2장 바빌로니아인 / 빌 T. 아놀드
3장 아시리아인 / 윌리엄 C. 괄트니
4장 페르시아인 / 에드윈 M. 야마우치
2부 아나톨리아, 시리아-팔레스타인, 이집트
5장 히타이트인 / 해리 A. 호프너
6장 가나안인과 아모리인 / 키이스 N. 스코빌
7장 페니키아인 / 윌리엄 A. 워드
8장 아람인 / 웨인 T. 피타드
9장 블레셋인 / 데이빗 M. 하워드
10장 이집트인 / 제임스 K. 호프마이어
3부 트랜스 요르단
11장 암몬인 / 랜돌 W. 영커
12장 모압인 / 제랄드 L. 매팅리
13장 에돔인 / 케네스 G. 호글런드

성경 색인
저자 색인
주제 색인
 

저자 소개

편자 : 알프레드 J. 허트
Alfred J. Hoerth. 미국 Wheaton College 고고학센터장을 역임하고 있다.
편자 : 제랄드 L. 매팅리
Gerald L. Mattingly. 미국 Johnson Bible College 성경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편자 : 에드윈 M. 야마우치
Edwin M. Yamauchi. 미국 Miami University 역사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책 속으로

수메르인이 우리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데는 몇 가지 요인이 있다. 그 중 하나는 성경에서 그들을 주목하지 않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제까지 고대 근동학의 각 분야는 자체의 정당성을 지닌, 연구할 가치가 있는 학문으로서 그 독자성을 확립하였다. 이것은 확실히 아시리아학(Assyriology,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수메르인과 셈 족 연구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도 해당되지만 고대 근동문명 연구를 진전시킨 주된 동인(動因) 중 하나가 히브리 성경이라는 것도 엄연한 사실이다. 수메르인이 잘 알려지지 않은 또 다른 상대적 요인은 이미 알려진 고대 세계(또는 어떤 시기)의 언어와 그들의 언어가 무관하다는 것이다. 셈어, 더 넓게는 아시아-아프리카어(Afroasiatic) 그리고 히타이트어와 고대 페르시아어의 경우에도 인도-유럽어와 비교언어연구를 하는 것은 한 언어의 연구를 통해 또 다른 고대 근동 언어로 연결되지만 수메르어 연구는 아카드어(Akkadian)를 설명해주는 것을 제외하고는 아무런 연관성이 없다.2) 아마도 가장 중요한 요인은 여전히 수메르어 자체의 연구와 관련된 고도의 모호성이 될 것이다. 지금도 가장 이른 초기문헌의 상당부분은 언어 역사상 나타난 몇몇 양상과 같이 해독이 불가능하다. 이 모든 문제에 더하여, 한 민족으로서 수메르인의 존재 자체가 19세기 말엽에서야 겨우 확인되었다 ---p. 28

20세기로 진입할 즈음 고대 바빌로니아에서 나온 방대한 양의 새로운 정보가 집중적인 관심을 끌기 시작하자 학자들은 성경 문서와의 유사성으로 인해 당황하였다. 일부 학자들은 이로 인해 모든 사상들이 바빌로니아에서 기원했으며 서쪽으로 이동했다고 가정하는 “범-바빌로니아주의”(pan-Babylonianism)로 넘어갔다.105) 이런 접근법을 포기한 지 오랜 기간이 지났지만 몇몇 학자들은 아직도 메소포타미아와 이스라엘 간의 개념적이고 문화
적인 연속성을 과도하게 강조하고 있다.106) 이스라엘과 그 이웃들이 공통의 문화를 지녔지만 각각은 거기에서부터 서로 다르게 발전했다는 사실을 인식함으로써 보다 균형잡힌 접근법이 생겨난다. 그래서 성경의 홍수 이
야기는 “길가메쉬 서사시”와는 형태와 내용에서도 구별된 유사성을 보여준다. 또한 그 사건은 구약성경에서 전혀 다른 해석으로 설명된다.107) 바빌로니아인은 3천년기의 수메르-아카드 문화를 개조하여 전파하였다. 구, 신-바빌로니아 시대 동안의 전례 없는 그들의 정치적 중요성 때문에 이 문화적 유산은 고대 근동에서 셈 족의 공통적 세계관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공헌을 하였다. 구약성경의 이스라엘은 솔직히 그 문화적 저장고의 주류에 속해 있다. 그러나 이스라엘이 그들의 유산과 얼마만큼 다른지는 온전히 탐구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실제로 이스라엘은 어느 정도 그것을 반대했을 것이다. ---p.104-105

다리우스는 무게와 도량형을 표준화하고 주화를 주조하기 시작했다. 시글로이(sigloi)로 알려진 은화와 유명한 금화 다릭(darics).36) 그가 취한 여러 경제조치들 때문에 다리우스는 헬라인들에게 행상인으로 평판이 났다. 헤로도투스에 따르면(3:89), “바로 이렇게 공물을 결정하는 것과 또 법령과 같은 다른 이유로 인하여 페르시아인은 다리우스를 행상인, 캄비세스를 주인, 고레스를 아버지라고 불렀다. 왜냐하면 다리우스는 모든 것에서 사소한 이윤을 챙기고 캄비세스는 거칠고 오만하며 고레스는 자비롭고 그들의 행복을 위해서 일했기 때문이다”라고 한다. ---p.164

에스더의 보호자는 모르드개(Mordecai)인데 그 이름은 다리우스와 크세르크세스 통치시 페르세폴리스의 엘람어 서판에 기록된 페르시아 관료명부에서 입증되었다.42) 모르드개는 자신의 관료 직위에 대한 징표로 수사의 “대궐문에” 앉아있었다(에 2:19, 21 5:9, 13). 최근에 프랑스 발굴단은 수년간의 탐사 끝에 수사의 아케메니드(Achemenid) 궁전 대문을 발견하였다. 그들은 에스더서의 저자가 보여준 수사에 대한 상세하고도 정확한 지식에 깊은 감명을 받았다. ---p. 167

다수의 학자들은 조로아스터교가 유대인의 바벨론 포로기 동안에 사탄, 귀신론, 천사론 그리고 특히 심판, 부활, 계시록, 불시험, 천국과 지옥과 같은 종말론적 신앙에 관한 유대교의 가르침에 영향을 미쳤다고 여긴다. 이러한 주장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① 이란 신앙의 연대기적 선재성 ② 구약성경 본문의 후기 연대 ③ 두 신앙 간의 밀접한 유사성 ④ 의존에 관한 이유가 상정되어야만 한다. 이런 문제들에 관한 비평적 분석은 여러 유사성들이 후대(주후 9세기) 팔라비(Pahlavi) 시대의 우주론과 종말론에 관한 조로아스터교 자료로부터 도출되었음을 보여준다. 게다가 많은 유사점이 부정확하다. 그러므로 이러한 교리들은 페르시아의 영향을 받지 않고 유대교 내에서 자생적으로 발전했다고 설명하는 것이 더 신빙성이 있다. ---p. 176-177

히타이트어, 루비어 그리고 팔라이어의 문법적 구조가 인도-유럽 어족이긴 하지만 이 언어의 사용자들이 아나톨리아에 도착했을 때 그들은 그곳에서 만난 민족들로부터 상당량의 어휘를 채택했다.24) 이것은 특히 그 지역의 동식물에 관한 용어에 해당하는데 이는 인도-유럽인이 그들의 이전 본거지에서 거기에 상응하는 단어를 갖지 못했기 때문이고25) 또 새로운 땅의 특유한 사회적 신분과 특별한 전문직을 나타내는 용어도 마찬가지다. 왕과 여왕에 대한 단어는 인도-유럽어였던 것 같고 다양한 종류의 제사장과 기능공에 대한 용어는 확실치가 않다. 흥미롭게도 제사장을 뜻하는 히타이트어, 샨쿤니쉬(shankunnish)는 그 지역의 비-인도-유럽어인 아나톨리아어가 아니라 후리 족(접미사-nni)을 통해 메소포타미아(수메르어 SANGA, 아카드어 ?ngu)에서 차용했다. 늘 그렇듯이 외래적 요소가 동사에서는 드물지만 명사와 형용사에서는 꽤 흔하게 나타난다. ---p.189

히타이트인의 농업과 식량생산에 관해서 기초적으로 다룬 책은 필자의 책 『히타이트인의 식량』(Alimenta Hethaeorum)이다.41) 그 책은 몇 가지 곡물과 다양한 종류의 과일과 채소(콩, 병아리 콩, 렌즈 콩, 오이, 양파, 파와 마늘)가 재배되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양봉으로 꿀과 밀랍을 얻었다. 포도주 음료는 건포도와 함께 포도원에서 생산되었다. 맥주 제조 기술이 알려지고 제조되었다. 책에서는 여러 종류의 포도주들이 구분되지 않지만 적어도 세 가지 종류의 맥주가 있다. 다른 발효음료들로는 “꿀-맥주”(beer-honey)가 있는 데 이것은 벌꿀 술이거나 꿀로 단맛을 낸 보리로 만든 일반맥주일 것이고, 다른 것들은 우리에게 “왈히”(wal?i)와 “타왈”(tawal) 그리고 “맥주-와인”이라는 이름만 남아있다.
---p. 197
 

출판사 리뷰

본서에서 13명의 학자들이 고대 이스라엘 당시의 13개 민족들의 기원과 역사, 언어와 문화, 정치와 경제, 종교와 관습 등에 대한 최근의 발굴 자료들과 여러 학자들의 연구 결과를 비교하며 전반적으로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고대 근동의 민족들에 관한 역사 문화적 사실을 재현하는 데 그치지 않고 구약 성경과 어떻게 연관되는지 밝혀 성경의 기록과 메시지를 편견 없이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본서는 150여 년간의 고대 근동에 대한 연구 결과물들 중 가장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어 백과사전적 참고서라는 평가를 받을 정도로 여러 가지 고고학적 유물들과 논문들을 면밀하게 살피고 있다. 또한 고대 근동 민족들에 대한 연구와 구약과의 연결성을 통해 학문적 성과를 크게 냄으로써 ‘성경고고학회’에서 주는 출판상까지 수여하였다.
본서에 각 장 별로 다양한 유물사진과 추천도서가 실려 있고 풍성한 각주와 주제와 성경뿐 아니라 저자 색인까지 상세히 담겨 있어 고대 근동에 대해 연구하는 이들에게 참고서 또는 교과서로 유용하다. 역사에 관심 있는 성도들에게도 유익한 자료가 될 것이다.

추천 독자

* 이스라엘 역사에 대해 관심 있는 일반 독자들
* 성서학 및 역사학을 연구하는 신학자 및 신학생들
* 목회 현장에서 설교와 교육을 담당하는 사역자들

기고자

빌 T. 아놀드(Bill T. Arnold)
Hebrew Union College(Ph.D.).
Ashland Theological Seminary(Ph.D.)의 구약과 셈어교수.
월터 R. 보딘(Walter R. Bodine)
Harvard University(Ph.D.). 달라스 거주.
윌리엄 C. 괄트니(William C. Gwaltney Jr.)
Hebrew Union College(Ph.D.).
Milligan College 성경학 Stephens 교수.
제임스 K. 호프마이어(James K. Hoffmeier)
University of Toronto(Ph.D.).
Wheaton College 고고학·구약학 교수.
해리 A. 호프너(Harry A. Hoffner Jr.)
Brandeis University(Ph.D.).
University of Chicago 동양연구소 히타이트학 교수.
케네스 G. 호글런드(Kenneth G. Hoglund)
Duke University(Ph.D.).
Wake Forest University 종교학 조교수.
데이빗 M. 하워드(David M. Howard Jr.)
University of Michigan(Ph.D.).
Trinity Evangelical Divinity School 구약학·셈어 교수.
제랄드 L. 매팅리(Gerald L. Mattingly)
South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Ph.D.).
Johnson Bible College 성경학 교수.
웨인 T. 피타드(Wayne T. Pitard) Harvard University(Ph.D.).
University of Illinois 히브리 성경 부교수.
키이스 N. 스코빌(Keith N. Schoville)
University of Wisconsin (Ph.D.)
University of Wisconsin 히브리어·셈족학 교수.
윌리엄 A. 워드(William A. Ward)
Brandeis University(Ph.D.).
Brown University 이집트학 교수 및 고대학 과정 책임자.
에드윈 M. 야마우치(Edwin M. Yamauchi)
Brandeis University (Ph.D.).
Miami University 역사학 교수.
랜돌 W. 영커(Randall W. Younker) University of Arizona(Ph.D. Cand.).
Andrews University 고고학 연구소 책임자
 

추천평

이 탁월한 저작은 구약에 언급된 주요 비이스라엘 민족에 대한 백과사전적 참고서로 인정받을 것이다. 본서가 차세대의 학자들을 위한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마크 차발라즈 (University of Wisconsin 역사학 교수)
본서의 저자들은 역사적으로 검증된 자료뿐만 아니라 최근 학문적 업적을 사용하여 본문의 정보와 고고학적 정보를 효과적으로 결합하여 전한다.
테리 W. 에딩어 (Carolina Evangelical Divinity School 구약학 교수)
본서는 성경과 고대 근동에 대해 연구하는 학생들과 지대한 역사적 관심을 가지고 히브리 성경을 읽는 사람들에게 유용한 책이다.
W. 리 험프리즈 (University of Tennessee 명예교수)
본서는 이 분야의 앞선 책들보다 최근의 학적 자료들을 풍부하게 담고 있어 성경과 고대 근동을 연구하는 학생들과 교사들에게 매우 유용하다. 또한 본서는 읽기 쉽게 쓰여서 고대 근동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어도 읽을 수 있는 장점을 가졌다.
김의원 (백석대학교 대학원 학사부총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