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한반도평화 연구 (박사전공>책소개)/2.북한탐구

사회주의는 북한을 어떻게 변화시켰나?

동방박사님 2022. 1. 17. 12:53
728x90

책소개

기존의 북한 연구가 주로 조선로동당, 주체사상, 김일성과 김정일, 농업협동화 및 경제건설노선 등 북한 사회주의 정치경제의 기본 방향과 특징을 보여줄 수 있는 문제에 집중되었다면, 최근의 연구는 가족과 여성, 상업 활동, 인민들의 의식세계, 노동자 농민의 생활, 소련과 중국의 영향 등 다양한 문제들로 확장되고 있었다. 북한의 사회문화와 주민들의 생활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단초들이 마련되고 있었던 것이다.

이 책은 북한의 여성정책과 가족문화, 사회주의 개조에서 조선옷이 가진 의미, 소련이 북한문화에 미친 영향, 상장례 및 어민의 풍습과 노동관행, 농촌사회 및 농민, 노동자층의 의식 변화 등을 다룬 총 9편의 논문으로 구성되었다. 이 논문들을 통해 우리는 해방 후 북한사회가 사회주의적 근대화의 물결 속에 어떻게 편입되어 들어가는지, 어떤 것이 전통으로 평가되고 무엇이 폐풍으로 근절되며 어떤 것이 사회주의적인 내용으로 재구성되는지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머리말

해방된 자아에서 동원의 대상으로: 북한 여성정책의 굴절(1945~1950) | 김재웅

Ⅰ. 머리말
Ⅱ. 여성 억압의 역사 청산, 남녀평등권법령 포고
Ⅲ. 여성들의 사회 진출과 성차별 인습 척결
Ⅵ. 전통적 여성관 척결과 의식개혁의 한계
Ⅴ. 전통적 성역할과 생산노동을 통한 여성 동원
Ⅵ. 맺음말

‘여성’·‘어린이’·‘섹스’를 통해 본 해방 후 북한의 가족문화 | 김재웅

Ⅰ. 머리말
Ⅱ. 가정 보호와 보수적 가족정책
Ⅲ. 체제 건설과 어린이 동원
Ⅵ. 가정의 정치화와 사적 공간의 위축
Ⅴ. 섹스의 통제와 정치화
Ⅵ. 맺음말

북한의 사회주의 개조와 여성의 의복 | 도지인

Ⅰ. 서론
Ⅱ. 북한 “녀성 해방”의 특수성
Ⅲ. 조선옷과 “녀성 해방”
Ⅵ. 결론

소련은 북한 문화정책에 어떤 영향을 미쳤나 | 전영선

Ⅰ. 서론
Ⅱ. ‘민주건설시기’ 북한의 문화정책과 소련의 영향
Ⅲ. ‘민주건설시기’의 문화교류 현황과 특성
Ⅳ. 결론

북한지역의 상장례(喪葬禮) 변화 연구: 1960년대 민속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 김종군

Ⅰ. 생활문화 통합장치로서 상장례
Ⅱ. 북한 민속조사자료 현황
Ⅲ. 1960년대 북한지역 상장례 변화
Ⅳ. 북한지역의 특징적인 상장례 풍속
Ⅴ. 맺음말

사회주의가 북한 어민의 풍습과 노동관행에 미친 영향 | 정진아

Ⅰ. 머리말
Ⅱ. 자료소개
Ⅲ. 해방 전후 어민의 생활풍습과 노동생활
Ⅳ. 사회주의 어업조직의 등장과 증산투쟁
Ⅴ. 혁명적 주체와 모범의 창출
Ⅵ. 맺음말

1950년대 ‘신해방지구’ 개성의 농촌사회 변화 | 이준희

Ⅰ. 머리말
Ⅱ. 전시 토지개혁과 토지조사사업
Ⅲ. 10월농업협동조합의 형성과 협동화의 완료
Ⅳ. 맺음말

1950년대 북한 노동자층의 형성과 의식 변화 | 이세영

Ⅰ. 서론
Ⅱ. 1950년대 사회주의 사회 건설과 노동자 집단의 형성
Ⅲ. 천리마작업반운동을 통한 노동자의 일상과 의식 변화
Ⅳ. 결론

북한의 사회주의 농촌테제와 농민 | 정진아

Ⅰ. 머리말
Ⅱ. 협동화 이후 북한의 농업문제 인식과 정책
Ⅲ. 사회주의 농촌테제의 추진
Ⅳ. 맺음말
 

저자 소개

등저 : 김재웅 (金載雄)
 
고려대학교 대학원 한국사학과에서 북한의 국가 건설과 계급정책에 관한 연구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고려대 한국사학과에서 강의를 하며, 고려대·경희대·충북대 사학과 산하 기관의 연구교수를 역임해왔다. 주요 연구 성과로는 『북한체제의 기원-인민 위의 계급, 계급 위의 국가』(2018)가 있다. 대중들이 흥미롭게 다가갈 수 있도록 북한사를 쉽고 역동적으로 재구성하는 작업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등저 : 도지인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및 대학원 통일인문학과 교수

등저 : 전영선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HK연구교수. 북한 사회문화 연구와 남북 문화의 소통을 주제로 학술 연구와 대중과의 소통을 고민하는 통일디자이너, 통일문화문역가.
저서로 『어서와 북한 영화는 처음이지』, 『NK POP : 북한의 전자음악과 대중음악』, 『북한의 체육정책과 체육문화』, 『북한에서 여자로 산다는 것』, 『김정은 리더십 연구』, 『영상으로 보는 북한의 일상』, 『북한의 언어 : 소통과 불통 사이의 남북언어』, 『북한의 정치와 문학: 통제와 자율사이의 줄타기』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