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교양부루주아 상식 [해설서] 113

[웹북] 유엔 (UN)

유엔United Nations 문장표어 An inclusive United Nations, It’s your world!Peace, dignity and equality on a healthy planet.표어 설명 폭넓은 나라들의 연합, 바로 당신의 세계입니다!건강한 지구의 평화, 존엄성 그리고 평등.유엔 회원국유엔 회원국수도 760 유엔 플라자, 뉴욕 맨해튼 (국제 지역)정치정치체제 국제기구사무총장사무부총장총회 의장안전 보장 이사회 상임이사국 국제기구안토니우 구테흐스 / 아미나 모하메드 / 필레몽 양 / 미국 / 영국 / 프랑스 / 러시아 / 중화인민공화국역사회원국 193개국, 2개 유엔 총회 옵서버 국가헌장 조인 1945년 6월 26일 창설 1945년 10월 24일공식 언어  아랍어/ 중국어 /영..

[웹북] 유네스코

유엔 교육 과학 문화 기구Organisation des Nations unies pour l'éducation, la science et la culture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유네스코조직형태 전문 기구수장 사무총장 오드레 아줄레지위 활동 중설립 1946년본부위치  프랑스 파리http://portal.unesco.org유엔 교육 과학 문화 기구(프랑스어: Organisation des Nations unies pour l'éducation, la science et la culture, 영어: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는 ..

[웹북] 파우스트 (1775: 괴테)

파우스트 (괴테)파우스트》(독일어: Faust)는 요한 볼프강 폰 괴테의 2부로 이루어진 희곡이다. 1부에서는 게르만적인 요소를 바탕으로 하여 파우스트 박사가 악마인 메피스토펠레스에게 영혼을 팔아 여러 가지 일들을 겪는 과정들이 들어 있고 2부에서는 서구문명 전통의 그리스적인 요소들을 이용하여 인간의 구원의 문제를 폭넓게 탐구하였다.개요1772년 산문의 장면인 〈흐린날 들판〉의 집필로 시작되어 그 후 시인의 사망 직전까지 장장 60년에 걸쳐 그 완성까지 〈초고(初稿) 파우스트〉(1775, 1871 사본발견), 〈단편 파우스트〉(1790), 〈파우스트 제1부〉(1808) 및 〈파우스트 제2부〉(1832)의 4단계를 경과하여 지어졌다.‘파우스트’란 르네상스기에 실재한 마법사(1480~1538)의 이름인데, ..

[웹북] 레 미제라블 (1862: 빅토르 유고)

Les misetables최초판 《레 미제라블》(1862)에서 에밀 바야르가 그린 "코제트"의 초상화레 미제라블 Les Misérables저자 빅토르 위고 / 삽화가 밥 헨턴즈 / 나라 프랑스 / 언어 프랑스어 / 장르 소설 / 발행일 1862년《레 미제라블》(프랑스어: Les Misérables →비참한 사람들)은 1862년에 프랑스의 작가 빅토르 위고가 쓴 소설로, 잘 알려진 19세기 소설 중 하나다. 제목인 《레 미제라블》은 ‘불쌍한 사람들’이라는 의미이며, 대한민국에서는 《장발장》으로도 소개되었다.프랑스 민중들의 비참한 삶과 1832년에 있었던 프랑스 6월 봉기를 소재로 하였다. 민중들에 대한 작가의 관심과 사회개혁의지를 보여주는 사회소설로 분류되기도 하나 실제로는 인간의 죄와 구원에 대한 실천적..

[웹북] 천문학의 역사

천문학사천문학사(天文學史)는 자연 과학으로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갖고 있으며, 상고 시대부터 인류 문명과 함께 발달해 왔다. 천문학의 기원은 선사 시대의 종교적 신화적, 점성술적인 행사에 기원한다. 그 흔적은 민간과 관영의 천문학에 뒤섞여 수백 년 전에야 분리된 서양의 점성술에도 남아 있다. 초기의 천문학에서는 관측할 수 있는 태양, 달, 별, 행성과 같은 천체의 규칙적인 이동 양식을 관찰하였다. 태양이 뜨거나 지는 곳이 지평선상에서 위치를 바꾼다든지 계절마다 보이는 별들이 달라짐을 관찰하여 농사나 종교적 의식을 위한 시기를 정하였다. 문화에 따라서는 이러한 자료가 예언에 사용되기도 하였다.천문학의 역사는 연대의 추이에 따라 내용이 풍부해지고 그 수준이 높아졌을 뿐만이 아니라 연구 방법이나 목표 또한 발전..

[웹북] 은 본위제 (경제)

본위 은화로 널리 유통된 "멕시코 달러"와 1768년 발행된 포토시 은화은본위제은 본위제(銀 本位制) 또는 실버 스탠더드(영어: silver standard)는 한 나라의 화폐 제도의 근간을 이루는 기준을 은으로 정하고 그 기초가 되는 화폐, 즉 본위 화폐를 은화로 하고 이것을 마음대로 주조, 마음대로 녹이는 것을 인정하여 무제한 통용을 가능하게 한 제도이다. 이 경우 해당 국가의 통화는 일정량의 은의 양으로 나타낼 수 있고, 상품 가격도 은 가치를 기준으로 표시된다.만력제 시대에 주조된 은화, 만력년조중국역사상 대표적인 은본위제 국가로는 청나라와 1935년까지 중화민국이 있었다. 청나라는 소액 거래에는 제전(制錢)이라고 불리는 관에서 만든 동전이 유통되었지만, 고액 거래에 있어서는 은원보(마제은, 馬蹄..

[웹북] 금 본위제 (경제)

금본위제금 본위제(金 本位制) 또는 골드 스탠더드(영어: gold standard)는 화폐 가치를 일정한 금 가치로 나타내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화 본위제'(金貨 本位制)와 '금지금 본위제'(金地金 本位制)를 모두 포함한다. 1870년대부터 1920년대 초반까지, 그리고 1944년부터 미국이 '금 태환'(金 兌換, gold exchange)을 정지하며 브레튼 우즈 체제가 끝나게 된 1971년까지 국제 통화 체제 기반으로 작동하였다.역사적으로 금본위제 대신 은본위제와 복본위제를 세계 곳곳에서 널리 사용했으나, 영국이 사살상 금본위제를 도입한 이래 19세기를 거치며 금본위제가 국제 통화 체제로 자리잡게 되었다. 국제 통화 체제로서 금본위제는 제1차 세계대전과 대공황을 거치며 위기를 겪은 후 금지금본위제로..

[웹북] 대한민국 헌법 (법률)

대한민국 헌법전쟁기념관에 전시 중인 제헌 헌법. 사진은 첫 장이다. 대한민국 헌법 약칭 헌법, 제6공화국 헌법, 87년 헌법 / 종류 헌법 10호 / 제정 일자 1987년 10월 29일 전부 개정 / 상태 현행법 / 분야 공법 / 주요 내용 국민의 기본적 권리와 의무를 보장하고, 국가의 통치조직과 그 작용 원리를 규정./ 관련 법규 대한민국 헌법의 역사전문 · 1장 · 2장 · 3장 · 4장 · 5장 · 6장 7장 · 8장 · 9장 · 10장 · 부칙임시헌장→임시헌법→ 제1호→제2호→제3호→제4호→ 제5호→제6호→제7호→ 제8호→제9호→제10호 대한민국대한민국 헌법(大韓民國憲法, 영어: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은 대한민국의 정치 조직과 국민의 권리 및 의무를 ..

[웹북] 북대서양 조약기구 (NATO)

북대서양 조약 기구 북대서양 조약 기구 회원국북대서양 조약 기구원어 명칭 Organisation du traité de l'Atlantique nord약칭 NATO, OTAN / 설립 1949년 4월 4일(75년 전) / 유형 군사 동맹 / 본부 브뤼셀, 벨기에 / 회원 32개국 / 공식 언어 영어. 프랑스어.  / NATO 사무총장 . 마르크 뤼터 / NATO 군사위원회 위원장 .롭 바우어 / 유럽 동맹군 최고사령관 크리스토퍼 G. 카볼리 / 연합변혁사령부 필립 라빈 /비용 (2019년) US$1조 3,600억북대서양 조약 기구(北大西洋條約機構) 또는 북대서양 동맹(나토; 영어: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노스애틀랜틱 트리티 오거나이제이션, NATO 네이토 /ˈneɪ..

[웹북] 자본주의

자본주의자본주의(資本主義, 독일어: Kapitalismus, 프랑스어: capitalisme, 영어: capitalism)는 재화의 사적 소유권을 개인이 가지는 자유의지에 반하거나 법률에 의하지 않는 방법으로는 양도 불가능한 사회 구성원의 기본권으로 인정하는 사회 구성체이다.또는, 사회주의적 관점에서 볼 때 생산 수단을 가진 자본가 및 기업가 계급이 그 이익 추구를 위해 생산 활동을 제한적으로 보장하는 사회적 경제 체제로 정의 하기도 한다. 재화의 사적 소유권에 대한 인정은 곧바로 재화의 매매, 양도, 소비 및 이윤의 처분 등에 대한 결정을 개인에게 일임한다. 인류가 가진 이윤추구를 극대화하여 사회 발전의 동력으로 삼는 자본주의 경제 체계에서는 상품 또는 용역의 가격, 투자, 분배 등이 주로 시장 경제를..

[웹북] 민주주의

민주주의민주주의직접 민주제간접 민주제분파, 변형민주주의(民主主義, 그리스어: δημοκρατία dēmokratía[*], 영어: democracy)는 국가의 주권이 국민, 민중에게 있고 민중이 권력을 가지고 그 권력을 스스로 행사하며 민중과 시민을 위하여 정치를 행하는 제도이자 그러한 정치 사상이다. 그리스어인 demos(민중)와 cratos(지배)라는 두 가지 단어의 합성어 democratia에서 유래한다. 자유,사회,인민민주주의 등이 있다.민주주의는 의사결정 시 시민권이 있는 대다수나 모두에게 열린 선거나 국민 정책투표를 이용하여 전체에 걸친 구성원의 의사를 반영하고 실현하는 사상이나 정치사회 체제이다. 간단히 '민중, 국민이 주권을 행사하는 이념과 체제'라고도 표현할 수 있다. 의외로 유럽만이 아..

[웹북] 사회주의

사회주의 사회주의(社會主義, 독일어: Sozialismus, 러시아어: Социализм, 프랑스어: Socialisme, 중국어: 社会主义, 영어: Socialism)는 생산수단을 공동으로 운영하는 협동 경제와 모든 사람이 노동의 대가로 평등하게 분배받는 사회를 지향하는 다양한 사상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며, 또는 그 과정을 의미하기도 한다.사회적 소유는 국가, 집단 또는 협동조합의 소유 또는 지분을 시민이 소유하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다양한 형태의 사회주의가 존재하며, 사회적 소유라는 공통요소를 공유할 뿐 모든 형태를 포괄하는 한 가지 정의는 없다.정치적으로 강력하게 등장한 근대적 사회주의인 초기 사회주의는 1826년 최초로 로버트 오언에 의해 주장되고 1862년 독일의 사회주의자 페르디난트 라살레..

[웹북] 공산주의

공산주의공산주의(라틴어: Communismus, 독일어: Kommunismus, 러시아어: Коммунизм, 영어: Communism, 共産主義)는 생산수단의 공공 소유에 기반을 둔 경제·사회·정치 공동체 형성에 관한 사상 또는 이러한 사회 형성을 목표로 삼는 형식적·실질적 정치 운동에 관한 사상이다.플라톤(Platon)의 『국가』를 통해서 알 수 있듯이, 본래 공산주의적 사고는 전근대 사회에도 존재했으며, 이후 유럽의 로마 가톨릭 사회에서 등장한 유토피아주의자의 만민 평등 사상 및 지상천국 운동을 뜻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오늘날에 통용되는 공산주의라는 의미는 카를 마르크스의 이론 전반에 관한 것을 뜻하며, 변증법·역사주의·유물론이 핵심 사고로 자리잡고 있다.이 사상이 현실 정치에서 본격적인 운동으로 ..

60.그렌트 후드 (Grant Wood) 미국, 1891-1942

《 아메리칸 고딕》은 1930년 그랜트 우드가 그린 시카고 미술관의 컬렉션 회화이다. 우드는 아이오와주 엘던에 있는 미국 고딕 양식의 집을 보고 영감을 받아 "그런 집에 살만한 부류의 사람에 대한 환상"을 표현하였다. 그림 속 인물은 농부인 아버지와 딸이지만, 종종 부부로 오해한다.건축 양식의 명칭을 그대로 그림의 제목으로 가져왔다.그림 속 인물은 우드의 여동생인 낸 우드 그레이엄과 남매의 치과 주치의이던 바이런 맥키비를 모델로 한 것이다. 그림 속 여성은 20세기 초반의 아메리카나 양식을 연상케 하는 식민지 시대 앞치마를 입고 있으며, 남자는 멜빵바지 작업복 위로 슈트 재킷을 입고 쇠스랑을 들고있다. 집 현관에 있는 식물은 미국에서 흔히 "시어미혀"(mother-in-law's tongue)로 불리는 ..

59.에드워드 호퍼 (Edward Hopper) 미국, 1882-1867

밤을 지새우는 사람들작가 에드워드 호퍼연도 1942년매체 캔버스에 유채사조 American realism[*], American scene painting장르 풍속화크기 152 x 84 cm위치 시카고 미술관《밤을 지새우는 사람들》(Nighthawks)는 에드워드 호퍼가 1942년 그린 캔버스에 그린 유화로, 밤늦게 시내의 한 식당에 있는 사람들의 모습을 그린 그림이다. 식당으로부터 들어오는 불빛은 어둡고 인적이 드문 도시의 거리 풍경을 비추고 있다.이 작품은 호퍼의 가장 잘 알려진 작품으로 묘사되어 왔으며 미국의 미술에서 가장 잘 알려진 그림 중 하나이다. 완성 후 몇 달 만에, 1942년 5월 13일 시카고 미술관에 3,000달러에 팔렸다.

57.에드바르 뭉크 (Edvard Munch) 노르웨이, 1863-1944

절규작가 에드바르 뭉크연도 1893년매체 판지 위에 유화, 템페라, 파스텔, 크레용크기 73.5 x 91 cm , 28.9 × 36 in소장처 노르웨이 오슬로 국립미술관〈절규〉(노르웨이어: Skrik, 독일어: Der Schrei der Natur, 영어: The Scream of Nature; 1893-1910년 작는 노르웨이의 예술가 에드바르 뭉크의 연작 중 하나인 표현주의 그림으로, 핏빛의 노을지는 하늘을 배경으로 괴로워하는 인물을 묘사하였다. 배경의 풍경은 노르웨이 오슬로(당시 크리스티아니아)의 이케베르크 언덕에서 보이는 오슬로피오르이다.개요이름, 소장한 미술관작가가 생전에 붙인 제목은 (자연의 절규)이나 흔히 으로 알려져 있다. 최초의 유화 작품을 오슬로 국립 미술관이 소장 중이며, 템페라 작품..

56.구스타프 클림트 (Gustav Klimt) 오스트리아, 1862-1918

구스타프 클림트(1862~1918)는 금·은 세공인의 아들답게 자신의 후기 작품을 비잔틴 양식의 모자이크 같은 눈부심으로 화려하게 장식했다. 실제로 클림트는 산 비탈레 성당의 모자이크를 보기 위해 1903년 이탈리아의 라벤나를 방문하기도 했다. 그는 빈의 링슈트라세 개발기 동안 부르크 극장과 빈 미술사박물관에서 건축 장식가로 일하며 예술 활동을 시작했다. 그러나 빈 대학 강당에 벽화를 제작할 당시 그는 비평가들의 심한 비난에 부딪혔다. 비평가들은 클림트의 을 불온하고도 부도덕한 작품이라 혹평했다. 이러한 비난에서 벗어나기 위한 자구책으로, 클림트는 1904~1906년 여인들을 그린 일련의 초상화 제작에 착수하게 된다. 위 그림에서 주인공 프리차 폰 리들러는 하얀 레이스와 잿빛 얼룩 리본을 전면에 내세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