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책소개
제국주의와 식민주의 그리고 냉전과 탈냉전으로 이어지는 20세기 동아시아 국제관계 속에서 한국화교의 정체성을 역사적으로 규명한다. 제2차 세계대전 이전 중국, 조선, 일본 그리고 중국, 타이완, 한국의 틈바구니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유지, 발전시키기 위해 위험하지만 일상화된 '외로운 줄타기'를 감행해야 했던 한반도 화교들의 고뇌와 심리적 트라우마를 여실히 보여준다.
목차
서론
1. 1945년 이전의 화교사회
제1절 한반도로의 이주
제2절 단신출가형 화교사회
제3절 정주형 화교사회
제4절 1945년 이전 화교사회의 특징과 '중국인' 의식
2. 동아시아 냉전체제 형성과 국가 분열
제1절 한반도의 분열
제2절 중화민국정부에 의한 통합과 한국화교의 합류
제3절 한반도전쟁과 한국화교
제4절 동아시아 냉전체제와 한국화교의 '조국' 의식
3. 한국의 제도적 차별과 한국화교
제1절 배타적 제도의 시작
제2절 강화된 법적 규제와 배제
제3절 화교가 사는 길
제4절 한국인과 화교의 경계선 및 한국화교의 '조국' 의식
4. 중화민국과 한국화교의 상호관계
제1절 중화민국정부의 대 한국화교정책
제2절 한국화교사회에 있어서 중화민국의 필요성
제3절 중화민국의 정치동원과 한국화교의 적극적인 호응
제4절 중화민국의 국민의식 강화와 '조국' 의식
5. 한국·중화민국의 반공공동체와 한국화교
제1절 한국에 있어서 반공체제와 반공생활
제2절 중화민국의 반공체제와 반공이데올로기의 내면화
제3절 한국·중화민국의 반공외교와 한국화교
제4절 '반공가치관'과 '조국' 의식
6. 한국화교가 상상하는 '조국'과 '조국' 의식의 붕괴
제1절 한국화교가 갖고 있는 '조국'으로서의 중화민국 이미지
제2절 '조국'에 대한 강한 '애국심'
제3절 한국화교의 지지기반
제4절 한국화교의 '조국' 의식 붕괴
결론
부록
제1절 한국사회의 차별구조 개선과 남겨진 과제
제2절 중화인민공화국파의 탄생과 중화민국 구심력의 급속한 저하
제3절 한국화교의 아이덴티티 변화
후기
1. 1945년 이전의 화교사회
제1절 한반도로의 이주
제2절 단신출가형 화교사회
제3절 정주형 화교사회
제4절 1945년 이전 화교사회의 특징과 '중국인' 의식
2. 동아시아 냉전체제 형성과 국가 분열
제1절 한반도의 분열
제2절 중화민국정부에 의한 통합과 한국화교의 합류
제3절 한반도전쟁과 한국화교
제4절 동아시아 냉전체제와 한국화교의 '조국' 의식
3. 한국의 제도적 차별과 한국화교
제1절 배타적 제도의 시작
제2절 강화된 법적 규제와 배제
제3절 화교가 사는 길
제4절 한국인과 화교의 경계선 및 한국화교의 '조국' 의식
4. 중화민국과 한국화교의 상호관계
제1절 중화민국정부의 대 한국화교정책
제2절 한국화교사회에 있어서 중화민국의 필요성
제3절 중화민국의 정치동원과 한국화교의 적극적인 호응
제4절 중화민국의 국민의식 강화와 '조국' 의식
5. 한국·중화민국의 반공공동체와 한국화교
제1절 한국에 있어서 반공체제와 반공생활
제2절 중화민국의 반공체제와 반공이데올로기의 내면화
제3절 한국·중화민국의 반공외교와 한국화교
제4절 '반공가치관'과 '조국' 의식
6. 한국화교가 상상하는 '조국'과 '조국' 의식의 붕괴
제1절 한국화교가 갖고 있는 '조국'으로서의 중화민국 이미지
제2절 '조국'에 대한 강한 '애국심'
제3절 한국화교의 지지기반
제4절 한국화교의 '조국' 의식 붕괴
결론
부록
제1절 한국사회의 차별구조 개선과 남겨진 과제
제2절 중화인민공화국파의 탄생과 중화민국 구심력의 급속한 저하
제3절 한국화교의 아이덴티티 변화
후기
'22.역사이야기 (관심>책소개) > 6.화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교 이야기 : 중국과 동남아 세계를 이해하는 (0) | 2022.08.26 |
---|---|
화교가 없는 나라 : 경계 밖에 선 한반도화교 137년의 기록 (0) | 2022.08.26 |
한반도 화교사전 (0) | 2022.08.26 |
한반도 화교사 : 근대의 초석부터 일제강점기까지의 경제사 (0) | 2022.08.26 |
짜장면 : 화교문화를 읽는 눈 (0) | 2022.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