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폭력연구 (박사전공>책소개)/1.국가폭력

한국에서의 학살

동방박사님 2022. 8. 29. 17:57
728x90

책소개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진실화해위원회)에서 2006년 6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4년 6개월 동안 근무하면서 국가공권력에 의한 민간인 학살과 무자비한 고문과 인권침해의 적나라한 실상을 생생하게 들여다본 저자는 인터넷신문 [통일뉴스]에 38회에 걸쳐 “임영태의 한국현대사, 망각과의 투쟁”을 연재했다. 저자는 이를 토대로 한 권의 책으로 『한국에서의 학살 - 한국 현대사, 기억과의 투쟁』을 펴냈다. 일제치하로부터 해방후 첫 민간인 학살이랄 수 있는 1946년 10월 민중항쟁(대구폭동)부터 1953년 한국전쟁이 끝날 때까지의 기록이다.

46년 10월 민중항쟁, 여순사건, 제주4.3사건, 국민보도연맹 사건, 형무소 재소자 학살사건, 부역혐의 학살 사건, 후방지역 민간인 학살, 국민방위군 사건, 좌익에 의한 민간인 학살사건, 미군에 의한 학살사건이 순서대로 다뤄졌다. 현대사 전문가인 저자는 민간인 학살이 발생하게 된 역사적 맥락을 폭넓게 제시함으로써 기존 진실화해위원회 사안별 조사보고서를 뛰어넘는 시야를 제공하고, 또한 사안별 조사 결과와 데이터들을 꼼꼼하게 인용하고 있다. 이 한 권의 책으로 현대사 속에서의 민간인 학살을 망원경과 현미경으로 동시에 살필 수 있게 된 셈이다.

특히 기존의 연구와 저술들이 제대로 다루지 못한 ‘좌익에 의한 민간인 학살사건’을 두 개의 장에 걸쳐 상세히 서술한 점은 눈여겨 볼 대목이다. ‘전쟁 직전 공작원과 유격대 남파’라든가 ‘유엔군의 지주가 될 요소를 제거할 것’ 등은 인민재판이나 인민군 후퇴시 대량 학살과는 달리 잘 알려지지 않은 역사적 사실들이다.

“실제로는 혁명을 위한다는 명분 아래 좌익세력들도 많은 인민을 학살했다. 이른바 ‘혁명의 적’인 지주나 자본가뿐만 아니라 일반인미들도 학살 대상이 되었다… 이제는 이념의 잣대로 바라보지 않고 사실에 기초해서 평가하는 것이 가능한 시점이 되었다. 그런 점에서 좌익에 의한 민간인 학살 문제도 어느 정도 이성적인 평가가 가능한 상황이 되었다”(416~418쪽)

국민방위군 사건을 민간인 학살의 범주에 포함시킨 것도 사실상 첫 시도랄 수 있다. 이 사건은 군대나 경찰에 의한 직접적인 민간인 학살 행위는 아니었지만 그에 못지않은 참상을 연출한 사건이었고, “국가권력의 미필적 고의에 의한 또 다른 학살사건”(한홍구 교수)이기 때문이다.

목차

머리말 역사는 망각과의 투쟁이다
프롤로그 한국 현대사와 과거사 청산 문제

1 1946년 10월 민중항쟁 - 한국 현대사, 비극의 출발점
2 여순사건 - 보복의 악순환이 막을 올리다
3 제주4.3사건(1) - 유채꽃 제주도는 왜 ‘피의 바다’가 되었을까?
4 제주4.3사건(2) - 역사의 진실을 기억하고 지키기 위한 투쟁
5 국민보도연맹 사건(1) - 국가 권력의 조직적인 학살 행위
6 국민보도연맹 사건(2) - 보도연맹원은 어떤 사람들이었나?
7 국민보도연맹 사건(3) - 누가 학살을 주도했나?
8 형무소 재소자 학살사건 - 대구, 여순, 제주 그리고 형무소 학살
9 부역혐의 학살사건 - 도망간 정부가 피난하지 못한 국민을 심판하다
10 후방지역 민간인 학살(1) - 11사단의 견벽청야와 함평 민간인 학살
11 후방지역 민간인 학살(2) - 거창·함양·산청 사건과 호남지역 학살
12 국민방위군 사건 - 1951년 초 한국 겨울의 연옥도
13 좌익에 의한 민간인 학살사건(1) - 좌우 갈등과 투쟁의 폭력화
14 좌익에 의한 민간인 학살사건(2) - 북한의 남한 점령과 인민 학살
15 미군에 의한 학살사건(1) - 노근리와 공중폭격, 남한에서의 미군 학살
16 미군에 의한 학살사건(2) - 미군기의 북한 초토화 작전과 민간인 학살

에필로그 ‘역사의 심판’을 기대하며
미주


 

저자 소개

저 : 임영태
 
1959년 경남 거창에서 태어나 거창고등학교와 동국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했다. 고등학교 때부터 사회문제에 눈 떴고, 청년 시절에는 민주화·노동운동에 관계했다. 지금은 한국 근현대사와 세계사, 인문·사회와 관련한 집필 활동에 주력하고 있다. ‘(사)현대사연구소’ 연구위원으로 활동했다. 2005년부터 2010년까지 포괄적 과거사 정리기구인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에서 일하며 공식 보고서 발간 작업을 총괄했다...
 

출판사 리뷰

[머리말 中] 역사는 망각과의 투쟁이다

문재인 정부가 이명박·박근혜 정부 시기의 ‘적폐 청산’에 나서는 것은 당연하다. 김대중·노무현 정부에서 진행되다가 이명박·박근혜 정부에서 중단된 과거사 청산에도 다시 나서야 한다. 과거사 청산은 역사를 기억하기 위한 투쟁이다. 인간은 망각의 동물이다. 의식적으로 노력하지 않으면 잊어버린다.

국가 권력이 과거에 저질렀던 수많은 불법적인 국가폭력과 범죄행위를 정리하여 [통일뉴스]에 연재하는 작업을 시작했다. 이제 연재된 글들을 손보아 한 권의 책으로 내놓게 되었다. 이 책의 주제는 국가권력의 민간인 학살이다. 자신의 국민을 학살한 국가범죄 행위에 대한 기록이다.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은 한국 현대사에서 우리가 반드시 기억해야 할 부끄러운 우리역사의 한 부분이다. 진실화해위원회 조사를 통해 밝혀진 사건을 중심으로 민간인 학살 사건 전반을 정리했다. 이 책이 역사를 기억하기 위한 투쟁에서 작은 기여라도 할 수 있다면 더 바랄 것이 없겠다.

[에필로그 中] ‘역사의 심판’을 기대하며

국방부(정부)는 한국 전쟁 시기 사망한 국군의 유해발굴 작업을 많은 비용을 들여 오래 전부터 지속적으로 진행해오고 있다. 하지만 거기에 투여하는 예산의 10분의 1만 써도 훨씬 더 빛을 낼 수 있는 한국군에 의해 학살된 민간인 희생자들의 유해발굴에 대해서는 외면하고 있다.

필자는 이 글을 쓰면서 다시 한 번 우리는 무덤 위에 살고 있다는 생각을 했다. 한반도 전역 어디를 파더라도 웬만하면 한국전쟁 때 죽은 사람의 유해가 나온다고 할 정도로 우리는 한국 전쟁을 통해 많은 희생을 치렀다.

한국 전쟁 시기 남한에서 학살된 민간인이 얼마나 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도 충분히 합의된 수치가 없는 형편이다. 유족·시민단체 등에서는 100만여명이라고 통칭하지만 그 수치는 과장된 것이 분명하다. 그렇다고 해도 대략 30만~40만 명은 될 것이라는 점에서 많은 사람들이 동의한다. 이미 전쟁이전 10월 민중항쟁, 여순사건, 제주4.3사건과 단선정부수립을 전후한 시기의 좌우 투쟁 등의 과정에서 10만여명의 민간인이 희생되었다. 전쟁 발발과 함께 보도연맹과 예비검속 사건으로 최소 10만여명 이상이 희생되었고, 형무소재소자 학살과 부역혐의자 처벌, 후방지역 토벌과정에서의 학살 등으로 10만여명, 그리고 국민방위군 사건으로 수만명, 미군 폭격 등으로 5만여명, 좌익에 의해 5만여명이 희생되었을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이것은 단지 남한 지역만의 일이고 군인을 제외한 민간인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북한지역의 민간인 희생이 남한지역보다 훨씬 컸을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고 그렇다면 그 숫자는 어마어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