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책소개
한국은 전통적 한미관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관리하는 한편 2008년 한중 양국이 맺은 ‘전략적 협력동반자관계’의 내실화를 서두를 필요가 있다. 대화는 오해가 오판을 부르는 것을 방지하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다. 한 손을 잡고 있으면 다른 손의 행동을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2019년 말 문재인 대통령이 베이징과 청두에서 시진핑 주석, 리커창 총리와 각각 만나 한반도 비핵화에 대한 공동인식에 도달한 것은 새로운 변화이다. 이를 계기로 다양한 한중 간 고위급 소통이 이루어질 전망이며, 사드 배치문제로 인한 한중관계의 현안도 점차 개선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한중 간 공동중재자와 공동역할론을 통해 한반도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에 접근하는 기제를 만들 필요가 있다. 이것은 남·북·중 등 소다자 협력의 틀을 찾는 새로운 한국적 접근의 하나이기도 하다. 사실 창의적 해법은 ‘길이 보이지 않은 상태에서 방법을 찾는 것’이다.
목차
Ⅰ. 국제질서의 전환과 동북아 판의 변화
1. 미중 패권경쟁의 심화 (차태서)
2. 미중 신형대국관계의 구축 (쉐샤오펑)
3. 미중관계와 한반도 평화 (정구연)
4.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과 한미동맹 (리신)
5. 미국의 대중국 인식의 변화와 미중관계 (강수정)
6. 한중일 삼각관계 (샹하우위)
7. 일본의 대외전략 변화와 중국, 한국 (서승원)
Ⅱ. 전환기 동북아 정세와 한중관계
1. 협력과 갈등의 기로에 선 한중관계 (이민규)
2. 한중관계의 새로운 모색 (김한권)
3. 한중관계의 고도화 방안 (왕쥔성)
4. 한반도 인프라 영역의 한중협력 (왕웨이민, 뉴샤오핑)
5. 동북아 경제회랑의 공동 발전 (만하이펑)
6. 한중 인문교류와 한중관계 (싱리쥐)
Ⅲ. 한반도 평화와 새로운 한중협력
1. 한반도 평화체제에 대한 새로운 접근 (이수형)
2. 정전-평화체제 전환과 한중관계 (잔더빈)
3. 한반도 비핵화 협상의 쟁점과 과제 (최용환)
4. 한반도 비핵화 문제 해결의 인식과 방법 (류한우)
5. 북미 비핵화 협상과 한중협력 방향 (이영학)
6. 북한의 정상국가 추진전략 (홍석훈)
7. 동북아 평화 이념과 실천 (후링위안)
8. 동북아 평화와 주변국의 공동 책임 (양젠)
1. 미중 패권경쟁의 심화 (차태서)
2. 미중 신형대국관계의 구축 (쉐샤오펑)
3. 미중관계와 한반도 평화 (정구연)
4.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과 한미동맹 (리신)
5. 미국의 대중국 인식의 변화와 미중관계 (강수정)
6. 한중일 삼각관계 (샹하우위)
7. 일본의 대외전략 변화와 중국, 한국 (서승원)
Ⅱ. 전환기 동북아 정세와 한중관계
1. 협력과 갈등의 기로에 선 한중관계 (이민규)
2. 한중관계의 새로운 모색 (김한권)
3. 한중관계의 고도화 방안 (왕쥔성)
4. 한반도 인프라 영역의 한중협력 (왕웨이민, 뉴샤오핑)
5. 동북아 경제회랑의 공동 발전 (만하이펑)
6. 한중 인문교류와 한중관계 (싱리쥐)
Ⅲ. 한반도 평화와 새로운 한중협력
1. 한반도 평화체제에 대한 새로운 접근 (이수형)
2. 정전-평화체제 전환과 한중관계 (잔더빈)
3. 한반도 비핵화 협상의 쟁점과 과제 (최용환)
4. 한반도 비핵화 문제 해결의 인식과 방법 (류한우)
5. 북미 비핵화 협상과 한중협력 방향 (이영학)
6. 북한의 정상국가 추진전략 (홍석훈)
7. 동북아 평화 이념과 실천 (후링위안)
8. 동북아 평화와 주변국의 공동 책임 (양젠)
'41.중국.동아시아 이해 (독서>책소개) > 2.한중관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제질서의 대분화와 한중관계 재구성 (2022) (0) | 2022.10.04 |
---|---|
한중관계 역사와 진실 (0) | 2022.10.04 |
한중관계 재구성 (2015) (0) | 2022.10.04 |
한중관계 오해와 진실 (0) | 2022.10.04 |
한중관계 2000년 : 동행과 공유의 역사 (0) | 2022.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