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책소개
이 책은 최근 새로운 학문적 과제로 제기되고 있는 민족주의 연구를 전반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민족주의와 또 다른 측면에서 학술담론의 초점이 되고 있는 세계화 논의와 한국민족주의와의 관계에 대해서도 이야기 하고 있다.
목차
1. 1990년대 민족주의의 사회과학적 연구경향
2. 한국지식인과 대학생의 민족주의 의식구조
3. 한국민족주의 실증분석(1)-한국민족주의 태도 및 정향분석
4. 한국민족주의 실증분석(2)-민족주의와 민주주의
5. 한국외교정책과정과 민족주의
6. 동북아전략환경의 변화와 민족주의
7. 새로운 안보전략 패러다임과 민족주의
8. 통일한국의 체제 및 이념 모형과 민족주의 정향
9. 통일한국과 합의 민주주의
10. 세계화 논리와 한국민족주의 그리고 통일
11. 한국민족주의와 정치발전연구의 상관성
2. 한국지식인과 대학생의 민족주의 의식구조
3. 한국민족주의 실증분석(1)-한국민족주의 태도 및 정향분석
4. 한국민족주의 실증분석(2)-민족주의와 민주주의
5. 한국외교정책과정과 민족주의
6. 동북아전략환경의 변화와 민족주의
7. 새로운 안보전략 패러다임과 민족주의
8. 통일한국의 체제 및 이념 모형과 민족주의 정향
9. 통일한국과 합의 민주주의
10. 세계화 논리와 한국민족주의 그리고 통일
11. 한국민족주의와 정치발전연구의 상관성
책 속으로
해방 이후 한국민족주의 전개의 특성을 본다면 민족적 이상을 내건 학생 등 일부 사회집단의 단편적인 운동이 있었음에도 이들은 전국민적 동의와 참여를 충분히 끌어낼 수 없는 상태에서 진행되어 왔음을 인정해야 한다. 이에 반해 제3공화국 이후 국가, 정부 수준에서 근대화와 경제발전이라는 정책목표를 민족주의 열망과 결합시켜 보려는 시도가 있었고, 어느 정도의 수준에서 국민적 동원을 가능케 하였던 것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 "민족주의는 국가 건설과 근대화에 필수적 역할을 해왔다."는 질문에 대한 긍정적 답이 61.4%로 나타남은 이를 증명한다.
물론 이러한 긍정적 대답이 곧 민족주의란 도구적인 것이 되어야 한다는 의식을 반영한다고는 할 수 없다. 단순히 과거에 대한 인지적 차원에서의 반응에 불과한 것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민족주의는 목적론적 이념지향성이 강함에 따라 정치체제의 질에 관계없이 국가가 민족주의를 도구적 차원에서의 동원수단으로 사용할 때 국민들은 이를 수용해 왔음을 보여주는 근거라고 하겠다.
물론 이러한 긍정적 대답이 곧 민족주의란 도구적인 것이 되어야 한다는 의식을 반영한다고는 할 수 없다. 단순히 과거에 대한 인지적 차원에서의 반응에 불과한 것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민족주의는 목적론적 이념지향성이 강함에 따라 정치체제의 질에 관계없이 국가가 민족주의를 도구적 차원에서의 동원수단으로 사용할 때 국민들은 이를 수용해 왔음을 보여주는 근거라고 하겠다.
--- p.90-91
'34.한국역사의 이해 (독서>책소개) > 7.한국민족주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준하 - 민족주의자의 길 (0) | 2022.10.28 |
---|---|
해외 입양과 한국민족주의 (2008) (0) | 2022.10.08 |
동아시아의 민족주의 장벽을 넘어 (0) | 2022.10.08 |
민족주의와 역사교과서 - 역사갈등을 보는 다양한 시각 (0) | 2022.10.08 |
민족주의는 죄악인가 (2009) (0) | 2022.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