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동양철학의 이해 (독서)/6.중국인도철학

인도철학산책 (2007)

동방박사님 2023. 9. 15. 18:55
728x90

책소개

비폭력과 평화의 실천으로 인도 독립을 이끈 간디의 정신적 배경인 힌두교, 중국을 비롯한 동남아 역사 문화의 거대한 뿌리인 불교, 일상의 삶을 구도적 삶으로 전환시킨 요가, 서구인들의 정신문화에 신선한 바람을 일으킨 크리슈나무르티, 오쇼 라즈니쉬, 달라이라마 등 이들의 정신세계와 철학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 이 책은 인도철학의 역사를 통해 서양철학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세계 정신문화의 흐름을 파악하고 있다.

저자는 인도철학을 대할 때 '다양하게 전개되는 인간의 정신체계를 살펴보면 인간의 사고방식 중 인도철학에서 논의되는 정신체계와 다른 것이 과연 얼마나 존재할까, 하는 의문이 들 정도'라고 말한다. 그리고 이렇게 다양한 정신세계를 탄생시킨 인도는 어떤 곳이며, 그곳에서 발생한 인도철학은 무엇인가에 대해 사회환경을 바탕으로 탐구한다. 그는 다양한 철학사상의 생성과 소멸, 서로간의 논쟁과 융합, 영향을 주고받는 역사를 인도철학이라는 거대한 흐름 속에서 파악할 수 있도록 간단하고 쉽게 설명하고 있다.

목차

머리말 불교철학과 종교문화의 바른 이해를 위하여

제1강 인도철학의 의미
제2강 인도철학의 전개
제3강 베다의 종교
제4강 베다의 철학사상
제5강 우파니샤드의 철학
제6강 우파니샤드의 사상가
제7강 우파니샤드와 인도철학
제8강 브라만 종교사회의 확립
제9강 비정통 철학사상의 등장
제10강 자이나교의 성립과 전개
제11강 불교의 성립과 전개
제12강 산스크리트어의 세계
제13강 2대 서사시 ??마하바라타??와 ??라마야나??
제14강 ??바가바드기타??의 철학사상
제15강 불교철학의 전개
제16강 대승불교의 발생
제17강 대승불교철학과 힌두철학
제18강 인도 6파 철학의 전개
제19강 상키야학파의 사상
제20강 요가학파의 체계
제21강 니야야학파의 인도논리학
제22강 바이쉐쉬카학파의 자연철학
제23강 미맘사학파와 제사종교
제24강 베단타학파와 샹카라의 사상
제25강 후기 인도불교철학의 전개
제26강 후기 인도불교철학과 힌두철학의 대론
제27강 힌두교의 종교문화
제28강 인도의 이슬람교
제29강 인도의 새로운 종교
제30강 인도철학과 동서양

후기 인류 정신문화의 등대, 인도철학
 

저자 소개

저자 : 이태승
동국대학교 문학 석사, 일본 고마자와(駒澤) 대학 불교학 박사
현재 위덕대학교 불교문화학부 교수
주요논문:「즈냐나가르바의 이제설」, 「중관장엄론의 형상설에 대하여」,
「무아에 관한 중관파의 해석」, 「구법승이 본 인도불교의 소승부파와 대승」외
역 서: 『불교혼성범어 입문』
저 서: 『실담자기와 망월사본 진언집 연구』(공저), 『을유불교산책』
.

출판사 리뷰

인도철학 전공자가 직접 쓴 인도철학 개론서
지나치게 두껍고 읽기에 까다로운 번역서 중심의 인도철학 개론서를 탈피했다. 독자가 부담 없이 가볍게 접근할 수 있도록 부피를 줄이고 인도철학의 역사를 읽기 쉽도록 전체 30강으로 나눠서 정리했다. 매 강에서는 전 내용을 요약 정리해 독자의 이해를 도왔다.

인도에서 발생하고 소멸한 철학사상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사상의 발생 배경을 인도의 정신문화 토양에 비추어 알기 쉽게 설명한다. 또 문헌학, 비교종교학 등 인도철학이 서구 학문과 종교문화에 끼친 영향과 역사적 과정까지도 알 수 있다.

인도철학의 이해를 위한 주요 개념을 파악할 수 있다
브라흐만, 아트만, 윤회, 해탈, 업 등의 주요 개념을 인도철학의 거대한 흐름 속에서 설명해 어렵게 느꼈던 개념들을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다. 힌두철학의 근거로 절대적 실체인 브라흐만과 아트만에 대해 이를 비판하며 등장한 불교철학의 무아, 무아를 둘러싼 불교내부의 논쟁, 이들의 흥미진진한 역사를 읽을 수 있다.

1. 지금 왜 ‘인도철학’을 산책해야 하는가?
우리는 ‘철학’ 하면 탈레스와 피타고라스, 소크라테스로 시작하는 그리스철학을 쉽게 떠올린다. 이는 서양문명이 전 세계를 주도하는 현대사회의 흐름을 잘 반영한다. 사회체제와 종교, 문화 등 우리 삶의 많은 영역에서 서양문명의 영향이 막대한 시대에 그것의 근저가 되는 서양철학(그리스 철학)이 관심의 대상이 되는 것은 당연할 지도 모른다.
더욱이 철학이 가지고 있는 근본적인 물음 자체에 서양인과 동양인이란 구분이 무의미하다고 본다면, 오히려 현대 사회를 구조적으로 분석하고 바람직한 대안을 마련하는 데 서양철학은 더욱 주체적으로, 깊이 있게 사색되어야 마땅하다.
하지만 인류 정신문화의 거대한 흐름을 주의 깊게 살펴보면, 서양철학에 대한 이해만으로는 설명될 수 없다는 것은 너무도 분명하다.
비폭력과 평화의 실천으로 인도 독립을 이끈 간디의 정신적 배경인 힌두교, 중국을 비롯한 동남아 역사 문화의 거대한 뿌리인 불교, 일상의 삶을 구도적 삶으로 전환시킨 요가, 서구인들의 정신문화에 신선한 바람을 일으킨 크리슈나무르티, 오쇼 라즈니쉬, 달라이라마 등 이들의 정신세계와 철학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
이 책은 인도철학의 역사를 통해 서양철학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세계 정신문화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2. 인도는 어떤 곳이며 인도철학이란 무엇인가?
저자는 인도철학을 대할 때 ‘다양하게 전개되는 인간의 정신체계를 살펴보면 인간의 사고방식 중 인도철학에서 논의되는 정신체계와 다른 것이 과연 얼마나 존재할까, 하는 의문이 들 정도’(p.183)라고 말한다.
그렇다면 이렇게 다양한 정신세계를 탄생시킨 인도는 어떤 곳이고, 그곳에서 발생한 인도철학은 무엇일까?
일찍부터 제사의례를 바탕으로 종교문화를 발전시켜 온 인도를 저자는 종교와 철학이 어우러진 ’정교일치 사회’로 본다. 그러한 인도는 ‘다양하게 나타난 인간의 정신세계가 종교문화의 규범으로 실제 생활 속에서 살아 있으며, 사회윤리 자체가 종교와 밀접하게 관련된’(p.15) 곳이다. 또 ‘철학과 종교의 체계가 인도만큼 다양하게 나타나서 실생활의 종교문화와 연결된 예는 매우 드물다’(p.15).

인도에서 철학이 싹트고 발전할 수 있었던 배경은 무엇일까? 저자는 이를 인도인들의 독특한 삶의 형태에서 가능했다고 본다. 인도인들은 삶을 네시기로 구분했다(4주기). 4주기란 스승에게 베다를 비롯한 다양한 학문을 배우는 범행기, 한 가족의 가장으로서 사회적 의무를 충실히 이행하는 가주기, 숲속에 머물며 진리를 탐구하는 임서기, 세속생활을 완전히 떠나 출가하여 정신적 해탈을 구하는 유행기를 말한다.
이러한 4주기의 삶의 형태로 인해 ‘많은 인도인들은 진리를 찾아 세속생활을 떠나 출가의 길로 들어서는 독특한 출세간(出世間)의 문화’를 만들어 냈으며, 이러한 출가의 전통은 ‘철학 개념들을 보다 깊고 넓게 사유하고 탐구하는 계기’(p.55)가 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철학사상이 나타난다.
인도철학은 이러한 인도의 사회 환경에서 발생한 철학을 가리킨다. 베다와 우파니샤드에 근거한 힌두철학(상키야, 요가, 니야야, 바이쉐쉬카, 미맘사, 베단타학파)과 그 철학적 근거를 달리하거나 또는 힌두철학을 비판하며 등장한 불교와 자이나교, 유물론 등 인도에서 발생하고 세계로 전파된 종교, 철학 사상까지를 모두 포함한다.
이 책은 이처럼 다양한 철학사상의 생성과 소멸, 서로간의 논쟁과 융합, 영향을 주고받는 역사를 인도철학이라는 거대한 흐름 속에서 파악할 수 있도록 간단하고 쉽게 설명하고 있다.

'49.동양철학의 이해 (독서) > 6.중국인도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도철학입문 (2005)  (0) 2023.09.15
인도철학의 완전한 행복 (2022)  (0) 2023.09.15
인도철학 (1993)  (0) 2023.09.15
인도철학 (2010)  (0) 2023.09.15
인도철학 이야기 (2010)  (0) 2023.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