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책소개
본 총회한국교회연구원이 발족한지도 1년이 지났다. 그간 연구원은 우리 교단의 헌법에 대한 연구와 제102회 총회의 주요 과제로 선정된 ‘마을교회와 마을목회’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왔다. 또한 본 연구원은 중심 연구 과제로 「동북아 평화와 신학」에 대한 연구물 시리즈 출간 기획을 해오는 중, 고영은 교수의 책을 펴낼 수 있게 됨을 기쁘게 생각한다.
오늘 한국교회는 사회적으로 크게 두 가지의 과제를 안고 있다. 복지한국의 건설과 통일한국의 건설이다. 대내적으로는 복지한국의 건설이 긴요하다. 신자유주의 경제체제 하에서 부익부 빈익빈의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새로 출범한 정부도 이 문제를 깊이 인식하고 새로운 길들을 모색하려 하는바 교회도 이 일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는 통일한국의 건설이 우리 민족의 지상과제다. 남북한의 분단을 통한 비정상적인 상황이 펼쳐진 지 벌써 70년이 넘었다. 우리 민족은 이런 불편한 상황을 개선키 위해 한반도의 통일을 추구해야 할 것이며, 이에 대한 교회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2017년 들어 북 핵 위기가 고조되는 시기에 좋은 책 한 권을 펴내게 되어 기쁘다. 고영은 교수는 북한선교에 대한 주제를 연구하여 학위를 받으신 분으로, 영남신학대학교에서 이 분야의 강의를 해오고 있다. 그간 강의한 내용들을 정리하여 『한반도 통일과 기독교』라는 본 책으로 결실을 보게 된 것이다. 이런 주제의 많은 책들이 나왔지만 아직도 이 분야의 연구는 우리 앞에 충분히 연구되지 않은 과제로 남아있다. 통일 시대를 준비하기 위해 한국교회는 무슨 일을 하여야 하는지, 그리고 남북한 사이의 왕래가 자유로워질 경우 한국교회는 북한의 선교를 위해 어떤 순차적 노력을 하여야 할 것인지 등, 우리가 고려해야 할 많은 질문들이 아직도 충분히 대답되지 않은 체 남아있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고영은 교수의 이 책은 우리에게 단비와 같은 좋을 책이라 생각한다.
오늘 한국교회는 사회적으로 크게 두 가지의 과제를 안고 있다. 복지한국의 건설과 통일한국의 건설이다. 대내적으로는 복지한국의 건설이 긴요하다. 신자유주의 경제체제 하에서 부익부 빈익빈의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새로 출범한 정부도 이 문제를 깊이 인식하고 새로운 길들을 모색하려 하는바 교회도 이 일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는 통일한국의 건설이 우리 민족의 지상과제다. 남북한의 분단을 통한 비정상적인 상황이 펼쳐진 지 벌써 70년이 넘었다. 우리 민족은 이런 불편한 상황을 개선키 위해 한반도의 통일을 추구해야 할 것이며, 이에 대한 교회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2017년 들어 북 핵 위기가 고조되는 시기에 좋은 책 한 권을 펴내게 되어 기쁘다. 고영은 교수는 북한선교에 대한 주제를 연구하여 학위를 받으신 분으로, 영남신학대학교에서 이 분야의 강의를 해오고 있다. 그간 강의한 내용들을 정리하여 『한반도 통일과 기독교』라는 본 책으로 결실을 보게 된 것이다. 이런 주제의 많은 책들이 나왔지만 아직도 이 분야의 연구는 우리 앞에 충분히 연구되지 않은 과제로 남아있다. 통일 시대를 준비하기 위해 한국교회는 무슨 일을 하여야 하는지, 그리고 남북한 사이의 왕래가 자유로워질 경우 한국교회는 북한의 선교를 위해 어떤 순차적 노력을 하여야 할 것인지 등, 우리가 고려해야 할 많은 질문들이 아직도 충분히 대답되지 않은 체 남아있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고영은 교수의 이 책은 우리에게 단비와 같은 좋을 책이라 생각한다.
목차
발간사 / 4
서문 / 6
머리말 / 8
Ⅰ. 북한 사회와 기독교
1. 들어가는 말 / 14
2. 북한 교회에 대한 연구 목적과 방법 / 16
3. 북한 사회의 종교의식 / 20
1) 사회주의와 만남과 갈등기 (1945-1948) / 20
2) 사회주의 통합과 분리기(1949-1953) / 25
3) 사회주의 통제기 (1954-1972) / 30
4) 통일 전선기 (1972-1987) / 36
5) 인식 전환기 (1988-현재) / 42
4. 나가는 말 / 48
Ⅱ. 독일 통일과 기독교
1. 들어가는 말 / 53
2. 분단 상황에서의 교회와 신학 / 55
3. 통일 한국의 사회통합 역할자로서의 교회 / 67
4. 독일교회 사례를 통해 본 한반도 통일을 위한 한국 교회 역할 / 77
5. 나가는 말 / 85
Ⅲ. 한국 기독교의 통일 운동
1. 들어가는 말 / 90
2. 한반도 통일 논의 전개 과정 / 92
3. 한국교회와 남북한 통일정책 / 101
4. 신 기능주의적 입장에서 교회 통일 정책 대안 모색 / 110
5. 나가는 말 / 120
서문 / 6
머리말 / 8
Ⅰ. 북한 사회와 기독교
1. 들어가는 말 / 14
2. 북한 교회에 대한 연구 목적과 방법 / 16
3. 북한 사회의 종교의식 / 20
1) 사회주의와 만남과 갈등기 (1945-1948) / 20
2) 사회주의 통합과 분리기(1949-1953) / 25
3) 사회주의 통제기 (1954-1972) / 30
4) 통일 전선기 (1972-1987) / 36
5) 인식 전환기 (1988-현재) / 42
4. 나가는 말 / 48
Ⅱ. 독일 통일과 기독교
1. 들어가는 말 / 53
2. 분단 상황에서의 교회와 신학 / 55
3. 통일 한국의 사회통합 역할자로서의 교회 / 67
4. 독일교회 사례를 통해 본 한반도 통일을 위한 한국 교회 역할 / 77
5. 나가는 말 / 85
Ⅲ. 한국 기독교의 통일 운동
1. 들어가는 말 / 90
2. 한반도 통일 논의 전개 과정 / 92
3. 한국교회와 남북한 통일정책 / 101
4. 신 기능주의적 입장에서 교회 통일 정책 대안 모색 / 110
5. 나가는 말 / 120
'25.한반도평화 연구 (박사전공>책소개) > 7.평화시민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의 평화사상연구 (0) | 2022.03.20 |
---|---|
기독교 평화론의 역사 : 우리에게 평화를 주소서 (0) | 2022.03.17 |
냉전 (0) | 2022.02.21 |
전쟁의 역설 : 폭력으로 평화를 일군 1만년 역사 (0) | 2022.02.16 |
간디 자서전 (0) | 2022.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