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8 429

[웹북] 음양 오행설

음양오행설  음양오행의 상생상극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은 음양(陰陽)설과 오행(五行)설을 함께 묶어 부르는 말이다.원리음양오행설은 우주나 인간의 분리된 모든 현상이 음(陰)과 양(陽)의 쌍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아래-위, 낮고-높음, 남자-여자). 해-달). 이들은 대립적이지만 서로 상보적이다. 음(陰)과 양(陽)이 확장하고 수축함에 따라 우주의 운행이 결정된다는 것이며, 음과 양이 네가지 기운 (생, 노, 병, 사)에 따라 확장-수축 함으로써 다섯가지 오행이 나타난다는 것이 오행설이다. 오행설은 금(金), 수(水), 목(木), 화(火), 토(土)의 다섯 가지가 음양의 원리에 따라 행함으로써 우주의 만물이 생성하고 소멸하게 된다는 것이다.구성음양음(陰)이라는 글자는 언덕(丘)과 구름(雲)의 상형(象形)을 ..

[웹북] 한용운 (1879~1944) 승려. 시인. 독립운동가.

한용운한용운 龍雲한용운법명 용운(龍雲) / 출생 1879년 8월 29일 / 조선 충청도 결성현 현내면 박철리 잠방골 / 입적 1944년 6월 29일(64세) / 일제강점기 경성부 동대문구 성북정 심우장 / 입적원인 중풍 / 거주지 일제강점기 경성부 동대문구 성북정 심우장 / 국적 대한민국 / 속명 한정옥(韓貞玉) / 경력 신간회 중앙위원장 / 종파 조계종 / 칭호 아명 한유천(韓裕天)·한봉완(韓奉玩) / 호 만해(萬海·卍海) / 직업 승려, 시인, 독립운동가 / 배우자 유숙원(재혼), 전정숙(이혼) / 자녀 한보국(아들), 한영숙(딸) / 부모 한응준(부), 방숙영(모) / 친척 한윤경(형)만해 기념관한용운(韓龍雲, 1879년 8월 29일 (음력 7월 12일) ~ 1944년 6월 29일)은 일제강점기의 ..

팔로워 공지사항

[동방박사]*블로그주제(여행+독서)**분류전체보기->click->카데고리.**현재(자유인): 1.평화역사여행가. 2.히스토리블로거**연구분야: 역사스토리텔링>(역사의 교훈>근현대시간여행)**전공분야: 일본학.국제평화학**여행장소의 사진과 내용은>관광지 방문후 작성**책소개는>yes24 도서를 요약하여 재구성 했음**역사연구(한일근현대사)해설봉사(동방박사>평화역사여행).1.아직은 동방박사의 블로그는 팔로워(on-line)와는 소통을 하지 않습니다.(off-line 팔로워만 소통합니다.)2.댓글(비밀댓글)에서 답변하지 않음을 양해 바랍니다.3.블로그 공간에서 비즈니스를 하지 않습니다.(광고제안x. 쇼핑몰,게임몰연결x. 물품판매요청x. 주식,코인,투자권유x.) 불편한 댓글은 IP차단 하겠습니다   1. 일반대..

전쟁국가 일본 (2011) - 살림지식총서 189

소개이 책은 메이지유신 이후 지금까지의 일본과 전쟁이 관련성을 역사적인 맥락에서 정리하고 있다. 일본은 1868년 메이지유신 이후 1945년 패방 때까지 전쟁과 함께 발전해 왔다. 근대의 약 반은 전쟁과 함께 보낸 특이한 나라인 것이다. 최근 일본은 군사적 발전주의로 회귀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는데 이를 ‘전쟁의 추억’이라 부른다.목차프롤로그-전쟁의 추억근대 일본의 형성과 전쟁중국은 ‘잠자는 돼지’-청일전쟁거인과 어린아이-러일전쟁천우신조-제1차세계대전과 일본만주는 일본의 생명선-만주사변장제스를 응징하라-중일전쟁절벽에서 뛰어내리다-태평양전쟁기묘한 군대-헌법9조와 일본의 재무장에필로그-전후 일본의 ‘전시체제’저자 소개 저 : 이성환 (李盛煥)계명대학교 인문국제학대학 교수, 국경연구소 소장. 일본 쓰쿠바대학교(筑..

러일전쟁 (2024) - 일본과 러시아 틈새의 한국

소개당사국을 제외하고 제삼국끼리의 전쟁과 외교에 의해 국가의 운명이 결정됐다. 청일전쟁과 러일전쟁, 모든 면에서 매우 닮은 두 전쟁을 겪으며 한국은 무엇을 배우지 못했고, 무엇을 배웠고, 무엇을 배워야 하는가. 중국과 일본 등 아시아 국가와의 관계는 물론 미국, 러시아, 영국 등 세계 각국과의 관계를 돌아보기 위해서도 역사의 이해가 필요하다. 한국의 관점에서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에 대한 보다 면밀한 탐구와 이해가 요구되는 이유다. 한국, 러시아, 일본 삼국의 역학 구조를 바탕으로 한국사에서 러일전쟁이 갖는 의미를 살펴보자.목차프롤로그 - 언덕 위 구름을 향한 꿈, 아시아 침략1. 일본은 항상 러시아가 두려웠다: 근대 일본과 러시아2. 러시아는 조선의 적인가 우방인가3. 일본과 러시아 틈새의 한국4. 시베리..

러일전쟁의 세기 (2010) - 연쇄시점으로 보는 일본과 세계

책소개『러일전쟁의 세기: 연쇄시점으로 보는 일본과 세계』는 러일전쟁을 기점으로 전후 1세기를 '세기'라는 시간의 연쇄로 파악하여 이 사건을 역사적 총체 속에서 파악하고 있다. 먼저 러일전쟁 전의 반세기를 통해서는 전쟁에 이르게 된 역사적 배경과 서구·아시아와의 관계를 당시 일본이 처한 국제적 상황에서 개관함으로써 세계사적 시야에서 본 러일전쟁의 의미를 다룬다. 러일 전쟁 이후에는 백색인종을 이긴 최초의 유색인종으로 여겨졌으며, 전제국가에 승리한 입헌국가의 위상을 가지게 된 일본이 아시아에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에 대해 조명한다. 즉 러일전쟁 전후의 1세기라는 시간의 폭에서 연쇄시점을 설정하여, '러일전쟁' 이라는 현상이 구조적 전체에서 어떻게 구성·규정 되었는지 역사의 흐름 속에서 파악하는 것이 이 책의 ..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의 진실 (2023) - 『언덕 위의 구름』과 일본인의 역사관

책소개『일청전사』와 「일청전사 결정초안」청일전쟁은 1894년 7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한반도와 중국 동북 지방을 배경으로 청나라와 일본 사이에 벌어졌던 국제전이었다. 그 무대는 조선이었다. 이는 근대 일본이 처음으로 경험한 대외 전쟁이었으며 그 결과로 일본은 동북아의 패권을 장악했다. 그리고 일본 육군 참모본부는 1904년에서 1907년에 걸쳐 『일청전사』를 총 8권으로 발간했는데 이를 정사로 여겨 왔다. 『일청전사』는 조선 국내에 있는 청나라 병사를 몰아내 달라는 조선 정부의 요청을 받고 전쟁을 시작했다고 기록함으로써, 일본이 전쟁을 일으킨 대의명분으로 유포되었다.『일청전사』편찬을 위해 정리된「일청전사 결정초안」이 세상에 알려진 것은 1994년, 일본 학자 나카쓰카 아키라의 논문과 저술을 통해서였다. ..

독도의 해양 생태계 및 국제관계 (2023)

책소개우리 고유의 섬, 독도수십 년 독도를 연구한 해양학자가 전하는 독도 이야기!독도는 동해의 보물처럼 솟아 있는 우리의 섬이다. 그러기에 우리 민족의 수난사는 곧 독도의 수난사(受難史)이기도 하다. 독도는 너무나 당연한 우리 땅이다. 일본은 독도를 자기네 땅이라고 떼를 쓰지만, 독도에 대한 우리의 영유권은 요지부동이다. 독도 지킴에 있어서 보수와 진보, 지역, 남녀노소가 따로 없다. 지피지기(知彼知己)면 백전불패(白戰不敗), 독도를 알아야 독도를 지킬 수 있다! 애국적인 차원에서 우리 국토를 잘 알아야 한다. 특히 독도에 대하여 잘 아는 것이 국민의 도리이다.목차화보 : 독도의 바다 자연과 해양생물 7서문 251부 / 독도의 해양 생태계1장_독도의 기후와 해류독도의 기후요인 43 / 독도와 명칭 50 ..

독도등대 (2024) - 독도등대는 동해의 중심에 최초로 세워진 등대

책소개독도에는 1954년 8월 10일 이승만대통령에 의해 건립 대한민국 관보에 고시되어 올해로 70주년이 되는 독도등대가 동해 한가운데에서 최초로 등댓불을 밝히고 있다. 독도는 역사적으로 국제법적으로, 지리적으로 대한민국의 영토다.그렇지만 독도등대가 영유권에 이처럼 중요하지만 정작 독도등대에 대한 연구는 이제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책은 독도가 대한민국의 영토란 것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1954년 8월 10일 건립된 독도등대를 연구의 대상으로 하고, 독도등대모델을 수립하였다. 이 모델을 검증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미국, 영국, 일본의 등대표를 조사대상으로 분석하고, 관계 법령을 조사하여 실제적으로 독도등대가 대한민국의 등대임을 입증하고, 울릉도, 독도, 제주도가 대한민국의 섬임을 증명하였다.또한..

한국의 독도주권과 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 (2023)

차발간사 한국의 독도 영토주권 제고를 위한 제언제1부 한국의 독도주권과 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의 국제법적 쟁점제1장 한 국의 독도주권과 일본의 조약적 권원 주장에 대한 국제법적 검토제2장 샌 프란시스코강화조약상 반식민주의 관련 법리 검토제3장 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과 동아시아 영토갈등 기원론의 법리 검토제4장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호주와 영국의 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에 대한 정책 비교제2부 한일 학자 간 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 관련 국제법적 논쟁제5장 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상 독도문제의 취급제6장 ‘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상 독도문제의 취급(쓰카모토 다카시)’에 대한 비판제7장 ‘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상 독도문제의 취급 비판’에 대한 논평제8장 쓰카모토 다카시의 ‘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상 독도문제의 취급’ 반론에 대한 비판부록 샌프란..

대한민국 독도 (2024) - 일본 논리의 종언

책소개이 책의 표지 사진에는 독도의 동도에 한반도 지도가 나타나 있는데 이 모양이 보란 듯이 일본 쪽을 향하고 있다는 의미심장한 설명이 실려 있다. 해마다 반복되는 독도의 영유권 주장 논리는 한일 양국 간에 더할 나위 없이 미묘한 갈등 유발 요인이다. 최근 독도에 대한 한일 양국 간의 갈등은 더욱 첨예해지고 있는 모양새다. 지난 3월 25일 한국국립해양조사연구원(KHOA)이 바다 위를 항해하는 드론인 ‘자율형해양관측장치(AOV)’를 독도에 투입해 무인 해양조사를 시행하겠다는 계획을 파악한 일본 외무성이 외교 루트를 통해 공식 항의했다. 이어 하루 뒤인 지난 3월 26일에는 독도에 대한 부당한 주장을 담은 일본 국정 초등학교 3~6학년 사회 교과서가 검정 통과된 데 대해 우리 정부가 강력 규탄하며 철회를 ..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과 독도영유권 (2024)

책소개72년간 계속되고 있는 한국과 일본 사이에 독도영유권 ‘논쟁’, 일본의 주장이 완전히 거짓임을 밝히다이 책은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의 조약문 작성자인 덜레스 미국대통령 특사가 샌프란시스코 평화회의 석상에서 51개국 대표들에게 행한 평화조약 조약문의 유권적 해석을 내린 연설 전문을 새로 발굴해서, 이 덜레스의 평화조약 유권적 해석의 연설문을 증거의 하나로 하여 일본의 독도영유권 주장이 완전히 거짓이고 허위임을 밝힌 책이다.그리고 덜레스의 평화조약문 유권적 해석을 증거로 분석하고 제시하여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은 도리어 포츠담선언 일본항복조건 제8조와 그 이미 집행된 것(연합국최고사령관 지령 제677호, 즉 SCAPIN 제 677호)을 연합국과 일본이 함께 그대로 비준하여 국제사회와 국제법에서 독도는 영구..

[웹북] 08월 28일 (1952 한국과 일본 독도분쟁 발생)

1408 태종8년 태조실록 편찬 / 1861 화가 안중식 출생  / 1893 국어학자 이극로 출생 / 1912 서양화가 이인성출생 / 1933 전국에 풍수해 1841명 사망 / 1950 한국은행 1차화페개혁(조선은행권 원. 한국은행권 원 1;1 )단행 / 1952 한국과 일본 독도분쟁 발생 / 1960중앙전화국 용산분국 자동삭 교환시설 개통 / 1962 순천시 수해(1000여명 사상) / 1980 대학휴교령 107일 만에 해제 / 1991 동아건설, 리비아 대수로 1차 공사통수식 / 1995 칠례와 외교관사증면제협정 체결 / 광주지하철 1호선 귀국 / 1997 한국전기통신공사법 페지 독도독도다른이름: 리앙쿠르 암초, / 다케시마(일본 주장), / 우산도, 가지도, 삼봉도, 호넷 섬 / 북쪽에서 본 독도...

[웹북] 이극로 (1893~1978) 국어학자.

이극로이극로출생 1893년 8월 28일  / 조선 경상도 의령현 지산면 / 사망 1978년 9월 13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시 / 사인 병사 / 성별 남성 / 국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본관 전의 / 별칭 호 고루, 물불 / 학력 동제대학, 독일 훔볼트 대학교 / 경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무임소상 /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부위원 / 직업 국어학자 / 종교 대종교 / 부모 이근주 / 배우자 김공순 / 자녀 이억세, 이대세이극로(李克魯, 문화어: 리극로, 1893년 8월 28일 ~ 1978년 9월 13일)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어학자, 정치인이다. 본관(本貫)은 전의(全義)이며 예조 참판(禮曹叅判) 이함장(李諴長)의 후손으로 경상남도 의령(宜寧) 출생이다. 호는 고루이다. 일제강점기에 ..

[웹북] 08월 28일 (1408 태종8년 태조실록 편찬)

1408 태종8년 태조실록 편찬 / 1861 화가 안중식 출생  / 1893 국어학자 이극로 출생 / 1912 서양화가 이인성출생 / 1933 전국에 풍수해 1841명 사망 / 1950 한국은행 1차화페개혁(조선은행권 원. 한국은행권 원 1;1 )단행 / 1952 한국과 일본 독도분쟁 발생 / 1960중앙전화국 용산분국 자동삭 교환시설 개통 / 1962 순천시 수해(1000여명 사상) / 1980 대학휴교령 107일 만에 해제 / 1991 동아건설, 리비아 대수로 1차 공사통수식 / 1995 칠례와 외교관사증면제협정 체결 / 광주지하철 1호선 귀국 / 1997 한국전기통신공사법 페지태조강헌대왕실록 (太祖康獻大王實錄)태조실록구성 15권 3책 / 소재지 서울 관악구 서울대학교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부산 ..

[웹북] 조·미수호통상조약 (1876)

조미 수호 통상 조약조미 수호 통상 조약조·미수호통상조약(朝美修好通商條約, 영어: Treaty of Peace, Amity, Commerce and Navigation, United States–Korea Treaty of 1882)은 1882년(고종 19년) 조선과 미국 간에 조인된 조약이다. 1882년 5월 22일(음력 4월 6일) 조선의 전권위원 신헌, 김홍집과 미국의 전권위원 로버트 윌슨 슈펠트 간에 제물포에서 체결되었다. 이 조약은 조선이 서양 국가와 맺은 최초의 수호 통상 조약이다.개설미국 정부의 명을 받은 슈펠트는 처음에 일본을 통하여 조선과 수호 조약을 맺으려고 일본 외무경(外務卿) 이노우에 가오루(井上聲)의 소개장을 가지고 부산에 입항하였다. 그는 일본 영사(領事) 곤토(近藤眞鋤)로 하여..

[웹북] 강화도 수호조약 - 1876년 (고종13년) 2월27일.

강화도 조약 조일수호조규 통칭・약칭 강화도 조약 · 한일수호조약 · 병자수호조약서명일 1876년(고종 13년) 2월 27일서명장소 조선 조선 경기도 강화유수부 연무당 (대한민국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관청리)언어 한문 · 일본어조일수호조규(朝日修好條規, 영어: Japan-Korea Treaty of 1876) 또는 강화도 조약(江華島條約)은 1876년 2월 27일(고종 13년 음력 2월 3일) 조선과 일본 제국 사이에 체결된 조약이다.다른 명칭으로는 한일수호조약(韓日修好條約) 또는 병자수호조약(丙子修好條約) 등으로 부르기도 하며, 흔히 강화도 조약으로 알려진 이 조약의 정식 명칭은 조일수호조규, 일본측에는 병자수교조약이라고도 부른다.한일 관계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근대 국제법의 토대 위에서..

[웹북] 윤요호 사건 (1875년 9월20일~9월22일)

운요호 사건운요호 사건날짜 1875년 9월 20일(음력 8월 21일) ~ 9월 22일(음력 8월 23일)장소 강화도 / 결과 조선의 패배, 강화도 조약 조인교전국조선 / 일본 제국지휘관이민덕 / 이노우에 요시카병력400여명의 병력과 /해안포대 군함 1척/ 병력 22명피해 규모35명 사망/16명 부상 /2명 경상운요호 사건(雲揚號事件, 영어: Un'yō incident, 1875년 9월 20일(고종 12년, 음력 8월 21일))[1] 또는 강화도 사건(江華島事件, 영어: Ganghwa Island incident)은 통상조약 체결을 위해 일본 군함 운요호가 불법으로 강화도에 들어와 측량을 구실로 조선 정부의 동태를 살피다, 조선 수비대와 전투를 벌인 사건이다.배경 조선의 일본 국서 거부일본은 메이지 유신(..

이순신, 최후의 명령 戰方急(전방급) - 2024

책소개충무공 이순신, 과학에서 만나다.23전 23승 비결, 이순신에서 미래전 해답을 찾다.영웅 이순신은 위기의 순간에 어떤 생각을 했고 어떤 태도로 살았으며, 또 세상과 어떻게 소통하며 고난을 극복했는지를 과학적으로 추적한 책이다.목차머리말1부전쟁에 대한 새로운 시각01 전쟁이란 무엇인가?02 미래전은 무엇이 다른가?03 새로운 개념의 전쟁, 이순신에게서 찾다2부이순신을 통해 미래전을 보다 : 大觀小察01 효과중심작전 - 전체 파괴보다 핵심과 급소를 파괴한다02 하이브리드전 - 정규군과 비정규군을 배합한다03 비대칭전 - 적과 다른 수단, 방법, 차원으로 싸운다04 4세대 전쟁 - 모든 가용 네트워크를 운용한다05 군집전투 - 원하는 지역으로 유인하여 격멸한다06 인지전 - 대중의 사고와 행동방식을 바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