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08 태종8년 태조실록 편찬 / 1861 화가 안중식 출생 / 1893 국어학자 이극로 출생 / 1912 서양화가 이인성출생 / 1933 전국에 풍수해 1841명 사망 / 1950 한국은행 1차화페개혁(조선은행권 원. 한국은행권 원 1;1 )단행 / 1952 한국과 일본 독도분쟁 발생 / 1960중앙전화국 용산분국 자동삭 교환시설 개통 / 1962 순천시 수해(1000여명 사상) / 1980 대학휴교령 107일 만에 해제 / 1991 동아건설, 리비아 대수로 1차 공사통수식 / 1995 칠례와 외교관사증면제협정 체결 / 광주지하철 1호선 귀국 / 1997 한국전기통신공사법 페지
태조강헌대왕실록 (太祖康獻大王實錄)
태조실록
구성 15권 3책 / 소재지 서울 관악구 서울대학교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부산 연제구 / 국가기록원 역사기록관 / 등록/ 구분 1973년 12월 31일 국보 지정 / 1997년 10월 세계기록유산 지정 / 《태조강헌대왕실록》(太祖康獻大王實錄)은 조선 태조 원년(1392년)부터 태조 7년(1398년)까지의 역사를 기록한 책으로, 조선왕조실록의 한 부분이다. 편년체로 쓰여져 있다.
편찬 경위
태종 8년(1408년)에 태조가 승하하였고, 1409년 8월 28일에 태종이 춘추관 관원에게 명하여 《태조실록》을 편찬케 하였다. 이때 춘추관 기사관(記事官) 송포(宋褒) 등이, 당대의 기록을 당대의 인물이 정리한 전례가 없고 후세에 의심받을 수 있다는 점을 이유로 들어 실록 편수를 철회해야 한다는 상소를 올렸다. 태종은 《춘추》도 당대의 기록이라는 점을 들어 이를 반박하고, 이후 일주일 동안 예조 등에서 이 문제를 제기했으나 철회를 허락하지 않았다. 이어 1413년 3월에 총 15권으로 완성하였다. 이후에 실록의 기록이 번잡하고, 중복 기사가 많다는 이유로 세종 20년(1438년) 9월에 다시 개수하여, 1442년 9월에 마쳤다. 이후 세종 30년(1448년)에 정인지가 증수하고, 문종 원년(1451년)에 약간 개수하여 지금까지 내려오고 있다.
[Sources Wikipedia]
내용
태조실록에는 태조의 재위 기간의 기록 이외에도 가계나 고려말의 약사, 태조의 활동 등을 기록하고 있다. 편년체로 기술된 부분은 1392년 7월 17일에 태조가 조선을 개창한 이후부터의 기록이다. 이후 1398년 9월 5일에 정종에게 양위하였지만, 정종 원년(1399년) 이전의 기록은 《태조실록》에 수록하였다.
역사란 인간이 살아온 세월과 그 인간들의 이야기다. 우리는 그 세월과 이야기를 거울삼아 현재를 돌아보고 미래를 예측하면서 보다 균형 잡힌 인간으로 성장하고자 한다. 부디, 이 책이 그 거울의 한 조각이라도 되길 소망한다. -p.5 「개정증보 3판을 내며」
이성계는 원로들과 백관을 한자리에 모아 국호를 의논하도록 했으며, 그 결과 ‘조선’과 ‘화령’이라는 두 명칭이 정해졌다. 조선은 단군조선, 기자조선 등 역사적인 맥을 잇는다는 의미에서, 그리고 화령은 이성계의 출생지라는 이유로 채택되었다. (……) 조선이라는 국호는 민족주의적인 역사관과 사대주의적인 가치관이 혼재되어 있는 이름이었다. 성리학을 지배 이념으로 하여 건국한 조선왕조는 왕도정치의 구현과 중국과의 사대 관계 유지를 이상적인 정치와 외교로 인식했다.
-p.79~80 「태조실록」 ‘국호를 ‘조선’으로 정하게 된 배경’
세종이 쉬운 문자를 만들고자 했던 것은 훈민정음 창제 동기에서도 잘 드러나듯 “어리석은 백성이 이르고자 할 바 있어도 이르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그런 “백성들을 편안하게 하기 위함”이었다. 세종은 이를 개선하기 위해 훈민정음 창제를 결심했지만, 당시 양반사회는 결코 그의 결심을 받아들일 수 없는 분위기였다. 심지어 그들은 일반 백성들이 법의 내용을 아는 것이나, 또 학정을 일삼는 관리를 고발하는 것조차 법으로 금지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니 말이다. -p.156 「세종실록」 ‘훈민정음, 누가 만들었는가?’
왕이 아무리 뛰어난 자질과 인성을 지녔다 하더라도 그 왕을 보필하고 이끌어줄 신하가 없다면 왕도정치는 기대할 수 없는 것이다. 세종시대는 세종이라는 마부와 황희와 맹사성이라는 두 마리 말이 끌고 가는 쌍두마차에 비유할 수 있다. (……) 황희가 분명하고 정확하고 강직했다면, 맹사성은 어질고 부드럽고 섬세했다. 세종은 이들 두 재상의 성격을 십분 활용하여 때로는 강력한 정치력을 발휘하기도 하고, 때로는 부드럽고 온유한 정치를 펼치기도 하였다. 이러한 왕의 중용적인 태도는 세종시대를 성종시대와 더불어 조선 역사상 가장 영화롭고 안락한 시대로 만드는 원동력이 되었다.
-p.163~166 「세종실록」 ‘희대의 명재상 황희와 맹사성’
성종 대에 부활한 유향소 제도는 중앙집권 체제의 보조 기구에 불과했지만 사림에게는 정치적 기반이 되었다. (……) 이로써 사림 세력이 중앙의 비판 세력으로 성장하는 데 큰 어려움이 없었으며, 결국 성종이 노린 ‘힘의 균형’을 실현하는 중요한 수단이 되었다. 즉, 성종이 왕도정치를 표방한 것은 학문을 좋아하는 그의 천성에서 비롯되기도 했지만 사회적 모순과 병폐를 제거해야 한다는 시대적 요구이기도 했던 것이다.
-p.248~249 「성종실록」 ‘사림의 등장과 조정의 세력균형’
갑자사화는 겉으로 보기에 모친 윤씨에 대한 연산군의 복수극으로 비치지만 사실은 연산군과 임사홍 일파가 정권을 장악하려는 의도에서 벌인 고의적인 참살극이었다. (……) 그는 막상 모든 권력을 손아귀에 쥐게 되자 문신들의 직간이 귀찮다는 이유로 경연과 사간원, 홍문관 등을 없애버렸다. 심지어 환관 김처선이 직언을 한다 하여 (……) 모든 문서에 김처선의 ‘처(處)’ 자를 사용하지 못하게 했다. 그 때문에 절기 중의 하나인 ‘처서’를 ‘조서’로 고쳐 부르기도 했다. -p.274~275 「연산군일기」 ‘연산군의 광적인 폭정’
이순신을 비판하는 또 다른 목소리는 그가 왕의 명령조차 거부하는 오만한 행동을 보였다는 것인데, 문제가 있는 지적이다. 당시 조선 사회의 선비관으로 보면 왕이 내린 명령이라 할지라도 그것이 대의와 도리에 맞지 않으면 순종하지 않는 것이 왕에 대해 충성하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선비가 충성해야 할 대상은 왕 개인이 아니라 바로 나라 전체를 떠받치고 있는 백성이고, 왕은 이에 대한 상징적인 존재이기 때문이다. 이순신은 바로 이 같은 가치관에 따라 자신의 행동 방향을 결정하는 인물이었다.
-p.377 「선조실록」 ‘난세에 핀 꽃 이순신’
조선의 사관들은 광해군을 폭정을 일삼은 폭군으로 기록하고 있다. 오히려 광해군은 대명 사대주의자들에 밀려 자신의 실리적 외교론과 현실 감각에 바탕을 둔 정치 이론을 완전히 꽃피우지도 못한 채 밀려난 불행한 왕이었다. (……) 당시 명은 이미 기울고 있는 나라였고 후금(청)은 일어서는 나라였다. 조선은 이러한 상황을 역이용해 개국 이후 계속되던 중국과의 군신 관계를 청산하고 대등한 위치로 격상할 수 있는 유일한 기회를 맞이하고 있었다. 광해군은 이 점을 읽어내고 중립 외교노선을 걸었지만 이후 조선은 대명 사대주의의 길을 걸어 결국 청에게 왕이 무릎을 꿇고 군신 관계를 맺는 대치욕을 겪게 된다.
-p.397~398 「광해군일기」 ‘실리주의자 광해군의 과감한 현실 정치’
정조시대는 양반, 중인, 서얼, 평민층 모두가 문화에 대한 관심을 집약시킨 문예 부흥기였다. 이를 가능하게 했던 근본적인 동력은 병자호란 이후 청을 오랑캐로 인식하던 사대주의 사상이 사라지고 민족주의가 고개를 들어 독자적인 문화를 이룩해나가는 과정에서 형성된 자긍심이었다.
-p.557 「정조실록」 ‘정조의 문화 정치와 실학의 융성’
---본문 중에서
출판사 리뷰
역사상 가장 오랜 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된 나라, 조선!
500년을 이끌어온 조선의 저력은 무엇이었을까?
단일왕조로는 역사상 가장 오랜 기간 유지된 나라, 조선! 수많은 나라들이 흥망성쇠를 거치는 와중에도 27명의 왕들을 배출하며 500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조선이 지속될 수 있었던 저력은 무엇이었을까? 감히 왕조차도 들춰볼 수 없었던 금단의 기록, 바로 『조선왕조실록』 속에 그 비결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나라 전체를 들썩이게 한 정치적 논쟁부터 민간에서 일어난 크고 작은 사건까지, 조선시대의 모든 것이 2,000권 남짓의 방대한 기록으로 지금까지 전해진다. 우리는 ‘조선왕조 500년사’ 그 면면을 들여다보면서 혼란의 시대를 지혜롭게 헤쳐나갈 수 있는 실마리를 발견하게 될 것이다.
역사 분야 최고 베스트셀러가 전하는 ‘제대로 읽는 조선사’
2017년 전면개정판 『한 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 출간!
1996년 첫 출간된 『한 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은 지난 20년 동안 300쇄를 돌파했고 200만 부 이상이 판매된 책이다. 출간 첫해부터 35만 부라는 놀라운 기록을 세웠고, 20년이 지난 지금 200만 부를 훌쩍 넘어서며 역사 분야 최고의 밀리언셀러로 더욱 견고히 자리 잡았다. 자랑스러운 문화유산이자 가장 정통한 역사 기록인 『조선왕조실록』을 한 권으로 정리한 『한 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의 새로운 역사가 막 시작되고 있다.
이번에 출간된 2017년 전면개정판 『한 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은 구판을 읽은 200만 독자들의 의견을 하나하나 반영해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며 더욱 완성도를 높였다. 이 책을 다소 어렵게 느꼈을 기존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간결하고 흥미로운 「예비지식」을 덧붙였으며, 「숙종실록」의 내용을 대폭 보완했다. 「예비지식」은 도대체 『조선왕조실록』이 어떤 책인지 근본적인 물음부터 시작해, 묘호와 시호, 존호와 조와 종의 차이, 왕위는 어떤 과정을 거쳐 계승되었는지, 왕의 실제 하루 일과와 사생활은 어떠했는지 등 주로 왕에 대해 수많은 독자들이 물어왔던 질문들을 17가지 항목으로 정리해 명쾌한 해답을 건넨다.
「숙종실록」은 숙종시대 전반을 이해하는 데 필요하다고 판단한 ‘삼복 형제와 홍수의 변’, ‘숙빈 최씨’ 등 다채로운 이야기를 짜임새 있게 더했다. 이 외에도 구판의 내용 중에 정확하지 않거나 표현이 애매한 부분을 세심하게 손질했으며, 읽기 편하도록 다시 깔끔하게 편집하였다. 더욱 고급스러운 디자인으로 새 옷을 입은 2017년 전면개정판 『한 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은 기존 독자에게도, 새롭게 만나는 독자에게도 만족감을 선사할 것이다.
출처: https://japan114.tistory.com/5524 [동방박사의 여행견문록 since 2010:티스토리]
'03.한국역사 [역사지식여행] > 2.조선시대사 (1392~1910)'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북] 신숙주 (1417~1475) - 성리학자. 외교관 (1460 신숙주 여진정벌) (6) | 2024.09.04 |
---|---|
[웹북] 제1대 조선국왕 - 태조 (0) | 2024.09.01 |
[웹북] 08월 27일 (1907 순종황제. 경운궁에서 즉위) (1) | 2024.08.27 |
[웹북] 08월 06일 (1298 정도전 피살) (0) | 2024.08.25 |
[웹북] 08월 24일 (1618 허균 사형집행) (0) | 2024.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