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8 429

민주와 인권의 현장, 남영동 대공분실 (2019)

책소개남영동 대공분실1970~1980년대 군부독재에 항거한 민주인사들의 고문 장소로 악명을 떨쳤던 남영동 대공분실은 1976년 10월 ‘국제해양연구소’라는 운영자 이름을 달고 지어졌다. 조형성이나 공간 구성 면에서 당시 지어진 어느 건물에도 뒤지지 않는 세련된 잘 지은 검은 벽돌 건물이다. 정초석에는 ‘내무부장관 김치열’이라는 이름이 새겨 있다. 비슷한 시기에 지은 유사 성격의 다른 건물과 달리 정초석에 이름을 새긴 것에 대해 안창모(근대도시건축연구재단 이사장, 경기대 건축학과) 교수는 “당대 최고의 건축가를 통해서 최고의 건축을 만들어, 자신의 역할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열의가 가득했음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42쪽)고 해석한다.“내가 처음 서울갔을 때 ‘탁하니 억했다’는 식의 설명을 하더니 그후 ..

김근태 당신이 옳았습니다 (2012) - 민주주의자 김근태를 추모하며

책소개민주 진보 진영과 그 지지자들에게 남겨진 소중하고도 무거운 과제“김근태는 갔지만, 그가 구상하던 ‘좀 더 나은 세상’을 이루는 숙제는 산 자들의 몫으로 남았다.”2011년 12월 30일, 추운 겨울날, 김근태 민주당 상임고문이 예순넷의 나이로 숨을 거둔지 어느것 1년의 세월이 흘렀다. 그동안 두 번의 선거가 있었고, 다시 겨울이 돌아왔다. 김근태가 설립하고 이사장으로 활동하던 한반도재단(한반도 평화와 경제발전 전략 연구 재단)은 민주주의자 김근태 서거 1주기를 맞이하여, 김근태를 추모하여 그의 뜻을 되새기겠다는, 살아남은 이들의 마음을 엮은 책 『김근태, 당신이 옳았습니다』를 내놓았다.책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마지막 당부”라는 제목으로 김근태의 유언이 된 그의 마지막 원고 ‘2012년을..

[웹북] 08월 06일 (1298 정도전 피살)

1298 정도전 피살 / 1597 백두산 화산폭팔 / 1886 육영공원 개원 / 1926년 소설가 나도향 사망 / 1948 노동운동가 전태일 출생 / 1948 한미상호방위원조협정 체경 /1953 비상계엄령 전면 해제 / 1955 IMF와 IBRD가입 .2005 제11차 남북이산가족 상봉(평양) / 2009 남북적십자회담 재개정도전정도전 / 鄭道傳조선의 판삼사사 / 임기 1393년 9월 26일 ~ 1398년 8월 26일 / 군주 조선 태조 이단 / 섭정 문하정승 조준(前) / 고려의 전교시주부 / 임기 1363년 5월 11일 ~ 1364년 8월 11일 / 군주 고려 공민왕 왕기 / 섭정 고려 덕흥군 왕혜(前)이름별명 삼봉(호), 종지(자), 문헌(시호), 봉화백(작위), 해동장량(별칭)신상정보출생일 134..

[행사알림] 제5차 난민연구 콜로퀴움 개최 (8.29.목)

강원대학교 통일강원연구원에서 '우크라이나 난민사태와 폴란드, 헝가리의 대응'이라는 주제로 제5차 난민연구 콜로퀴움을 개최합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 드립니다.일시: 2024년 8월 29일(목) 16:00~17:30장소: 강원대학교 중앙도서관 1층 통일강원연구원 105-6호자세한 내용은 포스터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김근태 기념관 (서울 도봉구 도봉산역 입구 300m)

김근태출생 1947년 2월 14일  / 미 군정 조선 경기도 부천군 오정면(현 대한민국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 사망 2011년 12월 30일(64세)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학교병원 / 성별 남성  / 국적 대한민국 / 학력 서울대학교 경제학 학사 / 직업 정치인 / 배우자 인재근 / 자녀 슬하 1남 1녀 / 종교 천주교 (세례명:즈카리아) / 의원 선수 3 / 의원 대수 15·16·17 / 정당 민주통합당 / 지역구 서울 도봉구 갑(15·16·17) / 웹사이트 김근태의 평화와 상생을 위한 한반도재단 / 국회의원 / 선거구 서울 도봉구 갑(15·16·17) / 당선 횟수 3 / 임기 1996년 5월 30일~2008년 5월 29일 / 제43대 보건복지부 장관 / 임기 2004년 7..

창조론 (2019) - 과학 시대 창조 신앙 The Doctrine of Creation

책소개기독교와 과학의 관계라는 해묵은 숙제는 지금도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기독교와 과학은 일치, 협력, 갈등, 대립 모델 중 어디에 속하는 관계일까? 이 숙제에 도전하기 위핸 책이 나왔다. 김정형의 『창조론』은 “과학 시대 창조 신앙”이라는 부제가 말하듯, 현대의 과학적 세계관을 진지하게 고려하면서, 그중에서도 진화론 중심의 생명과학과 대화하는 가운데, 기독교 전통의 창조 신앙에 토대한 창조론을 현대인도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재구성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이 점에서 본서의 과제는 이중적이라고 하겠다. 우선 저자는 우주와 지구의 생성, 생명의 발생과 자연의 역사에 초점을 맞추어 창조 신앙을 설명하려는 기독교 내의 모든 시도를 ‘창조설’로 명명한다. 아울러 성서문자주의적 창조설, 창조과학의 창조설, ..

[웹북] 창조론의 이해

창조론신학적 창조의 의미 / 창조론하나님창세기욤 / 창조론 관련 설화 / 창조 신화천지창조아담에덴 동산선악을 알리는 나무금단의 열매대홍수 신화노아의 방주아브라함의 번제물야곱 설화요셉 족장설화과학과의 관계과학과 종교의 관계창조론에 대한 반론진화에 대한 이슬람교의 관점 / 과학과 충돌하지 않는 창조론 / 유신진화론 열린 진화계획된 진화인도된 진화선아담인류론골격 해석간격 창조론바이오로고스(영어판) / 사이비과학적 시각의 창조론(창조설) / 젊은 지구 창조론(창조과학)오랜 지구 창조론점진적 창조론지적 설계창조연대 /관련 사건들 / 스콥스 재판스티브 프로젝트키츠밀러 대 도버 교육구 재판(영어판)교과서 진화론 삭제 사건 이슬람교수니파의 다섯 기둥 / 시아파의 열 기둥 / 주요 인물 / 경전과 율법 / 이슬람 교파 ..

[웹북] 에덴동산 (성경기록, 위치)

에덴 동산아담의 창조에덴 동산 또는 에덴(히브리어: גַּן עֵדֶן Gan ‘Ēden, 영어: Garden of Eden 또는 Paradise)은 구약성경의 창세기에서 야훼가 최초의 사람인 아담과 하와를 위해 만들어 살게 했다는 이상향의 이름이다. 아브라함 계통 종교들의 창조 신화에 등장하는 이 정원은 기독교가 세계적으로 전파되면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고, 오늘날에는 낙원의 대명사로서 사람들에게 전형적인 낙원상으로 인식되고 있다. 창세기의 창조 이야기를 보면, 네 줄기의 강(비손, 기혼, 티그리스, 유프라테스)과 근처의 세 지역(하윌라, 에티오피아, 아시리아)을 언급하면서 에덴의 지리적 위치를 기술하고 있다.에덴이 실제 장소였다고 보는 기독교인들 사이에서는 에덴의 위치는 지금도 논쟁 대상이 되고 있다...

최초의 신화 길가메쉬 서사시 (2020) - 국내 최초 수메르어·악카드어 원전 통합 번역

책소개『최초의 신화 길가메쉬 서사시』는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수메르어 판본과 악카드어 판본으로 구성된 점토서판 원문 모두를 음역하고 한역하여 소개하는 작품이다. 즉 악카드어인 셈어 판본, 약 4,000~3,600년 전의 고(古)바빌로니아 시기에 기록된 고바빌로니아 판본, 바빌로니아 카시트 왕조 때 기록된 씬-리키-운니니의 표준 바빌로니아 판본, 그리고 고바빌로니아 이전의 수메르어 판본을 거의 모두 해독하여 소개하는 첫 번째 시도다. 사어(死語)가 된 언어와 문자를 더듬거리고 풀어쓰며 완성된 『최초의 신화, 길가메쉬 서사시』는 30여 년간 지속된 저자의 힘겨운 수메르 여행길을 마감하는 역작임과 동시에 새로운 여정으로 나아가는 작품이다. 저자는 모든 판본을 깊이 연구하여 한국의 독자들이 읽기 쉽도록 재구성했으..

길가메시 서사시 (2021) - 인류 최초의 신화

책소개길가메시, 폭군에서 지혜자로 우뚝 서다인간의 자립과 성장에 관한 원형(原型)을 담은 이야기『길가메시 서사시』는 폭군에 불과했던 한 인간이 고대에 지혜자요 신(神)의 위치에 오르기까지 겪었던 모험과 실패, 성장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 인류 최초의 서사시이자 영웅 신화이다. 시인 라이너 마리아 릴케는 서사시 원문의 초기 번역서를 접한 후 환희와 경이로움에 사로잡혀 만나는 사람 모두에게 “정말 굉장해요!”라고 외치고 다녔다. 4천 년 동안 잠자고 있었던 고대의 마법이 풀렸기 때문이다.인생의 본질과 성장에 관한 인류의 고민은 그때나 지금이나 흡사했다. 이 서사시에는 영생을 향한 인간의 열망, 죽음을 앞둔 자의 고뇌와 분투, 인간의 한계를 경험한 후 들어선 깨달음의 길 등, 인문적인 사유가 박진감 넘치는 모험..

[웹북] 길가메시 서사시 (메소포타미아 신화)

길가메시 서사시메소포타미아 신화 / Chaos Monster and Sun God태초의 존재 / 일곱 지배신 / 그 외 주요신반신 및 영웅 / 정령 및 괴물 /이야기아트라하시스엔메르카르와 아라타의 지배자에누마 엘리시길가메시 서사시관련 주제고대 근동 종교수메르 종교바빌로니아 종교길가메시 서사시 (Epic of Gilgamesh)는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서사시로 수메르 남부의 도시 국가 우루크의 전설적인 왕 길가메시(Gilgaméš)를 노래하였다. 19세기 서남아시아 지방을 탐사하던 고고학자들이 수메르의 고대 도시들을 발굴하는 과정에서 발견되었다. 길가메시 서사시는 호메로스의 서사시보다 1500년가량 앞선 것으로 평가된다.[출처 필요]길가메시 서사시의 기원"수메르 왕 명부"에 따르면 길가메시(수메르어 이름은 ..

[웹북] 수메르 창조신화

수메르 창조신화수메르 창조신화, 또는 에리두 창세기은 수메르의 창조신화이다. 가장 오래된 기록은 1893년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탐험대에 의해 니푸르에서 발굴된 석판 단편인데, 발견 후 약 20년이 지난 1912년 아르노 포벨에 의해 처음으로 인식되었다. 이 단편은 수메르어로 기록되어 있으며 시대는 기원전 16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시기의 다른 수메르의 창조 신화들은 바튼 실린더, 양과 곡물 사이의 논쟁, 겨울과 여름 사이의 논쟁으로도 불린다. 이들 역시 니푸르에서 처음 발견되었다.홍수수메르 창조신화는 누락된 부분이 있는데, 그 부분의 앞에서 신들은 인류를 멸망시키기 위해 홍수를 보내기로 결정했다. 바빌로니아의 에아에 해당하는 저승 바다의 신 엔키는 슈루팍의 통치자인 지우수드라에게 큰 배를 만들..

[웹북] 08월 25일(1965 정부 한일협정 반대 시위)

08월 25일 한국사 주요 사건 일지1451 고려사 139권 완성 / 1466 과전법 혁파, 직전법 실시 / 1919 이승만 워싱턴에서 임시정부 한국위원회 결성 / 1933 조선소방 사업령 공포 / 1948 조선 인민 민주주의공화국 총선거실시 / 1965 정부 한일협정 반대 시위 확산되는 고려대학교에 무장군인 투입 / 1972 경복궁 국립박물관 개관  / 1985 첫 공인중개사 자격시험 실시 / 1986 영광 원자력 1호기 준공. 국내 이동가입자 2000만명 이상, 국민 2.3명 당 1대꼴 / 2009 한국 첫 우주발사체 나로호(KSLV-1) 발사 실패.한일기본조약대한민국과 일본국간의 기본관계에 관한 조약  / ja:日本国と大韓民国との間の基本関係に関する条約대한민국과 일본국간의 기본관계에 관한 조약(大韓民..

바울 (2019) - 그의 생애 서신 신학

책소개바울에 대해 깊이 생각하고,바울을 통해 넓게 신학하라!바울 르네상스라 할 만큼 바울에 대한 저작이 쏟아지고 있고, 최첨단의 논의도 국내에 빠른 속도로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신기할 정도로 신뢰할 만한 바울 입문서는 거의 없었다. 대중의 눈길을 끈 많은 논쟁이 난립하는 터라, 바울에 대한 이해는 심각한 편식 현상을 보이기도 한다. 『바울』은 이 와중에 자신의 주장을 내세우기보다 ‘성실하고 정직한 안내자’ 역할을 하는 책이다. 주목할 만한 바울 연구자인 저자들은 바울을 둘러싼 복잡다단한 논의들을 균형 있게 소개할 뿐 아니라, 자신의 입장과 다른 견해도 존중하는 열린 신학의 태도를 보여 주고 있다. 이 책의 가장 중요한 차별점은, 독자들이 바울의 풍부하고 복잡한 사상을 이해할 수 있게 도우면서 동시에 바..

로마 세계의 초기 기독교 (2022) - 이해 고고학이 말하는 초기 예수 숭배 이야기

책소개지금까지 많은 신학자들은 신약의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 주로 구약, 구약 외경 및 위경, 사해 사본과 요세푸스의 작품을 포함한 유대 문헌들을 연구함으로써 그 시대와 신약성경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노력해왔다. 그런데 이와는 조금 다른 방법과 시각으로 로마 세계의 고고학 유물에 초점을 맞춰 초기 예수 숭배 이야기를 풀어낸 흥미로운 책이 나왔다. 이 분야에서 의미 있는 연구 작업을 지속해온 신약학자 브루스 W. 롱네커는 『로마 세계의 초기 기독교 이해』에서 이 시대에 관한 새로운 접근법과 연구 결과를 소개한다. 그는 화산 폭발로 순식간에 매몰되어 원래의 모습을 거의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폼페이와 헤르쿨라네움에서 발굴된 유적지, 유물, 비문 및 그라피티를 바탕으로, 1세기 로마 세계의 종교와 사회상 및 풍..

기독교 시온주의의 역사 (2024) - 기독교시온주의에 관한철저하고 포괄적인 연구

책소개2024년 현재 지구촌에서 가장 끔찍한 생지옥을 하나 꼽으라면 단연코 팔레스타인의 가자 지구를 들 수 있다. 2023년에 시작된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으로 인해 가자 지구에 사는 팔레스타인인들이 사망, 부상, 기근, 전염병으로 엄청난 고통을 겪고 있으며, 이를 보다 못한 전 세계의 양심적인 사람들이 이스라엘의 만행을 규탄하는 행렬이 이어지고 있다. 그런데 이런 상황에서 유독 어떤 개신교인들은 이스라엘을 지지하고 옹호하는 일에 적극적이다. 그리고 이런 현상은 한국 개신교라고 해서 결코 예외가 아니다. 왜 이들 개신교인들은 유달리 이스라엘에 대해 호의적인 언행을 서슴지 않는 것일까? 심지어 한국의 일부 개신교인들은 정치적 집회에 이스라엘 국기를 들고 참여하기를 마다하지 않는다. 대체 그 이유가 무엇일..

하나님은 왜 폭력에 연루되시는가? (2022) - 성서 내러티브에 나타난 하나님의 폭력

책소개포이어바흐, 마르크스, 니체와 같은 구 무신론자들이 신의 존재 여부를 의심했다면, 도킨스, 데닛, 해리스, 히친스 등과 같은 신 무신론자들은 종교의 해악성을 집중적으로 부각한다. 신 무신론자들은 특히 성서와 교회사에서 발생한, 신의 이름으로 자행된 무수한 폭력과 살상을 거론하며 종교가 불필요함을 역설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성서에서 묘사하는 하나님의 폭력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구약의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에게 약속의 땅에 사는 모든 가나안 사람들을 전멸할 것을 명령하는 반면, 신약의 예수는 하나님의 백성에게 원수까지 사랑하라고 말씀하신다. 구약의 전투적인 하나님과 신약의 자기희생적인 하나님은 과연 같은 하나님일까? 초기 교회 시대부터 지금까지 수많은 사람이 던진 이 오래된 질문은 성경을 읽어본 사..

신약성경을 기독교 경전으로 읽기 (2022) - 신약성경의 문학적·정경적·신학적 개론

책소개『신약성경을 기독교 경전으로 읽기』는 이미 다수의 저서를 통해 신약학자로서 명성을 떨치고 있는 두 신약학자가 신약성경이 하나님의 계시에 대한 증언으로서 “거룩한 경전”(Holy Scripture)이라는 전제하에 그리스도인 독자들이 기독교 신앙의 맥락에서 신약성경을 읽도록 돕기 위한 분명한 목적을 갖고 저술한 신약성경 개론이다.이 책의 주목할 만한 특징은 신약성경 해석과 관련한 다양한 질문 가운데서 중요한 사항을 다섯 가지 범주(역사적 문제, 문학적 문제, 신학적 문제, 정경적 연관성, 수용사)로 나누어 신약성경 각 책의 역사, 배경, 문학적 특징, 신학적 이슈 등에 대한 중요한 정보들을 충실하게 제공해준다는 점이다. 이를 위해 책의 곳곳에 다섯 가지 색깔과 모양의 작은 아이콘을 배치하여 그 아이콘에..

현대를 위한 선한 사마리아인 비유 (2024) - 선한 사마리아인 이야기를 입체적으로 읽기

책소개이 책은 예수가 가르치신 비유 중 가장 널리 알려진 비유, 곧 이른바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에 관한 것을 다룬다. 특별히 저자는 교회의 역사에서 다양하게 해석된 이 비유가 어떻게 해석되어왔는지를 보여주면서 해석의 본질에 대해 논한다. 그러나 그는 성서에 나타난 고대 세계의 비유를 이해하기 위한 올바른 방법을 가르치기보다는 이 비유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제공하고 독자들이 어떤 해석이 유효하고 어떤 해석이 유효하지 않은지 스스로 판단할 수 있도록 돕는다. 저자는 선한 사마리아인 비유가 사람과 편견 및 권력에 대한 당대의 가정이 담긴 이야기로서 우리와는 다른 시대와 장소에서 우리 시대로 전해져 내려온 가상의 이야기들이라고 주장한다. 독자들은 그의 주장을 통해 역사, 문화, 언어학, 문맥, 재문맥화, 해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