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교양인의 상식 [해설서]/6.일반상식 (교양지식) 8

[웹북] 화교 (華僑) - 일반상식

화교(華僑)海外华人총인구태국:  9,392,792[말레이시아: 6,960,900미국: 3,794,673언어 중국어 이외종교 주로 불교, 도교, 유교, 기독교민족계통 근연민족 중국인화교(華僑, 영어: overseas Chinese)은 중국인 출신으로 다른 국가에 사는 중국인들을 말하는 단어이며, 한국어권에서는 화교(華僑)라고 통칭한다. 해외에서 갖은 탄압을 받아오고 있기 때문에 "아시아의 유대인"이라는 별칭이 있다. 대부분이 서양열강과 일본이 중국에 설치한 상하이, 산둥, 북경, 심양, 다롄 등 식민지 중국에서 동남아 등으로 끌고간 쿨리 한인(漢人) 노예들이다. 한국, 동남아시아, 미국, 일본,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러시아 등에 거주하고 있으며, 그 수는 약 4천만 명으로 추정되고 있다. 주로 산둥, 심..

[웹북] 사회과학

분류:과학의 일부사회과학사회과학은 시장경제를 포함한 다양한 사회 현상을 연구한다. (인도 남부 사이다페트의 시장)학문명 사회과학학문 분야 과학사회과학(社會科學, 영어: social science)은 인간과 인간 사이의 관계에서 일어나는 사회 현상과 인간의 사회적 행동을 탐구하는 과학의 한 분야이다. TENGO SUEÑO따라서 자연과학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회 현상을 연구하여 규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사회 현상에서도 독자적인 규칙성을 발견할 수 있기 때문에 사회과학은 이를 설명할 수 있다. 사회과학이 가치관의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점은 1970년대 이후 오랫동안 사회과학이 진정한 과학이 될 수 있는가에 대한 비판의 근거로 작용하였다. 사회과학자들은 자연과학 역시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일정부분..

[웹북] 법학

법학법학법학자들은 "법이 무엇이고, 어떻게 되어야 하는가?"를 질문한다.학문명 법학법학(法學)은 법률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학문이다. 법학에서는 법의 개념을 정리하고 법률의 종류를 분류하며 법의 효력, 적용과 해석 등을 연구한다. 과거 대한민국의 경우, 법학이 사회문제와 법현실을 외면하고 오로지 법률학에만 치중한 결과 개념법학, 체제법학이라는 비난을 받았으며, 사법시험을 합격을 위한 수험과목 정도로 전락했다는 수험법학이라는 오명이 제기되되기도 했으나 민주화가 진전됨에 따라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올바른 접근과 방법론에 따른 연구성과가 축적되고 있으며 많은 부분이 개선되고 있다. 분류일반적으로 법학은 실제의 문제에 적용하는 것을 전제로 실정법의 의미를 인식하고 체계화하는 실용법학과 법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를..

[웹북] 신학

신학학문명 신학연구 분야 신신학(神學, 영어: theology 띠올러지)은 전통적으로 하느님(신, The Divine, The God) 그 자체를 정경이나 이성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연구하거나 신과 관련된 교리와 방법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이다. 서방 기독교에서 쓰이는 신학이라는 낱말은 테오스(고대 그리스어: θεός, →신)에 로고스(고대 그리스어: λόγος, →학문, 말)가 결합된 단어이다. 한국어에서 특별한 수식어 없이 신학이라는 낱말을 쓸 때는 일반적으로 그리스도교 신학을 가리킨다. 단어 의미로는 종교적 초월자로서 신 개념이 존재하는 모든 종교에서 다루는 신에 관한 학문을 신학이라 할 수 있다. 그러한 종교로는 그리스도교, 유대교, 이슬람교, 조로아스터교, 힌두교, 시크교, 바하이교 등이 있다. 그..

[웹북] 철학

철학Left to right: 플라톤, 이마누엘 칸트, 프리드리히 니체, 석가모니, 공자, 이븐 시나 철학자미학자 /인식학자 /윤리학자 /논리학자 /형이상학자 /사회와 정치 철학자전통대륙 /아리스토텔레스 /분석 /불교 /스콜라 /실용주의 /실존주의 /이슬람 /중국 /플라톤시대고대 /중세 /근대 /현대문학미학 /인식학 /윤리학 /논리학 /형이상학 /정치 철학분과미학 /인식론 /윤리학 /법철학 /논리학 /형이상학 /정치철학/사회 철학목록색인 /개요 /연도 /문제 /발표 /학설 /용어사전 /철학자Portal icon 철학 포털철학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소크라테스가 독배를 마시는 모습학문명 철학철학(哲學, 고대 그리스어: φιλοσοφία)은 세상의 옳고 그름이 무엇인지를 탐구,판별하는 것이다. 세계와 인간의 삶..

[웹북] 사회학

사회학핵심 주제 사회학 사회학(社會學)은 사람들이 어떻게 사는지와 왜 그렇게 사는지를 사회와 연관지어서 설명하는 학문이다.사회학에서는 다양한 사회 연구 기법을 이용하여 경험적인 조사를 하고, 그 결과를 분석한다.사회학은 이러한 의미에서 사회과학의 한 분야로서 다루어진다. 사회학의 목표는 인간 사회를 연구하여 미시사회학인 부분에서부터 거시적인 단계에 이르기까지 사회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다. 사회학은 방법론이나 탐구 주제 면에서 매우 광범위한 학문이다. 전통적으로 사회학은 양적 연구 방법을 통하여 계량적인 방법으로 계급과 같은 사회 계층, 사회 이동성, 종교, 세속화, 법률, 문화, 일탈, 근대성 등을 연구했다. 근래에 들어서 사회학의 연구 분야는 의학, 군사, 처벌과 같은 각종 사회 제도와 인터넷과 같은 ..

[웹북] 은 본위제 (경제)

본위 은화로 널리 유통된 "멕시코 달러"와 1768년 발행된 포토시 은화은본위제은 본위제(銀 本位制) 또는 실버 스탠더드(영어: silver standard)는 한 나라의 화폐 제도의 근간을 이루는 기준을 은으로 정하고 그 기초가 되는 화폐, 즉 본위 화폐를 은화로 하고 이것을 마음대로 주조, 마음대로 녹이는 것을 인정하여 무제한 통용을 가능하게 한 제도이다. 이 경우 해당 국가의 통화는 일정량의 은의 양으로 나타낼 수 있고, 상품 가격도 은 가치를 기준으로 표시된다.만력제 시대에 주조된 은화, 만력년조중국역사상 대표적인 은본위제 국가로는 청나라와 1935년까지 중화민국이 있었다. 청나라는 소액 거래에는 제전(制錢)이라고 불리는 관에서 만든 동전이 유통되었지만, 고액 거래에 있어서는 은원보(마제은, 馬蹄..

[웹북] 금 본위제 (경제)

금본위제금 본위제(金 本位制) 또는 골드 스탠더드(영어: gold standard)는 화폐 가치를 일정한 금 가치로 나타내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화 본위제'(金貨 本位制)와 '금지금 본위제'(金地金 本位制)를 모두 포함한다. 1870년대부터 1920년대 초반까지, 그리고 1944년부터 미국이 '금 태환'(金 兌換, gold exchange)을 정지하며 브레튼 우즈 체제가 끝나게 된 1971년까지 국제 통화 체제 기반으로 작동하였다.역사적으로 금본위제 대신 은본위제와 복본위제를 세계 곳곳에서 널리 사용했으나, 영국이 사살상 금본위제를 도입한 이래 19세기를 거치며 금본위제가 국제 통화 체제로 자리잡게 되었다. 국제 통화 체제로서 금본위제는 제1차 세계대전과 대공황을 거치며 위기를 겪은 후 금지금본위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