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한국근대사 [역사지식여행]/7.독립운동 (단체.인물.의병) 31

[웹북] 차리석 (독립운동가. 임시정부-국무위원)

임정 요인들 오른쪽 뒷줄 첫번째가 차리석, 뒷줄 좌로부터 송병조, 김구, 조성환,로우 조완구, 이동녕, 이시영차리석차리석(車利錫, 1881년 ~ 1945년 9월 9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주로 활동하였다. 일명은 서입환(徐立煥)이고 호는 동암(東岩)이다. 평안북도 선천군 출신. 생애1881년 7월 27일 평안남도 선천군에서 아버지 차시헌(車始軒)과 어머니 서시은(徐始恩)의 4남 2녀중 셋째아들로 출생하였다. 본관은 연안(延安)이다. 어려서 한학을 수학하고 1900년 평양 숭실학교 정규중등과정 5년제에 입학하여 1904년 제1회로 졸업하였다. 1908년 도산 안창호가 설립한 대성학교 교사로 부임하여 후학 양성에 힘쓰며, 안창호와 양기탁이 주도한 신민회 평양지회 평의원으로 활동하였..

[웹북] 조성환 (독립운동가. 임시정부-무임소실장)

임정 요인들과 함께 (뒷쪽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차이석, 김구, 조성환(본인), 송병조 조완구, 이동녕, 이시영 조성환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무임소실 실장임기 1933년 12월 30일 ~ 1934년 3월 20일주석 양기탁 임시정부 국무령 권한대행 / 양기탁 임시정부 국무령수상 양기탁 임시정부 국무총리 / 양기탁 임시정부 국무령신상정보출생일 1875년 7월 9일 / 출생지 조선 한성부 / 거주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사망일 1948년 10월 7일(73세) / 사망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국적 대한민국 / 학력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 졸업(1901년)경력 대한민국 임시정부 임시 의정원 의원 /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위원 / 대한민국 임시정부 군무부장 / 한국독립당 고문 겸 당무위원정당 한국독립당 / 본관 창녕..

[웹북] 이동녕 (임시정부 국무령과 주석. 신흥무관학교 초대교장)

이동녕이동녕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제5대 국무령임기 1926년 4월 29일 (첫번째 임기)~1926년 5월 3일 (첫번째 임기)전임: 양기탁(4대)후임: 안창호(6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제7대 국무령임기 1926년 5월 16일 (두번째 임기)~1926년 7월 7일 (두번째 임기)전임: 안창호(제6대)후임: 홍진(제8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제11·12대 주석임기 1927년 8월 19일 (세번째 임기)~1933년 3월 5일 (세번째 임기)전임: 김구(제10대)후임: 송병조(제13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제15·16·17대 주석임기 1933년 10월 (네번째 임기)~1940년 3월 13일 (네번째 임기)전임: 송병조(제14대)후임: 김구(제18대) 신상정보출생일 1869년 10월 6일출생지 조선 충청도 천안..

[웹북] 대한민국 임시정부 (1919~1948)

대한민국 임시정부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망명정부1919년~1948년 →대한민국의 국장문장표어 대한독립만세 (大韓獨立萬歲)국가 애국가수도 서울(명목상 수도)임시정부 소재지상하이 1919-1932 / 항저우 1932-1935 / 자싱 1935 / 난징 1935-1937 / 창사 1937-1938 / 광저우 1936-1939 / 치장 1939-1940 / 충칭 1940-1945 / 서울 1945-1948정치정치체제 민주공화정 -의원내각제 (1919) / -대통령제 (1919~25) / -의원내각제 (1925~27) / -집단지도체제 / (1927~40) / -주석제 (1940~48)임시 대통령 / 국무령 /주석부주석 이승만 (1919~25) / 이동녕 (1927~33) / 김구 (1940~47), / 이승만..

[웹북] 김구 (1876~1949)

김구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제9·10대 국무령임기 1926년 12월 14일~1927년 8월부통령 이인성 / 전임: 홍진(제8대) / 후임: 이동녕(제11대)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제18·19·20대 주석임기 1940년 3월 13일~1947년 3월 3일국가 부주석 김규식 / 전임: 이동녕(제17대) / 후임: 이승만(제21대)신상정보로마자 표기 Kim Ku / 출생일 1876년 8월 29일 / 출생지 조선 황해도 해주목 / 사망일 1949년 4월 26일(72세) / 사망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국적 조선(1876년-1897년) / 대한제국(1897년-1910년) / 대한민국 임시정부 (1919-1948년) / 대한민국 (1948년-1949년)본관 구 안동 / 정당 한국독립당 (1930년, 상하이) / 한국국민..

[웹북] 홍범도 (1868~1943)

1921년 당시 홍범도홍범도별명 범도(範道), 호는 여천(汝千) / 출생일 1868년 8월 27일 / 출생지 조선 평안도 평양부 서문안 문열사 부근 / (현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 사망일 1943년 10월 25일(75세) / 사망지 소련 카자흐 SSR 키질로르다. (현재 카자흐스탄 키질로르다)본관 남양 / 부모 홍윤식(부) / 종교 대종교 / 소속 대한독립군 / 서훈 (건국훈장 대한민국장)홍범도(洪範圖, 1868년 음력 8월 27일~1943년 10월 25일)는 조선 말기의 의병장이며,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군인이다. 사냥꾼으로 활동하여 사격술에 능하였으며, 1910년 경술국치 이후에는 만주에서 독립군을 이끌었다.생애홍범도는 1868년 평안남도 평양부 서문(보통문) 내 문열사 부근에서 빈..

[웹북] 김규식 (독립운동가) 1881~1950 *임시정부 학무총장

1946년 당시의 김규식김규식金奎植대한민국의 임시정부 학무총장임기 1920년 4월 10일 ~ 1920년 8월 27일전임 이춘숙 대한 임정 학무총장 임시서리대통령 이승만 대한 임정 대통령총리 이동휘 대한 임정 국무총리대한민국의 임시정부 학무장임기 1920년 8월 27일 ~ 1920년 9월 8일대통령 이승만 대한 임정 대통령총리 이동휘 대한 임정 국무총리대한민국의 임시정부 학무부장임기 1920년 9월 8일 ~ 1921년 4월 29일후임 김인전 대한 임정 학무부장 직무대리대통령 이승만 대한 임정 대통령총리 이동휘 대한 임정 국무총리이동녕 대한 임정 총리 권한대행이동녕 대한 임정 총리 임시서리미군정청의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의장 겸 상임위원장임기 1946년 12월 12일 ~ 1947년 6월 3일후임 신익희대통령 해..

[웹북] 서재필 (독립운동가) 1864~1951 *언론인.정치가

徐載弼  Philip Jaisohn 1948년 당시의 의학박사 서재필 前 미군정청 고문 서재필 조선국 교서관 예하 부정자 (朝鮮國 校書館 隸下 副正字)임기 1882년 8월 21일 ~ 1882년 9월 18일 / 군주 조선 고종 이형 / 섭정 영의정 홍순목미군정청 고문 (美軍政廳 顧問)임기 1945년 9월 8일 ~ 1947년 11월 20일 / 대통령 해리 트루먼 미국 대통령 / 수상 안재홍 미군정청 민정장관 / 장관 안재홍 미군정청 민정장관 / 사령관 존 리드 하지 미군정청 군정사령관이름별명 자(字)는 윤경(允卿)호(號)는 송재(松齋), 쌍경(雙慶)영문 이름 '필립 제이손(Philip Jaisohn) 또는 필립 제이슨(Philip Jason)필명 피제손(皮堤遜), 또는 피제선(皮堤仙), 오시아(Nelson..

[웹북] 강우규의사 (1855~1920) - 1919년 조선총독에 포탄

1879 안중근 의사 출생  / 1912 시인 노천명 출생 / 1919 강우규의사 조선총독에 포탄 / 1945 연합군최고 사령부, 미국. 소련 양군의 한반도 분할 정책 발표 / 1975 전국 중앙 학도 호국단 창설 / 1989 제30회 국제 기능 올림픽 페막. 한국 8연패 / 2000 비전향장기수 63명 북한으로 송환  / 2010 태풍 콘파스, 수도권. 강원을 관통하며 한반도를 강타. 강우규 / 신상정보출생 1855년 4월 20일 / 조선 평안도 덕천 / 사망 1920년 11월 29일(65세) / 일제 강점기 경성부 서대문형무소에서 사형(교수형) 집행됨. / 거주지 대한제국 함경남도 홍원 / 성별 남성 / 국적 대한제국 / 본관 금천(衿川) / 직업 독립운동가 겸 한의사 출신 /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추..

[웹북] 안중근 의사 (1879~1910) - 1909년 이토오 히로부미 저격

1879 안중근 의사 출생 / 1912 시인 노천명 출생 / 1919 강우규의사 조선총독에 포탄 / 1945 연합군최고 사령부, 미국. 소련 양군의 한반도 분할 정책 발표 / 1975 전국 중앙 학도 호국단 창설 / 1989 제30회 국제 기능 올림픽 페막. 한국 8연패 / 2000 비전향장기수 63명 북한으로 송환  / 2010 태풍 콘파스, 수도권. 강원을 관통하며 한반도를 강타.  안중근안중근신상정보다른 이름 청계(淸溪) / 아명(兒名): 안응칠(安應七) / 일명(一名): 안다묵(安多默) / 출생 1879년 9월 2일 / 조선 황해도 해주부 / 사망 1910년 3월 26일(30세) / 일본 제국 만저우 지방 관동주 펑톈 성 / 료준 뤼순 감옥 / 성별 남성 / 본관 순흥(順興) / 직업 독립운동가,..

[웹북] 안희제 (1885~1943) 독립운동가

안희제(安熙濟)안희제(安熙濟, 1885년 음력 8월 4일 ~ 1943년 8월 3일)는 대한민국의 독립 운동가이다. 본관은 탐진(耽津). 호는 백산(白山)이다.생애경상남도 의령군 출생이다. 어릴 때는 한학을 공부하다가 양정의숙을 졸업하고 동래군과 고향 의령에 학교를 설립하여 교육 사업에 몰두하면서 계몽 운동을 펼쳤다.1909년 윤세복, 서상일, 남형우 등과 함께 대동청년당 조직에 가담하였고, 이듬해 한일 병합 조약이 체결되자 만주로 1차 망명한 뒤 독립 운동에 본격적으로 나서게 되었다. 그러나 이후 독립 운동을 위해서는 자금을 모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 그는 귀국한 후 1914년 부산에 백산상회를 설립하여 실업가로서 독립 운동을 재정적으로 지원했다.1919년 3·1 운동 발생 이후 의령에서 기미독립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