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책소개
가야산 정진불
내 삶이 나의 이름이니
『혜암 평전』 출간!
혜암이라는 두 글자는 기억하지 못하더라도 ‘공부하다 죽어라’라는 말은 불자(佛子)라면 한 번쯤 들어봤을 것이다. 법호보다 그 말씀이 더 유명하다면 이분이 생전에 얼마나 수행을 강조했는지 짐작해볼 수 있다. 제자들은 혜암이 세상에 남긴 이 금과옥조와도 같은 말을 원당암 미소굴 옆 대형 석조 죽비에 새겨놓았다. 공부하다 죽는 일이 가장 수지맞는 일이라며 죽는 날까지 수행을 멈추지 않았던 가야산 정진불, 그가 바로 혜암慧菴(1920~2001)이다.
대한불교조계종 제10대 종정, 해인사 해인총림 제6대 방장으로 한국불교 현대사에서는 혜암을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혜암이라는 법호 두 글자보다 ‘가야산 정진불’ ‘두타수행자’라고 더욱 불리는 이유는 평생을 장좌불와長坐不臥하고 하루 한 끼만 먹으면서 후학들과 함께 용맹정진했던 혜암의 모습이 대중들의 기억에 무섭도록 깊게 각인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산중의 방장으로 있던 칠십대 중반일 때도 안거 중 7일 철야 용맹정진에 반드시 참여해 단 한 시간도 빠지지 않고 정진에 임했던 철저한 수행자, 사람이 가지는 최고의 능력이 곧 깨달음임을 선언하며 본래의 마음을 깨치라고 늘상 부르짖었던 수행자, 혜암! 평생 시종일관 우리 스스로가 부처임을 확인하는 길을 설했던 혜암대종사 탄신 101주년을 맞아 한국불교의 기둥이 된 스승의 가르침을 되새기고자 《혜암 평전》을 출간하였다.
내 삶이 나의 이름이니
『혜암 평전』 출간!
혜암이라는 두 글자는 기억하지 못하더라도 ‘공부하다 죽어라’라는 말은 불자(佛子)라면 한 번쯤 들어봤을 것이다. 법호보다 그 말씀이 더 유명하다면 이분이 생전에 얼마나 수행을 강조했는지 짐작해볼 수 있다. 제자들은 혜암이 세상에 남긴 이 금과옥조와도 같은 말을 원당암 미소굴 옆 대형 석조 죽비에 새겨놓았다. 공부하다 죽는 일이 가장 수지맞는 일이라며 죽는 날까지 수행을 멈추지 않았던 가야산 정진불, 그가 바로 혜암慧菴(1920~2001)이다.
대한불교조계종 제10대 종정, 해인사 해인총림 제6대 방장으로 한국불교 현대사에서는 혜암을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혜암이라는 법호 두 글자보다 ‘가야산 정진불’ ‘두타수행자’라고 더욱 불리는 이유는 평생을 장좌불와長坐不臥하고 하루 한 끼만 먹으면서 후학들과 함께 용맹정진했던 혜암의 모습이 대중들의 기억에 무섭도록 깊게 각인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산중의 방장으로 있던 칠십대 중반일 때도 안거 중 7일 철야 용맹정진에 반드시 참여해 단 한 시간도 빠지지 않고 정진에 임했던 철저한 수행자, 사람이 가지는 최고의 능력이 곧 깨달음임을 선언하며 본래의 마음을 깨치라고 늘상 부르짖었던 수행자, 혜암! 평생 시종일관 우리 스스로가 부처임을 확인하는 길을 설했던 혜암대종사 탄신 101주년을 맞아 한국불교의 기둥이 된 스승의 가르침을 되새기고자 《혜암 평전》을 출간하였다.
목차
추천의 글 - 여산은 멀리서 봐야 진면목을 알 수 있으니 | 벽산원각
행장 - 혜암 스님의 삶과 가르침
서장 - 이뭣고
여기 한 물건이 있다
공부만이 살 길이다
제1장 - 숙세의 선근 인연
길
영원한 행복은 어디에 있는가
한 여인의 편지
《선관책진》
사무친 발심
제2장 - 대중도 가야산도 놀라다
저 사람이 과연 무엇이 되려나
백양사에서 해인사로
가야산문에 들어서다
허공에 일원상을 그리다
글자 없는 경전
7일간의 사투
제3장 - 두타행이 끊어지면 정법안장이 끊어진다
한국불교의 두타수행자
봉암사결사, 성철선사와의 인연
부처님 법대로 돌아가자
탁발
도솔암 은거
천고의 학을 참방하다
종두의 화두일념
제4장 - 머리도 꼬리도 없되 천백억 화신으로 나투다
자비보살 인곡선사
불꽃에서 꽃이 피니
서른세 살의 하안거
내외가 명철한가
구들장을 파버리다
제5장 - 해가 돋아 하늘과 땅이 밝도다
전쟁 중에 들어간 설악산 오세암
오대산의 봄 길 같던 사람
편안한 곳은 비상
오도
제6장 - 꽃을 들 때 내가 보았다면
동화사 효봉선사 회상
사자 새끼가 한 마리 있군
지게 지고 달빛 아래를 걷다
영산회상의 영취봉이여
탁마장양의 노래
내일은 없다
조실을 가르치러 다니네
육자배기 타령
제7장 - 사자전승
정진 제일의 유나
이렇게 가르치다
퇴설당 3년 결사
수행자의 복
주지 임기 넉 달
제8장 - 연꽃을 비추어보아 자비로 중생을 교화하라
첫 회상
그리운 태백산 동암
문수보살의 수기
칠불암 선풍
동백나무 잎 하나
혜암이 사랑한 지리산 상무주암
21일 단식 용맹정진
청매와 혜암
대중처소로 가라
제9장 - 가야산 정진불
지리산 도인
가야산 법주가 되다
오직 화두하는 그놈만이 나다
오후불식 하라
방장의 용맹정진
제10장 - 석가도 예수도 내 아들이다
재가불자 선원을 열다
집을 지으면 공부할 사람이 온다
원당암의 법음
7일 단식 용맹정진
품위 있게 사는 길
대통령에게 한 법문
제11장 - 공부하다 죽어라
어떻게 살 것인가
팔만대장경에는 법이 없다
삶도 죽음도 벗어나라
제12장 - 이치에도 일에도 걸림이 없네
종단의 대쪽
배사자립
제13장 - 단박에 깨쳐라
돈오돈수
이 ‘한 물건’을 깨달으라
화두 참구
이렇게 공부를 점검하라
결장 - 돌사자는 소리 높여 부르짖도다
조계종 종정에 추대되다
여든 살 노승의 평상심
적멸에 들다
글을 마치며
혜암당 성관대종사 연보
참고문헌
행장 - 혜암 스님의 삶과 가르침
서장 - 이뭣고
여기 한 물건이 있다
공부만이 살 길이다
제1장 - 숙세의 선근 인연
길
영원한 행복은 어디에 있는가
한 여인의 편지
《선관책진》
사무친 발심
제2장 - 대중도 가야산도 놀라다
저 사람이 과연 무엇이 되려나
백양사에서 해인사로
가야산문에 들어서다
허공에 일원상을 그리다
글자 없는 경전
7일간의 사투
제3장 - 두타행이 끊어지면 정법안장이 끊어진다
한국불교의 두타수행자
봉암사결사, 성철선사와의 인연
부처님 법대로 돌아가자
탁발
도솔암 은거
천고의 학을 참방하다
종두의 화두일념
제4장 - 머리도 꼬리도 없되 천백억 화신으로 나투다
자비보살 인곡선사
불꽃에서 꽃이 피니
서른세 살의 하안거
내외가 명철한가
구들장을 파버리다
제5장 - 해가 돋아 하늘과 땅이 밝도다
전쟁 중에 들어간 설악산 오세암
오대산의 봄 길 같던 사람
편안한 곳은 비상
오도
제6장 - 꽃을 들 때 내가 보았다면
동화사 효봉선사 회상
사자 새끼가 한 마리 있군
지게 지고 달빛 아래를 걷다
영산회상의 영취봉이여
탁마장양의 노래
내일은 없다
조실을 가르치러 다니네
육자배기 타령
제7장 - 사자전승
정진 제일의 유나
이렇게 가르치다
퇴설당 3년 결사
수행자의 복
주지 임기 넉 달
제8장 - 연꽃을 비추어보아 자비로 중생을 교화하라
첫 회상
그리운 태백산 동암
문수보살의 수기
칠불암 선풍
동백나무 잎 하나
혜암이 사랑한 지리산 상무주암
21일 단식 용맹정진
청매와 혜암
대중처소로 가라
제9장 - 가야산 정진불
지리산 도인
가야산 법주가 되다
오직 화두하는 그놈만이 나다
오후불식 하라
방장의 용맹정진
제10장 - 석가도 예수도 내 아들이다
재가불자 선원을 열다
집을 지으면 공부할 사람이 온다
원당암의 법음
7일 단식 용맹정진
품위 있게 사는 길
대통령에게 한 법문
제11장 - 공부하다 죽어라
어떻게 살 것인가
팔만대장경에는 법이 없다
삶도 죽음도 벗어나라
제12장 - 이치에도 일에도 걸림이 없네
종단의 대쪽
배사자립
제13장 - 단박에 깨쳐라
돈오돈수
이 ‘한 물건’을 깨달으라
화두 참구
이렇게 공부를 점검하라
결장 - 돌사자는 소리 높여 부르짖도다
조계종 종정에 추대되다
여든 살 노승의 평상심
적멸에 들다
글을 마치며
혜암당 성관대종사 연보
참고문헌
책 속으로
혜암이 한결같이 세상 사람들에게 말한 것은 마음을 찾는 공부만이 살 길이라는 것이었다. 강이 물을 떠나 있을 수 없듯, 파도가 바다를 떠나 있을 수 없듯, 모든 존재는 마음을 떠나 존재할 수 없음을 가르쳤다. 그 마음이라는 것이 부처이며 중생이라는 것을 깨우쳐야 자유로워짐을 가르쳤다. 왜 마음을 깨쳐야 자유인이 되는 건지, 어떻게 공부해야 하는지 있는 힘을 다해서 설했다. 그것이 그의 일생이었다.
---p.49
‘어떻게 살 것인가’ 하는 물음은 뚜렷한 답을 찾지 못하고 늘 묵직하게 얹혀 있었다. 해가 가고 날이 갈수록 고뇌가 더 깊어졌다. 책 속으로 몰입했다. 위인전을 읽으면서 이 사람들은 이러한 문제를 어떻게 해결했는가를 찾았다.
---p.63
“두 분께서 저를 늙지 않게 해주실 수 있다면 출가하지 않겠습니다.”
부모는 할 말을 잃은 채 남영의 얼굴만 바라볼 뿐이었다.
“부모님께서 저를 병들지 않게 해주실 수 있다면 출가하지 않겠습니다. 또 저를 죽지 않게 해주실 수 있다면 출가하지 않겠습니다.”
---p.92
백년 동안 게으르고 졸렬하게 정진하는 것은 하루 동안 용맹스럽게 정진하는 것보다 못하다고 했고, 성불에 이르는 길은 모두 정진으로부터 비롯된다고 했다. 혜암은 그렇게 정진하고 싶었다.
---p.110
처음 만난 성철에게 봉암사에 가고 싶다고 했을 때, 성철은 허락하지 않았으나 상관하지 않고, 책을 실은 트럭 뒤 칸에 올라타 봉암사로 간 혜암이었다. 공부를 하는 데 있어서의 결정은 자신이 하는 것이라는 신념이 일찍부터 자리 잡고 있었기 때문이다.
---p.139
결사 참여자들은 현재까지 한국 근현대 불교를 대표하는 고승으로 추앙받고 있다. 불법에 맞지 않는 각종 제도를 과감히 개혁했으며 지금까지 계승되는 전통이 만들어졌다. 정법을 지향하는 종단의 근간을 다진 셈이다.
---p.165
비록 전쟁으로 인해 공부의 길에 혼란이 생겼지만 더 바짝 정진의 고삐를 당겼다. 화리생련火裏生蓮, 불꽃 속에서 연꽃이 피어난다고 하지 않았던가.
---p.199
동안거가 시작되자 총림은 활기를 띄기 시작했다. 전쟁으로 인해 가야총림이 문을 닫은 지 이십여 년만이었다. 방장인 성철은 동안거 중에 백일법문을 통해 사자후를 토해냈고, 유나 혜암은 마치 호랑이와 같은 모습으로 선방대중을 경책했다.
---p.319
혜암은 대중들에게 말하곤 했다.
“많이 먹어 죽지 적게 먹어서는 죽지 않는다. 공부하다 죽는 것은 수지맞는 일이나 밥 많이 먹다 죽어서야 수행자라 할 수 있는가?”
---p.385
혜암은 상무주암에 살면서 청매선사가 살던 토굴터를 바라보며 언젠가 복원하리라 마음먹었다. 옛 선사가 정진하던 곳이 방치되어 있는 것이 마음에 걸렸고, 터가 공부하기에 좋아 후학들이 정진할 수 있도록 복원했으면 하는 생각이 떠나지 않았던 것이다.
---p.405
고졸했던 원당암의 분위기가 큰 불사로 인해 훼손되었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더러 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보면 한국불교가 살 길은 수행으로 돌아가는 것에 있다는 현실의 여론과, 오늘날 인류 평화의 미래에 대한 대안이 불교의 수행에 있다는 것을 감안해 볼 때, 해인총림 안의 원당암 달마선원이 지니는 절대적 힘은 그 무엇으로도 계산할 수 없는 무한한 가치라 할 것이다. 지금 한국불교에서 활발히 운영되고 있는 템플스테이의 효시가 되었으며 각 사찰의 단기 출가수행의 근원이 된 점도 달마선원이 지니는 무가보無價寶이다.
---p.476
“공부하다 죽어라.”
제자들은 혜암이 세상에 남긴 이 금과옥조와도 같은 말을 원당암 미소굴 옆 대형 석조 죽비에 새겨놓았다.
---p.49
‘어떻게 살 것인가’ 하는 물음은 뚜렷한 답을 찾지 못하고 늘 묵직하게 얹혀 있었다. 해가 가고 날이 갈수록 고뇌가 더 깊어졌다. 책 속으로 몰입했다. 위인전을 읽으면서 이 사람들은 이러한 문제를 어떻게 해결했는가를 찾았다.
---p.63
“두 분께서 저를 늙지 않게 해주실 수 있다면 출가하지 않겠습니다.”
부모는 할 말을 잃은 채 남영의 얼굴만 바라볼 뿐이었다.
“부모님께서 저를 병들지 않게 해주실 수 있다면 출가하지 않겠습니다. 또 저를 죽지 않게 해주실 수 있다면 출가하지 않겠습니다.”
---p.92
백년 동안 게으르고 졸렬하게 정진하는 것은 하루 동안 용맹스럽게 정진하는 것보다 못하다고 했고, 성불에 이르는 길은 모두 정진으로부터 비롯된다고 했다. 혜암은 그렇게 정진하고 싶었다.
---p.110
처음 만난 성철에게 봉암사에 가고 싶다고 했을 때, 성철은 허락하지 않았으나 상관하지 않고, 책을 실은 트럭 뒤 칸에 올라타 봉암사로 간 혜암이었다. 공부를 하는 데 있어서의 결정은 자신이 하는 것이라는 신념이 일찍부터 자리 잡고 있었기 때문이다.
---p.139
결사 참여자들은 현재까지 한국 근현대 불교를 대표하는 고승으로 추앙받고 있다. 불법에 맞지 않는 각종 제도를 과감히 개혁했으며 지금까지 계승되는 전통이 만들어졌다. 정법을 지향하는 종단의 근간을 다진 셈이다.
---p.165
비록 전쟁으로 인해 공부의 길에 혼란이 생겼지만 더 바짝 정진의 고삐를 당겼다. 화리생련火裏生蓮, 불꽃 속에서 연꽃이 피어난다고 하지 않았던가.
---p.199
동안거가 시작되자 총림은 활기를 띄기 시작했다. 전쟁으로 인해 가야총림이 문을 닫은 지 이십여 년만이었다. 방장인 성철은 동안거 중에 백일법문을 통해 사자후를 토해냈고, 유나 혜암은 마치 호랑이와 같은 모습으로 선방대중을 경책했다.
---p.319
혜암은 대중들에게 말하곤 했다.
“많이 먹어 죽지 적게 먹어서는 죽지 않는다. 공부하다 죽는 것은 수지맞는 일이나 밥 많이 먹다 죽어서야 수행자라 할 수 있는가?”
---p.385
혜암은 상무주암에 살면서 청매선사가 살던 토굴터를 바라보며 언젠가 복원하리라 마음먹었다. 옛 선사가 정진하던 곳이 방치되어 있는 것이 마음에 걸렸고, 터가 공부하기에 좋아 후학들이 정진할 수 있도록 복원했으면 하는 생각이 떠나지 않았던 것이다.
---p.405
고졸했던 원당암의 분위기가 큰 불사로 인해 훼손되었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더러 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보면 한국불교가 살 길은 수행으로 돌아가는 것에 있다는 현실의 여론과, 오늘날 인류 평화의 미래에 대한 대안이 불교의 수행에 있다는 것을 감안해 볼 때, 해인총림 안의 원당암 달마선원이 지니는 절대적 힘은 그 무엇으로도 계산할 수 없는 무한한 가치라 할 것이다. 지금 한국불교에서 활발히 운영되고 있는 템플스테이의 효시가 되었으며 각 사찰의 단기 출가수행의 근원이 된 점도 달마선원이 지니는 무가보無價寶이다.
---p.476
“공부하다 죽어라.”
제자들은 혜암이 세상에 남긴 이 금과옥조와도 같은 말을 원당암 미소굴 옆 대형 석조 죽비에 새겨놓았다.
---p.629
출판사 리뷰
부처란 무엇인가
“내가 여기 원당암에서 이십 년 동안 한 말이 이것입니다. 쉼 없이 일어나는 생각을 쉬세요, 한 생각을 내지 않는 사람이 바로 부처입니다. 그리고 남에게 져주세요, 그 사람이 바로 부처입니다.”
혜암은 수행자가 자신의 분수를 알고 자신의 능력을 정확히 파악해서 맡은 바 일을 성실히 하면 바로 그것이 자기를 지키는 일이요 도인의 삶이라고 했다. 이러한 당부가 그저 수행자에게만 해당하는 말일까? 자신을 제대로 알고, 자신을 지키는 일이라면 지금의 현실을 살아가는 사람 모두가 따라야 할 삶의 수칙이 아닐까. 매일 아침 눈 뜨면 어제의 나는 죽은 것, 새로운 삶이 시작된다. 오늘 밤 눈 감을 때까지 목숨을 걸고 자신의 시간을 소중히 보내야 한다. ‘목숨을 내놓고 정진하라’ ‘공부하다 죽어라’ 등 혜암의 서슬 퍼런 일갈은 문득 돌이켜보면 우리가 일상에서 매일 할 수 있고, 또 해야만 하는 일인 것이다.
《혜암 평전》에서는 혜암 스님이 전하는 불법, 즉 진리의 가르침이 시간과 공간을 넘어 생생하게 이어질 수 있도록 했다.
봄 길 같던 혜암
“혜암 큰스님께서 방장이 되시고 얼마 안 되었을 때 스님을 처음 뵈었다. 퇴설당에서 삼배를 받으시던 스님의 모습이 떠오른다. 칠십대 중반이셨지만 마치 순수한 소년 한 사람을 보는 듯했다. 작고 마른 몸에 안경 너머의 눈빛이 맑고 따스했다. (…) 평전을 준비하는 몇 해 동안 스님의 육성 법문을 수없이 들었다. 그 어떤 자료보다 큰스님이 어떤 분이었다는 것을 아는 데 생생한 도움이 되었다. 스님의 삶을 글로 쓰면서 비로소 깨달은 후의 삶이 어떻게 전개되는지를 알았고 상구보리 하화중생의 삶이 어떤 것인지 알게 되었다. 미혹 속에 빠져있는 중생들을 깨우치려 했던 스님의 노력을 마주하면서 정진하는 삶만이 생명의 존엄을 드러내는 일임을 깨닫게 되었다. 발심하지 않을 수 없었다.” _지은이 박원자 〈글을 마치며〉 중에서
《혜암 평전》의 또 다른 재미는 혜암 스님의 일상을 기억하는 이들의 말을 통해 대쪽 같이 한결 같은 수행자이면서도 한없이 따뜻하게 만물을 대하는 혜암 스님의 맑은 일상을 눈앞에 떠올릴 수 있다는 점이다. 주위를 깨끗이 하고, 시간이 나면 호미를 들고 밭을 일구고, 일체중생을 꽃이라 하며 항상 미소 짓고 계셨다는 아름다운 모습을 만날 수 있는 것이다. 《혜암 평전》을 통해 사진으로 남아 있는 스님의 생전 모습과 당시의 사찰 근황을 볼 수 있으며, 변화가 있는 곳은 현재의 사진을 실어 이해를 도왔다. 《혜암 평전》이 근현대 한국불교 역사에 귀중한 자료가 되는 부분이다. 아무리 좋은 가르침도 후세에 전해지지 않으면 소용이 없다. 아무리 좋은 가르침도 실천하지 않으면 소용이 없다. 《혜암 평전》을 통해 누구나 자신을 지키는 삶을 살아가게 되기를 서원한다.
혜암당 성관대종사 행장(慧菴堂 性觀大宗師 行狀)
1920년 음력 3월 22일 전남 장성군 장성읍 덕진리 720번지에서 탄생하였다. 부친은 김원태金元泰이고 모친은 정계선丁桂仙이며 이름은 남영南榮으로 칠남매 중 차남이다. 어려서부터 매우 총명하였으며, 타고난 성품은 강직하면서도 자비로웠다.
1933년(14세) 장성읍 성산 보통학교를 졸업하고 동리의 향숙鄕塾에서 사서삼경四書三經을 수학한 후 제자백가諸子百家를 열람하였으며, 위인전을 즐겨 읽었다.
1936년(17세) 일본으로 건너가 동서양의 종교와 철학을 공부하던 중 어록을 보다가, 다음 구절에 이르러 홀연히 발심하여 출가를 결심하고 귀국하였다.
나에게 한 권의 경전이 있으니 我有一卷經
종이와 먹으로 이루어지지 아니하였네 不因紙墨成
펼치면 한 글자도 없지만 展開無一字
항상 큰 광명을 놓도다 常放大光明
1946년(27세) 초봄, 합천 해인사로 입산 출가하여 인곡麟谷 스님을 은사로, 효봉曉峰 스님을 계사로 수계득도하고 ‘성관性觀’이라는 법명을 받았다. 출가한 날로부터 평생토록 일일일식一日一食과 장좌불와長坐不臥 두타고행頭陀苦行으로 용맹정진勇猛精進하였다. 가야총림 선원에서 효봉 스님을 모시고 첫 안거를 하였다.
1947년(28세) 문경 봉암사에서 성철·자운·우봉·보문·도우·법전·일도 스님 등 20여 납자와 더불어 ‘부처님 법대로 살자’는 봉암사결사에 참여하였다.
1948년(29세) 해인사에서 상월霜月 스님을 계사로 비구계를 수지하고 오대산 상원사 한암 스님 회상에서 안거하였다.
1949년(30세) 범어사에서 동산東山 스님을 계사로 보살계를 수지하고 금정산 범어사 동산 스님 회상과 가야총림 선원에서 안거하였다.
1951년(32세) 초봄에 해인사 장경각에서 은사 인곡 스님과 문답하였다.
“어떤 것이 달마대사가 한쪽 신을 둘러메고 간 소식인고?” 如何是達磨隻履之消息
“한밤중에 해가 서쪽 봉우리에서 떠오릅니다.” 金烏夜半西峰出
“어떤 것이 유마힐이 침묵한 소식인고?” 如何是維摩杜口之消息
“청산은 본래 청산이요 백운은 본래 백운입니다.” 靑山自靑山 白雲自白雲
인곡 스님께서 “너도 또한 그러하고 나도 또한 그러하다” 하시며, 汝亦如是 吾亦如是
다만 이 한 가지 일을 只此一段事
고금에 전해주니 古今傳與授
머리도 꼬리도 없지만 無頭亦無尾
천백억 화신으로 나투느니라 分身千百億
하시고 ‘혜암慧庵’이라는 법호를 내렸다. 이후 범어사 금어선원, 통영 안정사 천제굴闡提窟, 설악산 오세암五歲庵, 오대산 서대西臺와 동대東臺, 태백산 동암東庵 등지에서 목숨을 돌아보지 않고 더욱 고행정진 하였다.
1952년(33세) 범어사 동산 스님 회상에서 하안거 대중 88명 가운데 유일하게 안거증을 받았으며, 천제굴에서는 엄동설한에도 불구하고 방바닥 한가운데 구들장을 파내고 성철 스님과 함께 용맹정진하였다.
1953년(34세) 봄, 육이오전쟁 말기 인민군이 점령하고 있었던 설악산 오세암에 몇 번이나 죽을 고비를 넘기며 들어가 고행정진하였다.
1955년(36세) 오대산 동대 관음암에서는 적멸보궁까지 6개월 동안 밤낮없이 걸어 다니며 행선行禪 정진을 하였다.
1957년(38세) 겨울, 오대산 사고암史庫庵 토굴에서 방에 불을 때지 않고 검정콩 10알과 한 줌의 잣잎으로 일종식一種食과 장좌불와 용맹정진하며 수마睡魔를 항복받았다. 5개월 동안 초인적인 고행정진 끝에 주야불분晝夜不分하고 의단疑團이 독로獨露하더니 홀연히 심안心眼이 활개豁開하여 오도송悟道頌을 읊었다.
미혹할 땐 나고 죽더니 迷則生滅心
깨달으니 청정법신이네 悟來眞如性
미혹과 깨달음 모두 쳐부수니 迷悟俱打了
해가 돋아 하늘과 땅이 밝도다 日出乾坤明
이로부터 동화사 금당선원, 오대산 서대와 북대, 상원사 선원, 지리산 상무주암, 통도사 극락암 선원, 묘관음사 선원, 천축사 선원, 용화사 법보선원 등 제방 선원에 나아가 더욱 탁마장양琢磨長養하였다.
1967년(48세) 해인총림이 개설됨에 첫 유나 소임을 보았다.
1970년(51세) 대중의 요청에 따라 잠시 해인사 주지를 역임하였다.
1971년(52세) 통도사 극락암 선원에서 동안거 중에 조실 경봉 스님이 ‘봉통홍중공峰通紅中空’의 운자韻字에 맞추어 심경心境을 이르라고 하시니, 다음과 같은 게송을 지었다.
영산회상의 영취봉이여! 靈山會上靈鷲峰
만 리에 구름 한 점 없으니 만 리에 통했도다 萬里無雲萬里通
세존께서 들어 보이신 한 송이 꽃은 世尊拈花一枝花
천겁이 다하도록 길이 붉으리 歷千劫而長今紅
꽃을 들 때 내가 보았다면 拈花當時吾見參
한 방망이로 때려 죽여 불 속에 던졌으리라 一棒打殺投火中
본래 한 물건도 없어 언어마저 끊겼건만 本來無物亡言語
천진한 본래 성품 공하되 공하지 아니하도다 天眞自性空不空
1972년(53세) 봄, 수행처를 남해 용문사로 옮겨 정진함에 제방의 납자와 재가불자들이 모여들어 첫 회상을 이루었다.
1973년(54세) 해인사 극락전에서 철조망을 치고 결사 정진을 했다.
1976년(57세) 지리산 칠불암七佛庵에서 더욱 용맹정진하니 사부대중이 운집하여 다시 회상이 이루어졌다. 그해 봄 운상선원雲上禪院을중수重修할 때 먼지 속에서 작업 도중 홀연히 문수보살을 친견하고 다음과 같은 게송으로 수기授記를 받았다.
때묻은 뾰족한 마음을 금강검으로 베어내고 塵凸心金剛?
연꽃을 비춰보아 자비로써 중생을 제도하라 照見蓮攝顧悲
1979년(60세) 해인사 조사전에서 3년 결사를 시작으로 1990년(71세)까지 총림 선원 대중과 함께 정진하였으며, 유나·수좌·부방장으로서 해인총림의 발전과 수행 가풍 진작을 위하여 진력하였다. 특히, 출가 이후 가야산 해인사 선원, 희양산 봉암사 선원, 오대산 상원사 선원, 금정산 범어사 선원, 영축산 극락암 선원, 지리산 상무주암과 칠불암 선원, 조계산 송광사 선원 등 제방 선원에서 당대 선지식인 한암·효봉·동산·인곡·경봉·전강선사 등을 모시고 평생토록 일일일식과 장좌불와를 하며 용맹정진하였으니, 그 위법망구의 두타고행은 가히 본분납자의 귀감이요, 계율이 청정함은 인천의 사표라 아니할 수 없다.
1981년(62세) 해인사 원당암에 재가불자 선원(달마선원)을 개설하여 매 안거마다 1주일 철야 용맹정진을 지도했다. 매월 2회 토요 철야참선 법회를 개최하여 약 500여 회에 걸쳐 참선 법문을 설하는 등 오직 참선 수행으로써 20년 동안 수많은 재가불자를 교화하였다.
1987년(68세) 조계종 원로회의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1993년(74세) 11월, 당시 조계종 종정이며 해인총림 방장이었던 성철대종사께서 열반에 드심에 뒤를 이어 해인총림 제6대 방장에 추대되어 오백여 총림 대중을 지도하였다. 특히 선원 대중에게는 오후불식을 여법히 지키도록 하고 ‘공부하다 죽어라’, ‘밥을 적게 먹어라’, ‘안으로 부지런히 정진하고 밖으로 남을 도와라’ 하며 납자로서 철저히 수행정진할 것을 강조하였다. 또한 매 결제 안거 중에 총림 대중이 함께 참여하는 1주일 철야 용맹정진 기간에는 노구임에도 불구하고 한 시간도 빠짐없이 대중과 함께 정진하며 직접 후학을 지도하고 경책하였다.
1994년(75세) 원로회의 의장으로 추대되었다. 조계종 개혁불사와 1998년 종단 분규사태 시에는 원로회의 의장으로서 종도들의 정신적 지주가 되어주었다.
1999년(80세) 4월, 대한불교조계종 제10대 종정에 추대되어 종단의 안정과 화합을 위하여 심혈을 기울였다.
2001년(82세) 12월 31일 오전, 해인사 원당암 미소굴에서 문도들을 모아놓고 ‘인과因果가 역연歷然하니 참선 공부 잘해라’고 당부한 후 임종게를 수서手書하였다. 편안히 열반에 드니 세수는 82세요 법랍은 56년이었다.
나의 몸은 본래 없는 것이요 我身本非有
마음 또한 머물 바 없도다 心亦無所住
무쇠 소는 달을 물고 달아나고 鐵牛含月走
돌사자는 소리 높여 부르짖도다 石獅大哮吼
2002년 1월 6일 해인사에서 5만여 사부대중이 운집하여 영결식을 종단장宗團葬으로 엄숙히 거행하고 다비를 봉행하니, 오색영롱한 사리 86과가 출현하였다. 100일 동안 사리 친견법회를 봉행하였더니 날마다 인산인해를 이루었다.
2007년 12월 문도들은 친필유고를 모아서 《혜암대종사 법어집Ⅰ,Ⅱ》를 발간하고 해인사 일주문 입구에 위치한 비림碑林에 사리탑과 행적비를 세웠다.
“내가 여기 원당암에서 이십 년 동안 한 말이 이것입니다. 쉼 없이 일어나는 생각을 쉬세요, 한 생각을 내지 않는 사람이 바로 부처입니다. 그리고 남에게 져주세요, 그 사람이 바로 부처입니다.”
혜암은 수행자가 자신의 분수를 알고 자신의 능력을 정확히 파악해서 맡은 바 일을 성실히 하면 바로 그것이 자기를 지키는 일이요 도인의 삶이라고 했다. 이러한 당부가 그저 수행자에게만 해당하는 말일까? 자신을 제대로 알고, 자신을 지키는 일이라면 지금의 현실을 살아가는 사람 모두가 따라야 할 삶의 수칙이 아닐까. 매일 아침 눈 뜨면 어제의 나는 죽은 것, 새로운 삶이 시작된다. 오늘 밤 눈 감을 때까지 목숨을 걸고 자신의 시간을 소중히 보내야 한다. ‘목숨을 내놓고 정진하라’ ‘공부하다 죽어라’ 등 혜암의 서슬 퍼런 일갈은 문득 돌이켜보면 우리가 일상에서 매일 할 수 있고, 또 해야만 하는 일인 것이다.
《혜암 평전》에서는 혜암 스님이 전하는 불법, 즉 진리의 가르침이 시간과 공간을 넘어 생생하게 이어질 수 있도록 했다.
봄 길 같던 혜암
“혜암 큰스님께서 방장이 되시고 얼마 안 되었을 때 스님을 처음 뵈었다. 퇴설당에서 삼배를 받으시던 스님의 모습이 떠오른다. 칠십대 중반이셨지만 마치 순수한 소년 한 사람을 보는 듯했다. 작고 마른 몸에 안경 너머의 눈빛이 맑고 따스했다. (…) 평전을 준비하는 몇 해 동안 스님의 육성 법문을 수없이 들었다. 그 어떤 자료보다 큰스님이 어떤 분이었다는 것을 아는 데 생생한 도움이 되었다. 스님의 삶을 글로 쓰면서 비로소 깨달은 후의 삶이 어떻게 전개되는지를 알았고 상구보리 하화중생의 삶이 어떤 것인지 알게 되었다. 미혹 속에 빠져있는 중생들을 깨우치려 했던 스님의 노력을 마주하면서 정진하는 삶만이 생명의 존엄을 드러내는 일임을 깨닫게 되었다. 발심하지 않을 수 없었다.” _지은이 박원자 〈글을 마치며〉 중에서
《혜암 평전》의 또 다른 재미는 혜암 스님의 일상을 기억하는 이들의 말을 통해 대쪽 같이 한결 같은 수행자이면서도 한없이 따뜻하게 만물을 대하는 혜암 스님의 맑은 일상을 눈앞에 떠올릴 수 있다는 점이다. 주위를 깨끗이 하고, 시간이 나면 호미를 들고 밭을 일구고, 일체중생을 꽃이라 하며 항상 미소 짓고 계셨다는 아름다운 모습을 만날 수 있는 것이다. 《혜암 평전》을 통해 사진으로 남아 있는 스님의 생전 모습과 당시의 사찰 근황을 볼 수 있으며, 변화가 있는 곳은 현재의 사진을 실어 이해를 도왔다. 《혜암 평전》이 근현대 한국불교 역사에 귀중한 자료가 되는 부분이다. 아무리 좋은 가르침도 후세에 전해지지 않으면 소용이 없다. 아무리 좋은 가르침도 실천하지 않으면 소용이 없다. 《혜암 평전》을 통해 누구나 자신을 지키는 삶을 살아가게 되기를 서원한다.
혜암당 성관대종사 행장(慧菴堂 性觀大宗師 行狀)
1920년 음력 3월 22일 전남 장성군 장성읍 덕진리 720번지에서 탄생하였다. 부친은 김원태金元泰이고 모친은 정계선丁桂仙이며 이름은 남영南榮으로 칠남매 중 차남이다. 어려서부터 매우 총명하였으며, 타고난 성품은 강직하면서도 자비로웠다.
1933년(14세) 장성읍 성산 보통학교를 졸업하고 동리의 향숙鄕塾에서 사서삼경四書三經을 수학한 후 제자백가諸子百家를 열람하였으며, 위인전을 즐겨 읽었다.
1936년(17세) 일본으로 건너가 동서양의 종교와 철학을 공부하던 중 어록을 보다가, 다음 구절에 이르러 홀연히 발심하여 출가를 결심하고 귀국하였다.
나에게 한 권의 경전이 있으니 我有一卷經
종이와 먹으로 이루어지지 아니하였네 不因紙墨成
펼치면 한 글자도 없지만 展開無一字
항상 큰 광명을 놓도다 常放大光明
1946년(27세) 초봄, 합천 해인사로 입산 출가하여 인곡麟谷 스님을 은사로, 효봉曉峰 스님을 계사로 수계득도하고 ‘성관性觀’이라는 법명을 받았다. 출가한 날로부터 평생토록 일일일식一日一食과 장좌불와長坐不臥 두타고행頭陀苦行으로 용맹정진勇猛精進하였다. 가야총림 선원에서 효봉 스님을 모시고 첫 안거를 하였다.
1947년(28세) 문경 봉암사에서 성철·자운·우봉·보문·도우·법전·일도 스님 등 20여 납자와 더불어 ‘부처님 법대로 살자’는 봉암사결사에 참여하였다.
1948년(29세) 해인사에서 상월霜月 스님을 계사로 비구계를 수지하고 오대산 상원사 한암 스님 회상에서 안거하였다.
1949년(30세) 범어사에서 동산東山 스님을 계사로 보살계를 수지하고 금정산 범어사 동산 스님 회상과 가야총림 선원에서 안거하였다.
1951년(32세) 초봄에 해인사 장경각에서 은사 인곡 스님과 문답하였다.
“어떤 것이 달마대사가 한쪽 신을 둘러메고 간 소식인고?” 如何是達磨隻履之消息
“한밤중에 해가 서쪽 봉우리에서 떠오릅니다.” 金烏夜半西峰出
“어떤 것이 유마힐이 침묵한 소식인고?” 如何是維摩杜口之消息
“청산은 본래 청산이요 백운은 본래 백운입니다.” 靑山自靑山 白雲自白雲
인곡 스님께서 “너도 또한 그러하고 나도 또한 그러하다” 하시며, 汝亦如是 吾亦如是
다만 이 한 가지 일을 只此一段事
고금에 전해주니 古今傳與授
머리도 꼬리도 없지만 無頭亦無尾
천백억 화신으로 나투느니라 分身千百億
하시고 ‘혜암慧庵’이라는 법호를 내렸다. 이후 범어사 금어선원, 통영 안정사 천제굴闡提窟, 설악산 오세암五歲庵, 오대산 서대西臺와 동대東臺, 태백산 동암東庵 등지에서 목숨을 돌아보지 않고 더욱 고행정진 하였다.
1952년(33세) 범어사 동산 스님 회상에서 하안거 대중 88명 가운데 유일하게 안거증을 받았으며, 천제굴에서는 엄동설한에도 불구하고 방바닥 한가운데 구들장을 파내고 성철 스님과 함께 용맹정진하였다.
1953년(34세) 봄, 육이오전쟁 말기 인민군이 점령하고 있었던 설악산 오세암에 몇 번이나 죽을 고비를 넘기며 들어가 고행정진하였다.
1955년(36세) 오대산 동대 관음암에서는 적멸보궁까지 6개월 동안 밤낮없이 걸어 다니며 행선行禪 정진을 하였다.
1957년(38세) 겨울, 오대산 사고암史庫庵 토굴에서 방에 불을 때지 않고 검정콩 10알과 한 줌의 잣잎으로 일종식一種食과 장좌불와 용맹정진하며 수마睡魔를 항복받았다. 5개월 동안 초인적인 고행정진 끝에 주야불분晝夜不分하고 의단疑團이 독로獨露하더니 홀연히 심안心眼이 활개豁開하여 오도송悟道頌을 읊었다.
미혹할 땐 나고 죽더니 迷則生滅心
깨달으니 청정법신이네 悟來眞如性
미혹과 깨달음 모두 쳐부수니 迷悟俱打了
해가 돋아 하늘과 땅이 밝도다 日出乾坤明
이로부터 동화사 금당선원, 오대산 서대와 북대, 상원사 선원, 지리산 상무주암, 통도사 극락암 선원, 묘관음사 선원, 천축사 선원, 용화사 법보선원 등 제방 선원에 나아가 더욱 탁마장양琢磨長養하였다.
1967년(48세) 해인총림이 개설됨에 첫 유나 소임을 보았다.
1970년(51세) 대중의 요청에 따라 잠시 해인사 주지를 역임하였다.
1971년(52세) 통도사 극락암 선원에서 동안거 중에 조실 경봉 스님이 ‘봉통홍중공峰通紅中空’의 운자韻字에 맞추어 심경心境을 이르라고 하시니, 다음과 같은 게송을 지었다.
영산회상의 영취봉이여! 靈山會上靈鷲峰
만 리에 구름 한 점 없으니 만 리에 통했도다 萬里無雲萬里通
세존께서 들어 보이신 한 송이 꽃은 世尊拈花一枝花
천겁이 다하도록 길이 붉으리 歷千劫而長今紅
꽃을 들 때 내가 보았다면 拈花當時吾見參
한 방망이로 때려 죽여 불 속에 던졌으리라 一棒打殺投火中
본래 한 물건도 없어 언어마저 끊겼건만 本來無物亡言語
천진한 본래 성품 공하되 공하지 아니하도다 天眞自性空不空
1972년(53세) 봄, 수행처를 남해 용문사로 옮겨 정진함에 제방의 납자와 재가불자들이 모여들어 첫 회상을 이루었다.
1973년(54세) 해인사 극락전에서 철조망을 치고 결사 정진을 했다.
1976년(57세) 지리산 칠불암七佛庵에서 더욱 용맹정진하니 사부대중이 운집하여 다시 회상이 이루어졌다. 그해 봄 운상선원雲上禪院을중수重修할 때 먼지 속에서 작업 도중 홀연히 문수보살을 친견하고 다음과 같은 게송으로 수기授記를 받았다.
때묻은 뾰족한 마음을 금강검으로 베어내고 塵凸心金剛?
연꽃을 비춰보아 자비로써 중생을 제도하라 照見蓮攝顧悲
1979년(60세) 해인사 조사전에서 3년 결사를 시작으로 1990년(71세)까지 총림 선원 대중과 함께 정진하였으며, 유나·수좌·부방장으로서 해인총림의 발전과 수행 가풍 진작을 위하여 진력하였다. 특히, 출가 이후 가야산 해인사 선원, 희양산 봉암사 선원, 오대산 상원사 선원, 금정산 범어사 선원, 영축산 극락암 선원, 지리산 상무주암과 칠불암 선원, 조계산 송광사 선원 등 제방 선원에서 당대 선지식인 한암·효봉·동산·인곡·경봉·전강선사 등을 모시고 평생토록 일일일식과 장좌불와를 하며 용맹정진하였으니, 그 위법망구의 두타고행은 가히 본분납자의 귀감이요, 계율이 청정함은 인천의 사표라 아니할 수 없다.
1981년(62세) 해인사 원당암에 재가불자 선원(달마선원)을 개설하여 매 안거마다 1주일 철야 용맹정진을 지도했다. 매월 2회 토요 철야참선 법회를 개최하여 약 500여 회에 걸쳐 참선 법문을 설하는 등 오직 참선 수행으로써 20년 동안 수많은 재가불자를 교화하였다.
1987년(68세) 조계종 원로회의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1993년(74세) 11월, 당시 조계종 종정이며 해인총림 방장이었던 성철대종사께서 열반에 드심에 뒤를 이어 해인총림 제6대 방장에 추대되어 오백여 총림 대중을 지도하였다. 특히 선원 대중에게는 오후불식을 여법히 지키도록 하고 ‘공부하다 죽어라’, ‘밥을 적게 먹어라’, ‘안으로 부지런히 정진하고 밖으로 남을 도와라’ 하며 납자로서 철저히 수행정진할 것을 강조하였다. 또한 매 결제 안거 중에 총림 대중이 함께 참여하는 1주일 철야 용맹정진 기간에는 노구임에도 불구하고 한 시간도 빠짐없이 대중과 함께 정진하며 직접 후학을 지도하고 경책하였다.
1994년(75세) 원로회의 의장으로 추대되었다. 조계종 개혁불사와 1998년 종단 분규사태 시에는 원로회의 의장으로서 종도들의 정신적 지주가 되어주었다.
1999년(80세) 4월, 대한불교조계종 제10대 종정에 추대되어 종단의 안정과 화합을 위하여 심혈을 기울였다.
2001년(82세) 12월 31일 오전, 해인사 원당암 미소굴에서 문도들을 모아놓고 ‘인과因果가 역연歷然하니 참선 공부 잘해라’고 당부한 후 임종게를 수서手書하였다. 편안히 열반에 드니 세수는 82세요 법랍은 56년이었다.
나의 몸은 본래 없는 것이요 我身本非有
마음 또한 머물 바 없도다 心亦無所住
무쇠 소는 달을 물고 달아나고 鐵牛含月走
돌사자는 소리 높여 부르짖도다 石獅大哮吼
2002년 1월 6일 해인사에서 5만여 사부대중이 운집하여 영결식을 종단장宗團葬으로 엄숙히 거행하고 다비를 봉행하니, 오색영롱한 사리 86과가 출현하였다. 100일 동안 사리 친견법회를 봉행하였더니 날마다 인산인해를 이루었다.
2007년 12월 문도들은 친필유고를 모아서 《혜암대종사 법어집Ⅰ,Ⅱ》를 발간하고 해인사 일주문 입구에 위치한 비림碑林에 사리탑과 행적비를 세웠다.
회원리뷰 (0건)
매주 10건의 우수리뷰를 선정하여 YES포인트 3만원을 드립니다.3,000원 이상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일반회원 300원, 마니아회원 600원의 YES포인트를 드립니다.
(CD/LP, DVD/Blu-ray, 패션 및 판매금지 상품, 예스24 앱스토어 상품 제외) 리뷰/한줄평 정책 자세히 보기리뷰쓰기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0건)
1,000원 이상 구매 후 한줄평 작성 시 일반회원 50원, 마니아회원 100원의 YES포인트를 드립니다.(CD/LP, DVD/Blu-ray, 패션 및 판매금지 상품, 예스24 앱스토어 상품 제외) 리뷰/한줄평 정책 자세히 보기
'44.인물사 연구 (독서>책소개) > 2.한국인물평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태산 평전 - 원불교 교조 박중빈 일대기 (0) | 2022.12.07 |
---|---|
소태산 평전 - 솥에서 난 성자 (원불교의 교조敎祖 소태산) (0) | 2022.12.07 |
김재규 장군의 평전 - 혁명가인가, 반역자인가? (0) | 2022.12.06 |
좌옹 윤치호 평전 (0) | 2022.12.04 |
이완용 평전 (0) | 2022.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