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소개
본서 “종교개혁과 칭의”는 16세기 종교개혁에서 17세기 개혁파 정통주의에 이르기까지 여러 저명한 신학자들의 칭의론을 집중적으로 고찰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된 것은 포스트코로나시대를 맞이한 한국교회의 영적 건강성을 위해서 필요 적절하다고 볼 수 있다.
“칭의론”은 종교개혁 이후 개신교가 로마 가톨릭에 맞서서 특별히 강조했던 교리 가운데 하나이다. 세상을 뒤흔든 종교개혁자 마르틴 루터는 시편 130편 4절을 주해하면서 이 교리가 확립되면 교회도 확립되고, 이 교리가 무너지면 교회도 무너진다고 주장했다(WA 40/3, 352, 3). 역시 종교개혁자 존 칼빈은 칭의가 모든 참된 종교가 지켜야 할 교리라고 보았다. 이와 같이 종교개혁은 칭의를 떠나서는 사실상 성립될 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렇게 중요한 “칭의”를 그동안 한국교회가 얼마나 소중한 교리로 여겨왔는가에 대해서 반성할 필요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성경에 등장하는 다른 교리들이 모두 소중하고 중요하지만, 특히 “칭의 교리”는 개신교의 발흥과 관련하여 반드시 기억하고 되새겨야 할 보물처럼 빛나는 교리로서, 여러 종교개혁자들의 저술들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발간한 책이다.
“칭의론”은 종교개혁 이후 개신교가 로마 가톨릭에 맞서서 특별히 강조했던 교리 가운데 하나이다. 세상을 뒤흔든 종교개혁자 마르틴 루터는 시편 130편 4절을 주해하면서 이 교리가 확립되면 교회도 확립되고, 이 교리가 무너지면 교회도 무너진다고 주장했다(WA 40/3, 352, 3). 역시 종교개혁자 존 칼빈은 칭의가 모든 참된 종교가 지켜야 할 교리라고 보았다. 이와 같이 종교개혁은 칭의를 떠나서는 사실상 성립될 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렇게 중요한 “칭의”를 그동안 한국교회가 얼마나 소중한 교리로 여겨왔는가에 대해서 반성할 필요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성경에 등장하는 다른 교리들이 모두 소중하고 중요하지만, 특히 “칭의 교리”는 개신교의 발흥과 관련하여 반드시 기억하고 되새겨야 할 보물처럼 빛나는 교리로서, 여러 종교개혁자들의 저술들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발간한 책이다.
목차
개혁주의 신학과 신앙 총서 16권을 펴내며 4
1. 루터의 칭의론 / 김용주 ···································· 9
2. 울리히 츠빙글리의 칭의론 / 유정모 ···················· 35
3. 부써의 칭의론 / 황대우 ·································· 65
4. 멜랑흐톤의 칭의론 / 류성민 ····························· 91
5. 버미글리의 삼중적 칭의론 / 김진흥 ··················· 129
6. 하인리히 불링거의 하나님의 은혜와 신자의 칭의 / 박상봉 ······· 169
7. 존 낙스의 칭의론 / 박재은 ································ 197
8. 베자의 칭의에 대한 이해 / 양신혜 ······················· 235
9. 자카리아스 우르시누스의 칭의론 / 이남규 ·············· 269
10. 푸티우스의 칭의론 / 권경철 ····························· 305
11. 존 오웬의 칭의론 / 우병훈 ································ 327
12. 프란시스 튜레틴의 칭의론 / 이신열 ····················· 379
1. 루터의 칭의론 / 김용주 ···································· 9
2. 울리히 츠빙글리의 칭의론 / 유정모 ···················· 35
3. 부써의 칭의론 / 황대우 ·································· 65
4. 멜랑흐톤의 칭의론 / 류성민 ····························· 91
5. 버미글리의 삼중적 칭의론 / 김진흥 ··················· 129
6. 하인리히 불링거의 하나님의 은혜와 신자의 칭의 / 박상봉 ······· 169
7. 존 낙스의 칭의론 / 박재은 ································ 197
8. 베자의 칭의에 대한 이해 / 양신혜 ······················· 235
9. 자카리아스 우르시누스의 칭의론 / 이남규 ·············· 269
10. 푸티우스의 칭의론 / 권경철 ····························· 305
11. 존 오웬의 칭의론 / 우병훈 ································ 327
12. 프란시스 튜레틴의 칭의론 / 이신열 ····················· 379
'47.기독교역사 (연구>책소개) > 3.종교개혁의시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교개혁과 그리스도 (2020) (1) | 2023.11.25 |
---|---|
종교개혁과 인간 (2021) (1) | 2023.11.25 |
종교개혁 시대의 영성 (2021) (0) | 2023.11.05 |
에라스뮈스 광기에 맞선 인문주의자 (2013) (0) | 2023.09.07 |
우신예찬 (2022) (0) | 2023.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