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화성
사적 제3호로 지정관리되고 있으며 소장문화재로 팔달문 (보물402호) 화서분 (보물403호) 장안문 공심돈 등이 있다. 수원화성은 1997년 12월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수원화성은 정조의 효심이 축성의 근본이 되었을 뿐만아니라 당쟁에 의한 당파정치근절과 강력한 왕도정치의 실현을 위한 원대한 정치적 포부가 담긴 정치구상의 중심지로 지어진 것이며 수도 나족의 국방요새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었다.
수원화성은 규장각 문신 정약용이 동서양의 기술서를 참고하여 만든 "성화주략" (1973년)을 지침으로하여 체제공의 총괄 아래 조심태의 지휘로 1794년 1월에 착공에 들어가 1796년 9월에 완공 하였다. 축성시에는 거중기, 녹로등신기재를 특수하게 고솟 시설물로 화성행궁, 중포사, 내포사, 사직단 등 많은시설물을 건립하였으나 전란으로 소멸되고 현재 화성행궁의 일부인 낙남헌만 남아 있다.
수원화성은 축조 이후 일제강점기를 니나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성곽의 일부가 파손, 손실되었으나 1975년 ~1979년까지 축성직후 발간된 [화성성역의궤]에 의거하여 대부분 축성 당시모습대로 보수, 복권하여 현재에 이르르고 있다. 수원화성은 축성시 성곽이 거의 원형대로 보존되어 있을 뿐 아니라, 북수문 (화홍문)을 통해 흐르던 수원천이 현재에도 그대로 흐르고 있고 팔달문과 장안문, 화성행궁과 창룡문을 잇는 가로망이 현재에도 도시 내부 가로망 구성의 주요 골격을 유지하고 있는 등 2000년전 성의 골격이 그대로 현존하고 있다. 축성의 동기는 군사적 목적보다는 정치, 경제적 측면과 부모에 대한 효심으로 성곽자체가 '효" 사상이라는 동양의 철학을 담고 있어 문화적 가치외에 정신적 철학적 가치를 가지는 성으로 이와 관련된 문화재가 잘 보존되어 있다.
수원 화성은 중국, 일본 등지에서 찿아 볼수 없는 평산성의 형태로 군사적 방어기능과 상업적 기능을 함게 보유하고 있으며 시설의 기능이 가장 과학적이고 합리적이며 실용적인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약 6km에 달하는 성벽안에는 4개의 성문이 있으며 모든 건조물이 각기 모양과 디자인이 다른 다양성을 지니고 있어 동양성곽의 백미라 할수 있다. 축성후 1801년에 발간된 "화성성역의궤"에는 축성계획, 제도 법식 뿐만아니라 동원된 인력의 인적사항 재료의 출처 및 용도, 예산 및 임금계산, 시공기계, 재료가공법, 공사일지 등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어 성곽 축성 등 건축사에 큰 발자취를 남기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기록으로서의 역사적 가치를 큰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