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국제평화의 이해 (박사전공>책소개)/1.국제관계

유라시아와 일대일로 통합,협력,갈등

동방박사님 2022. 1. 28. 07:31
728x90

책소개

일대일로 연선의 주요 지역 및 국가 간 협력과 갈등

2013년 중국의 시진핑은 실크로드경제벨트와 21세기 해상실크로드 구상을 각각 발표했다. 이 책은 이 두 대외 국책 사업을 대표하는 일대일로 구상과 전략이 유라시아의 변화와 발전에 미치는 영향과, 그에 대한 유라시아 지역 국가의 전략과 대응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대유라시아 정책에 시사점을 얻기 위해 기획되었다. 유라시아의 지역통합과 협력 및 연결 등에 대해 러시아와 중국은 각각 어떠한 접근방법을 취하고 있는가, 유라시아의 금융과 에너지 협력 등에 대해 중국의 일대일로는 어떤 역할을 하고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유라시아의 소지역 및 국가들의 경제개발과 인프라 구축에 대해 중국의 일대일로는 어떠한 긍정적·부정적 영향을 미치는가, 그리고 중국의 일대일로에 대한 각국의 정책과 대응은 어떠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이를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 것인가를 심도 깊게 통찰한다.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가 HK+ 연구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한 도서 발간 작업의 성과물인 이 책이, 스칸디나비아까지의 육로를 꿈꾸는 한반도의 일대일로 구상과의 협력 방향, 동북아 지역 경제협력 강화와 관련된 남·북·중·러 연계를 통해 교통 및 물류뿐만 아니라 산업, 에너지, 관광 등으로 확대한 신네트워크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1부 유라시아의 통합과 일대일로

1장 유라시아의 비서구 지역통합 프로젝트: 유라시아경제연합과 일대일로
2장 유라시아경제연합과 실크로드경제벨트의 연결 가능성: 경제협력의 기회와 장애
3장 유라시아에서 러시아와 중국의 협력과 대립 가능성: 러시아 확대유라시아 구상과 중국 일대일로를 중심으로
4장 일대일로와 유라시아 지역의 금융 협력
5장 유라시아의 에너지 협력 및 전력망 연계와 일대일로: 중국과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을 중심으로

2부 일대일로와 유라시아 각국의 협력과 갈등

6장 중국의 일대일로와 중·러 협력: 동북3성과 극동 지역 교통물류 협력을 중심으로
7장 중앙아시아와 일대일로: 중국식 해외 인프라 개발 모델의 한계
8장 중국의 해상실크로드와 항만 네트워크 전략
9장 중국-파키스탄 경제회랑의 국제정치
10장 일대일로에 대한 터키·아제르바이잔의 경제회랑 조성, 연계, 이행전략
 

저자 소개

저 : 강명구
 
산업은행 미래전략연구소 연구위원
 

저 : 강봉구

러시아학술원 IMEMO(세계경제/국제관계연구원) 정치학 박사. 현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HK교수이다. 주요 논저로는 『현대러시아 대외정책의 이해』(1999), “Facelift of the Shanghai Cooperation Organization:Does Softer Balancing Continue?”(2016), 「모디 총리 시기 인도-러시아 전략적 파트너십의 진로」(2017), 「불신을 넘어 동반자...
 
 

출판사 리뷰

중국의 일대일로가 유라시아 지역의 변화와 발전에 미친 영향은 무엇인가?

유라시아 및 중국 관련 전문 연구자들이 유라시아를 일대일로와 연관시켜 연구함으로써 기존 유라시아 연구의 범주를 확장했다. 이 책은 유라시아와 일대일로를 주요 이슈별로 검토하고 주요 협력 분야와 쟁점을 분석한 1부와 해당 지역 및 국가 간의 협력과 갈등을 분석한 2부로 구성되었다. 일대일로에 대한 연구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유라시아 지역 및 각 국가와의 여러 이슈를 비교분석 함으로써 협력 가능성을 모색하고, 일대일로 연선의 주요 지역 및 국가 간의 협력과 갈등에 초점을 맞췄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 책의 내용

1부에서는 중국의 일대일로 구상과 유라시아 지역 간의 통합·협력·갈등의 문제를 지역통합(1장), 인프라 연결 및 경제협력(2장), 러시아가 구상하는 확대유라시아와의 관계(3장), 유라시아의 금융 협력(4장), 유라시아의 에너지 협력(5장) 등 주요 이슈별로 검토한다. 1장에서 김영진은 유라시아 지역의 대표적인 비서구 지역통합 프로젝트인 유라시아경제연합과 일대일로를 비교분석 하고 이 두 지역통합 프로젝트의 경쟁과 협력, 그리고 그 잠재력과 걸림돌을 짚어본다. 2장에서 김영진은 유라시아경제연합과 실크로드경제벨트 그리고 러시아와 중국의 상호작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이 두 프로젝트의 ‘연결’ 가능성에 대한 잠재력과 장애요인을 분석하고 있다.

3장에서 이상준은 러시아가 확대유라시아 구상을 통해 유라시아 대륙 동서남북의 연계를 적극 추진하고 있으며, 자국의 안보에 끼치는 영향을 감안해 일대일로와의 협력을 고려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4장에서 강명구는 유라시아 지역의 일대일로와 인프라 현황, 중국 및 유라시아 각국의 인프라 건설을 위한 노력, 일대일로의 한계 등을 분석함으로써 유라시아 지역의 인프라 건설을 위한 금융협력 방안과 관련 인프라 건설에 대한 한국의 참여 방안을 모색한다. 5장에서 조정원은 중국의 일대일로와 유라시아 에너지 협력 및 전력망 연계 시도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향후 지속적인 성과 창출 조건을 고찰한다.

2부에서는 중국의 일대일로와 유라시아 내의 각 지역과 국가들 간의 협력과 갈등 문제를 다룬다. 동북3성과 극동 지역의 중·러 협력(6장), 중앙아시아의 인프라 개발(7장), 동남아시아의 항만 네트워크(8장), 서아시아의 중·파 경제회랑(9장), 터키와 아제르바이잔 경제회랑(10장) 등 지역과 국가들에 중국의 일대일로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 의미를 파악하고, 그 긍정적 또는 부정적 시사점을 살펴본다. 6장에서 변현섭은 중국 동북3성과 러시아 극동 지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중국과 러시아의 교통물류 협력 정책을 분석한다. 7장에서 윤성학은 중국의 일대일로에 대응하는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반응과 정책을 고찰하고, 중국식 해외 인프라 투자 모델을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8장에서 민귀식은 일대일로에서 경제적 가치가 더 큰 중국의 해상실크로드 전략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동남아와 서아시아 각국의 반응을 분석한다. 9장에서 강봉구는 중·파 경제회랑 사업이 어떤 정치경제적·국제적 맥락에서 진행되며, 중국·인도·파키스탄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 논구한다. 10장에서 박지원은 터키와 아제르바이잔이 구상하는 일대일로상에서의 경제회랑 연계 계획 및 전략을 분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