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과거와 비교해 창조과학이 위력이 현저하게 약해진 것이 사실이지만 아직도 지역교회 현장에서 세계 신학계의 동향이나 과학계의 성취에 대해 눈과 귀를 꽉 막은 채 편협한 근본주의적 방식으로 ‘노아 홍수’ 사건을 이해하는 사람들이나, 이런 사람들을 설득해 더 나은 창세기 해석의 가능성을 제시하고픈 사람들에게 『노아 홍수의 잃어버린 세계』는 분명 가뭄의 단비와 같은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목차 서론 약어 1부 방법: 해석에 관한 관점 명제 1 창세기는 고대 문헌이다 명제 2 창세기 1-11장은 과거에 있었던 실제 사건에 대한 주장을 하고 있다 명제 3 창세기 1-11장은 수사적 장치를 사용한다 명제 4 성경은 역사적 사건을 묘사하기 위해 과장법을 사용한다 명제 5 창세기는 과장된 홍수 이야기를 적절히 제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