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동양철학의 이해 (독서>책소개) 504

구소수간 : 중국의 대문호 구양수와 소동파의 편지글

책소개 『구소수간』은 중국 북송의 대문호로 알려진 구양수와 소동파가 쓴 편지를 엮은 책으로 세종대왕이 수 십 번이나 탐독한 책으로 유명하다. 『구소수간』은 구양수의 편지글 ‘여릉 상하’와 소동파의 편지글 ‘동파 상하’로 되어 있다. 목차 제1장 『구소수간』 여릉 상 1. 매성유에게 보내는 편지[與梅聖兪] 2. 대제 등자경에게 보내는 편지[與?待制子京] 3. 연서 직방에게 답하는 편지[答連庶職方] 4. 연상 낭중에게 답하는 편지[答連庠郞中] 5. 장직방에게 보내는 편지[與張職方] 6. 왕낭중에게 보내는 편지[與王?中] 7. 곽형부에게 답하는 편지[答郭刑部] 8. 주직방에게 보내는 편지[與朱職方] 9. 채성부에게 보내는 편지[與蔡省副] 10. 급사 오중부에게 보내는 편지[與吳給事中復] 11. 이유후에게 보내..

소동파 시선 : 송나라 제1의 시인

책소개 과거시험 이후에 시 짓는 법을 배우기 시작하여 매년 과거 방이 나붙은 뒤에 서른 명의 소동파가 나왔다는 이규보의 말대로 한반도 시풍을 선도했던 소동파의 시문. 백문이 불여일견이라고, 우리 조상들이 왜 그렇게 소동파의 시에 열광했는지 직접 한번 맛보고 판단하시라! 목차 1. 설니홍조(雪泥鴻爪) 소군촌 昭君村 설니홍조 和子由?池懷舊 소요대 逍遙臺 사주 승가탑 泗州僧伽塔 공을 보는 누각 吉祥寺僧求閣名 망호루에서 술에 취해 제5수 六月二十七日望湖樓醉書五絶其五 법혜사 횡취각 法惠寺橫翠閣 어잠 스님의 녹균헌 於潛僧綠筠軒 초산 윤장로의 벽에 書焦山綸長老壁 백보홍 百步洪 거문고 소리는 어디서 날까 琴詩 여산진면목 題西林壁 학 鶴歎 담이에서 ?耳 금산사의 초상화 앞에서 自題金山?像 2. 서호(西湖)는 월 서시(越..

이욱 사집 (이욱) : 사(詞)는 당대 중엽에 발생해서 송대에 유행하다가 송의 멸망과 함께 사라진 장르다.

책소개 사(詞)는 당대 중엽에 발생해서 송대에 유행하다가 송의 멸망과 함께 사라진 장르다. 사는 현재의 관점에서 보자면 당연히 시(운문)의 범주에 속하기 때문에 사를 시라고 해도 틀린 말은 아니다. 그러나 중국에서 사와 시는 표현하는 내용과 사용 어휘도 다르다. 게다가 사는 대부분 악곡에 맞춰 노래하기 위한 가사로 지어졌다는 점이 시와 비교해 가장 큰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사는 이처럼 시와 유사하면서도 다르다. 『이욱 사집』나라가 망하는 순간에도 사(詞)의 구절을 놓고 고민하고 있었다고 비난받는 남당의 마지막 황제 이욱의 작품집이다. 그러나 그의 작품을 보면 누구나 인정할 수밖에 없다. 그는 황제이기 이전에 예술가였다는 것을. 그 누구도 따라올 수 없는 화려하고 우아한 표현, 섬세하고 처연한 감성의..

이상은 시선 : 이상은(李商隱, 812∼858)은 만당(晩唐)의 시인

책소개 만당을 대표하는 시인 이상은. 불운한 인생을 시로 승화했기에 슬픔의 시인으로 불리기도 한다. 정치적 이상과 우정을 노래했던 중국 시단에 애정시의 아름다움을 깊이 각인했다. 기려한 표현, 정교한 구성, 섬세한 감성, 풍부한 전고, 그리고 그 밑에 흐르는 깊은 슬픔을 느껴 보자. 목차 1. 생활 낙씨(駱氏)의 정자에 묵으며 최옹(崔雍), 최연(崔袞)을 그리며 낭중 영호도(令狐?)에게 부침 일상의 나날 담주에서 두목에게 장난꾸러기 처남 왕십이(王十二)와 동서 한첨(韓瞻)이 방문해 술 마시자 청했지만, 아내의 상중이라 가지 않고 시를 부치다 두보가 촉에서 떠나가며 2월 2일 밤에 술 마시며 한악(韓?)이 즉석에서 시를 지어 송별해 좌중이 모두 놀랐다. 훗날 한가로워 ‘며칠 밤 계속해서 모시고 앉아 오래 ..

백거이 : 당나라의 위대한 시인 백거이의 대표작

책소개 당나라의 위대한 시인 백거이의 대표작을 모았다. 백거이는 일생 동안 3000여 편에 달하는 시를 남겨 놓아 당나라 시인 중에 가장 많은 작품을 남긴 시인이며, 이백(李白)과 두보(杜甫) 이후 가장 위대한 시인이라 할 수 있다. 그동안 국내에는 한적시 위주로만 소개되었으나 이 시집에는 그의 풍유(諷諭)·한적(閑適)·감상(感傷)·잡률(雜律)시를 시기별로 고루 실었다. 그의 시는 동네 할머니나 어린아이조차도 이해할 수 있을 만큼 쉽다. 그렇기에 더욱 누구에게나 감동을 준다. 목차 오래도록 그리워하다(長相思) 남몰래 하는 이별(潛別離) 보리 베는 것을 바라보며(觀刈麥) 과중한 세금(重賦) 벗으로 인한 상심(傷友) 신풍의 팔 자른 노인(新.折臂翁) 숯 파는 노인(賣炭翁) 애초에 원진과 이별한 후에 갑자기 ..

당시선 (이반룡) : 초당, 성당, 중당, 만당의 시기에 괄목할 만한 특징을 보여주는 대표 시인의 대표작

책소개 중국 시사(詩史)에서 당시(唐詩)는 최고의 성취를 이룬 분야로, 중국 문화의 정화(精華)라 할 수 있다. 이 시기에 창작된 작품 수는 이전 시기의 것을 합한 것보다 많으며, 질적으로도 최고의 경지에 이르러, 율시와 절구 등의 근체시가 완성되었고 고체시가 더욱 완숙해졌다. 갖가지 시재(詩材)와 인간 정서가 시에서 다루어졌으며 기법도 다양하고 세련되어졌다. 이렇게 당시는 그것이 비록 한자로 엮이고 중국의 시문학사 발전 과정에서 형성된 것이기는 하나, 우리나라와, 일본 등을 포함한 이른바 한자문화권 구성원 전체가 공유하는 문화유산이다. 이 책 『당시선』은 초당, 성당, 중당, 만당의 시기에 괄목할 만한 특징을 보여주는 대표 시인의 대표작을 뽑아 우리말로 옮기고, 해설과 주석을 곁들였다. 독자들에게는 동..

두보 시선 : 시의 성인, 역사가 남긴 향기

책소개 당시, 노자, 장자, 논어, 선시, 불교대전 등의 고전을 40여 년 동안 우리말로 갈고 다듬어 온 노시인 이원섭이 심혈을 기울여 번역한 120여 편의 두보 시를 모아놓았다. 두보의 일생, 시의 경향을 한 눈에 볼 수 있으며, 한시의 은은한 맛을 만끽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두보의 시를 다시 펴내며 1. 꽃이 지는 강촌 절구 1 절구 2 달 달 곡강 1 (...) 2. 우정의 푸른 물결 이귀년 이백에게 왕랑을 전송하면서 음중판선가 조장군에게 (...) 3. 역사가 남긴 향기 우임금 사당에서 선주의 묘에 배알하고 소릉에서 다시 소릉에 와서 노자의 사당에서 (...) 4. 전쟁이 할퀴고 간 상처 왕손을 슬퍼함 행재소에 도착하여 1 행재소에 도착하여 2 행재소에 도착하여 3 술회 (...) 5. 나라는..

이백 시선 : 시의 신선, 달과 술의 인연

책소개 당시, 노자, 장자, 논어, 선시, 불교대전 등의 고전을 40여 년 동안 우리말로 갈고 다듬어 온 노시인 이원섭이 심혈을 기울여 번역한 110여 편의 이백 시를 모아놓았다. 이백의 일생, 시의 경향을 한 눈에 볼 수 있으며, 한시의 은은한 맛을 만끽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이백의 시를 다시 펴내며 1. 사랑의 언저리 옥계원 청평조사 1 청평조사 2 청평조사 3 미인 (...) 2. 산중문답 산중문답 하일산중 오사모 경정산 백로 (...) 3. 달과 술의 인연 취해 누우면 대작 달에 묻노니 장진주 독작 (...) 4. 정을 주고 받으며 청계의 밤 오송산 밑에서 어린 두 자식에게 동정호에서 1 동정호에서 2 (...) 5. 이별의 안팎 황학루에서 강릉으로 가는 길 피리 소리 두보에게 하지장을 생각하..

왕유 시선 : 시의 부처

책소개 이백을 시의 신선이라 하고 두보를 시의 성인이라 할 때 시의 부처로 불리는 것이 왕유다. 몸은 관직에 있으나 마음은 자연에 두었다. 시로 그림을 그리고 그림이 다시 시를 썼다. 자연의 이치가 인간의 길이 되었으니 부처가 아닐 수 없다. 목차 진시황릉을 찾아서 3 9월 9일 고향의 형제들을 그리며 5 도원행 7 식 부인 12 하북성 성루(城樓)에 올라서 14 정주에서 묵으며 16 이별 19 기수(淇水) 가의 전원 풍경 22 서늘맞이 24 숭산으로 돌아가며 27 변각사에 올라서 29 종남산 별장 31 종남산 33 백원와 35 반 첩여 37 노상(盧象)과 함께 최흥종(崔興宗)의 숲 속 정각(亭閣)을 찾아서 39 콩새 41 서시(西施) 42 늦은 봄날 규중(閨中)의 상념(想念) 45 산속으로 돌아가는 친..

도잠 평전 : 중국 고전 시가를 대표하는 시인 도잠(도연명),

책소개 중국 고전 시가를 대표하는 시인 도잠(도연명), 지조를 지키며 번민하는 현실적 삶을 다룬 평전 어느 학문을 하든 전공을 불문하고 피해갈 수 없는 분야가 있게 마련이다. 중국 문학의 경우에는 도잠과 이백, 두보 그리고 소식이 바로 그런 인물에 해당된다. 그 가운데 시기적으로 가장 이른 인물이 바로 진[東晉]나라와 남북조의 유송(劉宋) 시대를 살다 간 도잠이다. 담박(淡泊)하고 자연스런 시풍을 구사한 도잠은 생전에는 화미(華美)함을 추구하는 시대사조 때문에 빛을 보지 못하였으나 후대로 가면서 점점 더 진가가 드러나게 되었다. 그 영향은 이백과 두보, 소식 등 모든 문인들에게까지 두루 미쳤다. 특히 소식의 경우에는 도잠에 대한 애정을 담아 모든 시에 화답한 화도시(和陶詩)를 남기기까지 했다. 이 책은 ..

굴원 (우가오페이) : 혼탁한 세상에서 홀로 고뇌했던 중취독성의 시인

책소개 혼탁한 세상에서 홀로 고뇌했던 중취독성의 시인 굴원의 비극은 역사의 비극이나, 그는 지지않는 별이 되었다 굴원은 중국 전국시대 초나라의 명문가에서 태어나 뛰어난 재능을 인정받으며 젊은 나이에 벼슬길에 오른 인물이다. 그는 전국시대 일곱 나라가 서로 힘을 겨루는 혼란스러운 상황 속에서 조국인 초나라가 제나라와 합세하여 강국인 진나라에 맞서는 합종책을 내세우며 초나라의 독립적인 강화방안을 모색했다. 그러나 진나라의 교묘한 외교술, 무능력한 초왕과 간신들 탓에 그 뜻을 제대로 펼치지 못하고 정치적 부침을 거듭했다. 이러한 어려운 상황 속에서 그가 끝까지 초나라에 대한 충심을 지킬 수 있었던 것은 어리석은 군왕으로 인해 힘겨워하는 민심의 고통을 뼈저리게 통감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굴원은 더욱 안..

맹자 (맹자) : “하늘과 땅 사이에 유동하는 넓고 큰 기운을 길러라!”

책소개 “하늘과 땅 사이에 유동하는 넓고 큰 기운을 길러라!”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등 상아탑의 필독서 『맹자』, 소설처럼 재미있게 읽히는 스토리별 구성과 쉬운 우리말 번역, 浩然之氣(호연지기), 父子有親(부자유친), 廢興存亡(폐흥존망) 등 『맹자』를 보다 깊게 이해하는 한자어원풀이 유가(儒家)의 대표 경전인 맹자(孟子)의 『맹자(孟子)』는 대부분이 대화체 형식으로 구성되었다. 『맹자』는 맹자의 언행과 습관뿐만 아니라 춘추시대의 생활상, 더 나아가 인간과 삶에 대한 모든 것을 담아냈다. 우리의 경우 조선왕조 5백여 년 동안 유교를 통치이념으로 삼았는데, 『맹자(孟子)』는 『대학(大學)』·『중용中庸』·『논어(論語)』와 더불어 사서(四書)의 하나이다. 오늘날에도 『맹자』는 인생에 한 번은 꼭 읽어야 할 ..

논어 (공자) : 시대를 초월한 삶의 지침이 보인다

책소개 사서삼경 중 가장 많이 읽는 『논어』, 한국인의 필독서 『논어』 완역본을 소설처럼 쉽게 읽는다! 유가(儒家)의 대표 경전인 공자(孔子)의 『논어(論語)』는 대부분이 대화체 형식으로 구성되었다. 도가(道家)의 대표 경전인 노자의 『도덕경(道德經)』(5,200여 글자로 구성)이 ‘무위자연(無爲自然)’과 같은 사상을 일관되게 주장한 반면 『논어』(1만 5,900여 글자로 구성)는 공자와 그의 제자들의 일상을 담아 묶어낸 ‘어록(語錄)’에 가깝다. 즉 제자들이 스승 공자와 나누었던 이야기를 발췌하고 편집한 담화집이다. 『논어』는 공자의 언행과 습관뿐만 아니라 춘추시대의 생활상, 더 나아가 인간과 삶에 대한 모든 것을 담아냈다. 다른 경전들이 대부분 알맹이만을 가려내어 담아낸 반면 『논어』는 공자의 시시콜..

시경 (공자) : 시대를 초월한 삶의 지혜를 담긴 시를 읽는다

책소개 한국인의 필독서 『시경』 완역본을 소설처럼 쉽게 읽는다! 유가(儒家)의 대표 경전인 『사서삼경(四書三經)』 중에서도 『시경(詩經)』이 왜 첫 손가락에 꼽혀 왔을까? 공자는 『논어』 「위정편」에서 “시경 삼백여 편은 한마디로 사악(邪惡)함이 없는 것”이라고 했다. 예나 지금이나 인간이라면 누구나 내면 깊숙이 꿈틀대는 감성이 있는데, 옛사람들이 삶의 희로애락을 노래한 시들을 엮은 책인 『시경(詩經)』에는 인간의 감정에 따른 속내가 그대로 녹아들었다. 특히 인간이라면 누구나 느끼고 경험하는 사랑·증오·이별·만남·평화·전쟁·부유·가난·건강·질병·장수·횡사 등에 관한 지혜를 담은 시들은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도 유용할 것이다. 『시경(詩經)』은 본래 3천여 편이 있었다고 전해지는데 공자(孔子)에 의해 총 3..

도화선 (공상임) : 공자의 후예 공상임과 그의 희곡 『도화선』,남녀 이합의 정을 빌려 역사의 흥망을 애도하다

책소개 을유문화사의 새로운 세계문학전집 중 열 번째 책 『도화선』. 공자의 64대손인 공상임(孔尙任)이 지은 책으로, 명(明)의 마지막 황제 숭정제(崇禎帝)의 자결과 남명 왕조 초기 복왕(福王) 정권의 흥망을 배경으로 젊은 선비 후방역(侯方域)과 남경(南京) 기생 이향군(李香君)의 만남과 이별, 재회와 각성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한 왕조의 흥망사와 실존 인물의 이야기가 극 형식으로 성공적으로 엮여 탄생한 『도화선』은 중국에서 진정한 역사극의 가능성을 최고의 수준으로 보여 준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국내에는 처음으로 완역 소개되는 중국 전통 장편 희곡으로, 역자인 이정재 교수는 중국 전통극에 대한 전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충실한 번역과 해설을 선보인다. 목차 일러두기 소인 소지 본말 범례 고거 강령 등장..

장생전 (홍승) : 당명황 이융기와 귀비 양옥환의 사랑 이야기

책소개 한국연구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544, 545권. 당명황 이융기와 귀비 양옥환의 사랑 이야기는 시와 소설 등 무수한 작품의 제재가 되었다. 이러한 문학작품을 이양고사라고 하는데, 이양고사의 결정판인 장생전은 '황제와 후비의 사랑'이라는 제재에 견우와 직녀 및 항아의 신화를 결부시켜 죽음을 초월하는 신비롭고도 아름다운 사랑의 세계를 그려냈다. 목차 상권 장생전(상) 제1척 서 막【전개傳槪】 제2척 사랑의 약속【정정定情】 제3척 뇌물을 바치다【회권賄權】 제4척 봄날의 낮잠【춘수春睡】 제5척 삼짇날 봄나들이【계유遊】 제6척 입방아【방아傍訝】 제7척 은총을 입은 괵국부인【행은倖恩】 제8척 머리카락을 바치다【헌발獻髮】 제9척

소림 (한단순) : 소화서(笑話書), 풍부한 상상력과 해학

책소개 소화의 특성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소화서(笑話書)의 전형으로, 중국 위진남북조 최초의 지인소설집(志人小說集)이자 중국 최초의 소화전집(笑話專集)이다. 소화(笑話)는 문학 양식의 일종으로, 책소개 소화의 특성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소화서(笑話書)의 전형으로, 중국 위진남북조 최초의 지인소설집(志人小說集)이자 중국 최초의 소화전집(笑話專集)이다. 소화(笑話)는 문학 양식의 일종으로, 풍부한 상상력과 해학이 넘치는 고사를 간결한 문장 형식과 소박한 언어로 묘사하여 현실 사회의 각종 모순을 신랄하게 풍자함으로써, 독자들의 웃음을 자아내는 동시에 깊은 생각에 젖게 한다. 이 작품은 원전의 분량이 많아 모두 번역했으며, 저본에는 총 29조의 고사가 집록되어 있는데, 그 가운데 한 조를 둘로 나누고(제..

세설신어 400선 점검 : 어지러운 세상, 돌아보아 나를 찿자

책소개 고전학자 정민 교수의 세설신어 400선. 마음 간수법부터 통치술까지, 전방위적 교양을 담은 네 글자 사유. “옛글을 뒤져 답을 찾는 것이 내게는 이제 습관이 되었다. 현실이 답답하고 길이 궁금할 때마다 옛글에 비춰 오늘을 물었다. 답은 늘 그 속에 있었다.” _정민 고전 속 네 글자로 지혜와 통찰을 전해온 인문학자 정민 교수. 그가 12년간 쌓아온 사자성어 해설 ‘세설신어’ 400개를 가나다순으로 정리하여 찾아 읽기 쉽게 했다. 제목 ‘점검(點檢)’은 하나하나 따져서 살핀다는 뜻이다. 마음자리를 살피고, 몸가짐을 돌아보고, 세상 이치를 짚는 일이 다 ‘점검’이다. 빠르게 변하는 세상, 흐름에 휩쓸려 무엇이 중요한지 잊은 채 엄벙덤벙 살아오지 않았나 돌아볼 때이다. 차분히 내려놓고 안으로 살피는 내..

홍루몽 : “중국에서 삼국지 보다 더 많이 읽히는 책”

책소개 “중국에서 삼국지 보다 더 많이 읽히는 책” 어느 곳이든 중국인이 모인 자리에서는 이 책이 한번 거론되기만 하면 순식간에 화제의 중심으로 떠올라 좌중의 분위기를 흥분시킨다. 홍루몽은 청나라 시대 조설근(曹雪芹 1715-1764)이 쓴 장편 소설로 작품에 나오는 등장 인물만 450여 명. 금릉(지금의 난징)을 배경으로 주인공 가보옥(賈寶玉)과 그의 고종 사촌 누이 임대옥(林黛玉)의 이룰 수 없는 사랑을 묘사하면서 가문의 흥망성쇠를 웅장하게 그리고 있는 대하 소설이다. 목차 신령한 돌 11 진사은과 가우촌 13 보옥과 대옥의 만남 27 서울로 온 설보채 52 홍루몽 선곡을 듣다 63 운우지정을 겪다 85 비밀이 아닌 비밀 91 통령보옥이란? 106 난 장 판 115 상사병에 걸린 가서 134 진가경,..

금병매 : “동 시대 소설 중 최고의 걸작”

책소개 “동 시대 소설 중 최고의 걸작” ‘아큐정전(阿Q政傳)’의 저자 노신(魯迅)이 극찬한 금병매는 중국 송대의 혼탁한 사회상과 인간의 본능을 사실적으로 묘사해 낸 걸작소설로 그 문학적 가치가 높다. ‘삼국지’·‘수호전’·‘서유기’ 등과 함께 중국 4대 기서 중의 하나로 손꼽히는 ‘금병매’는 여러 이설이 있으나, 명대 만력(1573∼1620) 중기, 즉 16세기 말엽에 흔흔자가 서문을 쓴 소소생의 작품이라는 것이 정설로 되어 있다.1933년 중국에서 ‘금병매사화’라는 제목의 판본이 발견되었는데, 거기에 ‘난릉 소소생 작 금병매전’이라는 글귀가 나왔던 것이다. 또 일설에는 왕세정이 찬하였다고도 하는 이 장편소설은 ‘수호전’에 나오는 서문경과 반금련의 불륜 관계를 소재로 하여 당시 명나라 사회에 만연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