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책소개
오늘날 도덕철학이 잊은 질문, “어떻게 윤리적 삶을 살 것인가?”로 돌아가기 위하여
─ 20세기 가장 탁월한 도덕철학자 버나드 윌리엄스의
윤리학과 도덕철학에 대한 섬세한 비판적 분석을 담은 현대의 고전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소크라테스가 던진 바로 이 질문에서 서구 윤리학의 문제가 출발했다. 근대를 거치며 그 문제는 칸트를 위시한 의무론적 도덕 체계와 공리주의를 위시한 목적론적 도덕 체계의 양대 체계를 이루며 도덕철학으로 발전했다. 둘 중 어느 입장을 지지하든, 진정한 문제는 다음과 같다. 애초에 도덕철학은 어디서 시작했던가? 그 어떤 현대 도덕철학의 입장이라도, 우리에게 삶을 어떻게 살 것인지에 답하는 데 도움이 되고 있는가? 과연 현대의 우리는 어떻게 윤리적 삶을 살 것인가? 이 책은 바로 그 질문에 탐구하기 위해 바쳐졌다. 책의 저자 버나드 윌리엄스는 2003년 작고 당시 《가디언》에서 “우리 시대의 가장 탁월한 도덕철학자”라고 칭할 만큼 현대 도덕철학에 큰 존재감을 드리운 세계적 지성이나, 국내에서 그의 저작이 단행본으로 번역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윌리엄스는 저 두 입장이 공통적으로 복잡한 인간의 윤리적 삶을 아주 좁은 영역으로 환원하는 잘못된 전제 위에 세워졌다고 본다. 그러면서 윤리의 영역은 본디 현대 도덕철학의 영역보다 훨씬 넓은 것이며, 무엇보다 인간의 삶은 자아의 인격적 통합성에 토대를 두는 ‘반성’에 의해서만 올바르게 실천될 수 있다고 말한다. 또한 그러기 위해서는 현대 도덕철학과 윤리학의 가장 첨예하고도 난해한 쟁점들, 이를테면 상대주의와 객관주의, 윤리적 지식의 가능성 같은 것들을 살펴보고서 윤리적 삶을 산다는 것이 매우 복잡한 문제임을 이해해야 한다고 말한다. 이 책은 근대 이후 도덕철학의 양대 입장이 그러한 복잡한 지점들을 제대로 아울러 자아의 통합성을 제공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점을 비판한다.
윌리엄스의 섬세한 분석은 그 까다로운 복잡성이라는 논리적 실타래를 명료하게 풀어 나가는 동시에, 칸트적 입장과 공리주의적 입장 각각을 작동시키는 촘촘한 전제들을 예리하게 밝혀낸다. 그래서 이 책은 현대 도덕철학에 대한 가장 ‘미묘한’비판서인 동시에, 현대 도덕철학을 속속들이 이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읽어야 할 책으로 자리 잡았다. 설령 그의 결론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하더라도, 그가 결론을 도출해 내는 과정을 따라가며 풍부한 배움을 얻을 수 있어서다. 이런 까닭에 이 책은 1983년 첫 출간 이래 동시대의 학계에서 윤리학과 도덕철학에 관한 가장 중요한 책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 20세기 가장 탁월한 도덕철학자 버나드 윌리엄스의
윤리학과 도덕철학에 대한 섬세한 비판적 분석을 담은 현대의 고전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소크라테스가 던진 바로 이 질문에서 서구 윤리학의 문제가 출발했다. 근대를 거치며 그 문제는 칸트를 위시한 의무론적 도덕 체계와 공리주의를 위시한 목적론적 도덕 체계의 양대 체계를 이루며 도덕철학으로 발전했다. 둘 중 어느 입장을 지지하든, 진정한 문제는 다음과 같다. 애초에 도덕철학은 어디서 시작했던가? 그 어떤 현대 도덕철학의 입장이라도, 우리에게 삶을 어떻게 살 것인지에 답하는 데 도움이 되고 있는가? 과연 현대의 우리는 어떻게 윤리적 삶을 살 것인가? 이 책은 바로 그 질문에 탐구하기 위해 바쳐졌다. 책의 저자 버나드 윌리엄스는 2003년 작고 당시 《가디언》에서 “우리 시대의 가장 탁월한 도덕철학자”라고 칭할 만큼 현대 도덕철학에 큰 존재감을 드리운 세계적 지성이나, 국내에서 그의 저작이 단행본으로 번역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윌리엄스는 저 두 입장이 공통적으로 복잡한 인간의 윤리적 삶을 아주 좁은 영역으로 환원하는 잘못된 전제 위에 세워졌다고 본다. 그러면서 윤리의 영역은 본디 현대 도덕철학의 영역보다 훨씬 넓은 것이며, 무엇보다 인간의 삶은 자아의 인격적 통합성에 토대를 두는 ‘반성’에 의해서만 올바르게 실천될 수 있다고 말한다. 또한 그러기 위해서는 현대 도덕철학과 윤리학의 가장 첨예하고도 난해한 쟁점들, 이를테면 상대주의와 객관주의, 윤리적 지식의 가능성 같은 것들을 살펴보고서 윤리적 삶을 산다는 것이 매우 복잡한 문제임을 이해해야 한다고 말한다. 이 책은 근대 이후 도덕철학의 양대 입장이 그러한 복잡한 지점들을 제대로 아울러 자아의 통합성을 제공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점을 비판한다.
윌리엄스의 섬세한 분석은 그 까다로운 복잡성이라는 논리적 실타래를 명료하게 풀어 나가는 동시에, 칸트적 입장과 공리주의적 입장 각각을 작동시키는 촘촘한 전제들을 예리하게 밝혀낸다. 그래서 이 책은 현대 도덕철학에 대한 가장 ‘미묘한’비판서인 동시에, 현대 도덕철학을 속속들이 이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읽어야 할 책으로 자리 잡았다. 설령 그의 결론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하더라도, 그가 결론을 도출해 내는 과정을 따라가며 풍부한 배움을 얻을 수 있어서다. 이런 까닭에 이 책은 1983년 첫 출간 이래 동시대의 학계에서 윤리학과 도덕철학에 관한 가장 중요한 책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목차
서문
제1장 소크라테스의 질문
제2장 아르키메데스적 점
제3장 토대: 안녕
제4장 토대: 실천 이성
제5장 윤리이론의 스타일
제6장 이론과 편견
제7장 언어적 전회
제8장 지식, 과학, 수렴
제9장 상대주의와 반성
제10장 도덕, 그 특이한 제도
후기
제1장 소크라테스의 질문
제2장 아르키메데스적 점
제3장 토대: 안녕
제4장 토대: 실천 이성
제5장 윤리이론의 스타일
제6장 이론과 편견
제7장 언어적 전회
제8장 지식, 과학, 수렴
제9장 상대주의와 반성
제10장 도덕, 그 특이한 제도
후기
책 속으로
그것은─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는─사소한 질문이 아니라고 소크라테스는 말했다. 또는 소크라테스가 그렇게 말했다고, 플라톤은 이 주제에 관해 쓴 첫 번째 책들 중 하나에서 전한다. 플라톤은 철학이 그 질문에 답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소크라테스처럼, 플라톤은 철학만이 달성할 수 있는 이해를 통해 사람들이 삶의 방향을 정할 수 있기를, 필요하다면 삶의 방향을 재설정할 수 있기를 희망했다. 다시 말해, 일반적이고 추상적이며, 합리적으로 반성적이고, 다른 종류의 탐구들이 밝혀낸 것들을 검토하는 사유를 통해 삶을 인도할 수 있기를 희망했다. 도덕철학의 목적은 소크라테스의 질문의 운명에 결박되어 있다.
--- p.14
기존 자아와 사회에의 진실성이 반성, 자기 이해, 비판과 어떻게 결합되어야 하는가는 철학 자체로서는 답할 수 없는 질문이다. 이러한 종류의 질문은 반성적 삶을 통해 답할 수밖에 없다. 그 답은 개인적이고 사회적인 과정의 결과로 발견하거나 확립해야 한다. 그리고 그런 과정은 모호한 방식이 아니라면, 본질적으로 답을 미리 정식화할 수는 없다. 철학은 그 과정에 기여할 수 있다. 질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 p.14
기존 자아와 사회에의 진실성이 반성, 자기 이해, 비판과 어떻게 결합되어야 하는가는 철학 자체로서는 답할 수 없는 질문이다. 이러한 종류의 질문은 반성적 삶을 통해 답할 수밖에 없다. 그 답은 개인적이고 사회적인 과정의 결과로 발견하거나 확립해야 한다. 그리고 그런 과정은 모호한 방식이 아니라면, 본질적으로 답을 미리 정식화할 수는 없다. 철학은 그 과정에 기여할 수 있다. 질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 p.360
추천평
“윤리학뿐만 아니라 철학에 대한 가장 흥미로운 공헌 중 하나."
- 존 맥도웰 (《마인드》)
“지성과 문체로 반짝이는 탁월한 책.”
- 토머스 네이글 (《저널 오브 필로소피》)
“다양한 도덕 이론에 대한 훌륭한 설명, 그리고 인생 도중에 마주치는 주제에 대한 풍부하고 재치 있는 관찰을 담고 있는 책.”
- 필리파 풋 (《타임스 리터러리 서플리먼트》)
“우울할 때 ‘어떻게 살아야 할까? 어떻게 알 수 있을까?’ 묻지 않은 사람이 누가 있을까. 이 책을 읽는 것은 바로 그런 질문에 대한 매력적이고, 회의적이며, 종종 씁쓸할 정도로 재치 있고, 비범한 전문가의 가장 정교한 토론을 이해하는 것이다.”
- 로널드 드소자 (《뉴욕타임스 북 리뷰》)
- 존 맥도웰 (《마인드》)
“지성과 문체로 반짝이는 탁월한 책.”
- 토머스 네이글 (《저널 오브 필로소피》)
“다양한 도덕 이론에 대한 훌륭한 설명, 그리고 인생 도중에 마주치는 주제에 대한 풍부하고 재치 있는 관찰을 담고 있는 책.”
- 필리파 풋 (《타임스 리터러리 서플리먼트》)
“우울할 때 ‘어떻게 살아야 할까? 어떻게 알 수 있을까?’ 묻지 않은 사람이 누가 있을까. 이 책을 읽는 것은 바로 그런 질문에 대한 매력적이고, 회의적이며, 종종 씁쓸할 정도로 재치 있고, 비범한 전문가의 가장 정교한 토론을 이해하는 것이다.”
- 로널드 드소자 (《뉴욕타임스 북 리뷰》)
'51.서양철학의 이해 (독서>책소개) > 3.윤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덕 원리에 관한 탐구 (데이비드 흄) (0) | 2022.11.04 |
---|---|
윤리학의 방법 (헨리 시지윅) (0) | 2022.11.04 |
한국사상과 마음의 윤리학 (경북대학교 출판부) (0) | 2022.11.04 |
40주제로 이해하는 윤리와 사상 개념사전 (0) | 2022.11.04 |
개념과 주제로 본 우리들의 윤리학 (0) | 2022.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