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 384

[웹북] 대정봉환 (1867)

대정봉환대정봉환(일본어: 大政奉還 타이세이호칸)은 1867년 11월 9일 도쿠가와 막부 15대 쇼군 도쿠가와 요시노부가 메이지 천황에게 통치권을 반납하는 것을 선언한 정치적 사건이다.개요에도 시대 도쿠가와 막부는 일본의 통치자로 군림하고 있었지만, 형식적으로는 조정으로부터 장군에게 선지를 내려 막부 정치의 대권을 천황으로부터 위임받고 있다는 ‘대정위임론’(大政委任論, 대정=정권)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었다. 에도 막부 말기, 조정이 자립적인 정치 세력으로 급부상했고, 주로 대외 문제에 있어서 막부의 뜻과 일치하지 않음으로 인해 막부 권력의 정통성을 위협하는 가운데, 막부는 조정에 대정위임의 재확인을 요구했다. 분큐 3년 1863년 3월부터 다음 해인 1864년 겐지 원년 4월에 각각 일정한 유보 하에 대..

[웹북] 샷초동맹 (1866)

삿초 동맹삿초 동맹(일본어: 薩長同盟 삿초도메이[*])은 일본의 에도 시대 후기에 사쓰마번(오늘날 가고시마현)과 조슈번(오늘날 야마구치현)이 맺은 정치적, 군사적인 동맹을 가리킨다. 1866년 3월 7일에 맺었으며, 에도 막부를 타도하는 게 목적이었다. 삿초 맹약, 삿초 연합이라고도 한다.원래 사쓰마번은 1864년에 금문의 변 사건을 일으켜 교토에서 조슈번을 추방하였고, 몇 차례 조슈번을 공격하여 사이가 좋지 않았으나, 도사번 출신의 사카모토 료마, 나카오카 신타로 중재로 동맹을 맺었다.개요사쓰마번과 조슈번은 교토를 중심으로 에도 시대 막부 말기의 정계에서 웅번으로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사쓰마가 공무합체의 입장에서 막부의 개국 노선을 지지하면서 막부의 정치 개혁을 요구한 반면, 조슈번은 급진적이고..

[웹북] 미일 수호 통상조약 / 안세이 대옥 (1858)

미일 수호 통상 조약 (1858)미일 수호 통상 조약(美日修好通商條約, 영어: Treaty of Amity and Commerce betwee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 일본어: 日米修好通商条約)은 막말인 1858년 7월 29일에 일본과 미국 사이에 연결된 통상조약으로 에도 막부 말기의 혼란기부터 메이지 초기에 걸쳐 일본이 열강과 조인하게 된 피할 수 없었던 불평등 조약의 하나이다. 일본의 막부 측에서 이노우에 기요나오와 이와세 다카노부가 미국측의 전권은 주일 총영사 타운젠드 해리스와 가나가와현 앞 바다의 선상에서 조인했다.1899년 7월 17일에 미·일 통상 항해조약이 발효된 것에 의해 효력이 상실되었다.안세이 대옥 (1858)안세이 대옥(일본어: 安政の大獄)은 에도 막부의..

[웹북] 미일 화친조약 (1854) 가나자와조약

미일 화친 조약미일 화친 조약(美日和親條約, 영어: Japan-US Treaty of Peace and Amity, 일본어: 日米和親条約) 또는 가나가와 조약(일본어: 神奈川条約, 영어: Convention of Kanagawa 또는 Kanagawa Treaty)은 1854년 3월 31일 미국 해군의 매튜 C. 페리와 에도 막부 전권대신 하야시 후쿠사이와 체결한 조약이다. 조약은 몇몇 구역 개항을 포함하였는데, 오늘날 시모다시와 하코다테는 이때 개항했었다. 미국 선박 안전을 보장하라는 페리 함대에 굴복한 일본이 맺은 조약이었으므로 불평등 조약일 수밖에 없었지만, 일본이 200년간 유지했던 쇄국의 문을 열게 된 계기였다.사실 페리는 막부의 행정관들이 아닌 일본의 수장과 담판 짓겠다는 태도를 고수했지만, 당..

[웹북] 페리함대 내항 (1853)

페리 원정미국 측에서는 페리 원정(한자: 페리 遠征; 영어: Perry Expedition) 또는 일본 측에서는 흑선 내항(일본어: 黒船来航 구로후네 라이코)은 1853년 가에이 6년에 미국의 제독 매튜 C. 페리가 이끄는 미국 해군 동인도 전대의 증기선 2척을 포함하여, 함선 4척이 일본에 내항한 사건이다. 당초 구리하마에 내항했지만 당시 구리하마 항구는 모래사장으로 함선이 접안할 수 없었기에 막부는 에도 만 우라가(지금의 가나가와현 요코스카시 우라가)로 유도했다. 제13대 밀러드 필모어 미국 대통령의 국서를 막부에 전달했고, 이듬해 〈미일화친조약〉(가나가와 조약) 체결에 이르렀다. 일본에서는 주로 이 사건에서 메이지 유신까지를 ‘막말’(막부 말기)라고 부르고 있다.배경미국의 아시아 시장 진출산업 혁명..

[웹북] 유길준 (1856~1914) 개화사상가

1914 개화사상가 유길준 사망 / 1948 미군정 경찰권 이양 / 1952 뇌염으로 극장 등 페쇄 / 1964 방송의 날 제정 / 1976 주택은행 주택복권 발행 공고 / 2002 법원 이승복 " 공산당은 싫어요" 라고 보도한 조선일본 기사는 사실이라고 판결 유길준유길준 (兪吉濬)조선국 내무협판 (朝鮮國 內務協辦) / 임기 1895년 12월 17일 ~ 1896년 2월 11일 / 군주 조선 고종 이형 / 섭정 총리대신 김홍집이름별명 자는 성무(聖武) 또는 성무(盛武), 호는 구당(矩堂), 천민(天民), 구일(矩一)신상정보출생일 1856년 11월 21일 / 출생지 조선 한성부 북촌 계동 / 사망일 1914년 9월 30일(57세) / 사망지 일제강점기 경성부에서 신장염과 과로, 스트레스의 합병증으로 병사 /..

[웹북] 시모노세키조약 (1895년 4월17일)

시모노세키 조약시모노세키 조약 / 유형 조약서명일 1895년 4월 17일 / 서명장소 일본 제국의 기 일본 제국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시 / 서명자 내각총리대신 이토 히로부미, 외무대신 무쓰 무네미쓰 / 북양대신 직례총독 이홍장, 전 출사대신 이경방 / 발효일 1895년 5월 8일 / 주요내용 청국의 조선 독립 확인 및 배상금 2억 냥 지불, 대만과 요동반도 할양관련조약 조일동맹조약요동환부조약시모노세키 조약(일본어: 下關条約 시모노세키조야쿠[*], 중국어 정체자: 馬關條約)은 1895년 3월 20일부터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시에서 전개된 청일전쟁의 강화회의로 체결된 조약으로서 정식명칭은 일청강화조약(일본어: 日清講和条約 닛신코와조야쿠)이다. 하관조약(下關條約), 마관조약(馬關條約)으로도 지칭한다.1895년 ..

[웹북] 청일전쟁 (1894~1895)

청일 전쟁날짜 1894년 7월 25일 ~ 1895년 4월 17일장소 만주와 한반도, 대만, 황해 일대결과일본 제국의 승리 시모노세키 조약 체결청의 조선에 대한 종주권 상실대만 및 펑후 제도가 일본의 영토로 병합랴오둥반도를 일본이 할양받으려고 했으나 삼국 간섭으로 일본의 영유권 포기청 내부에서 변법자강운동 시작교전국청나라의 기 청나라 일본 제국의 기 일본 제국지휘관청나라 광서제청나라 서태후청나라 이홍장청나라 정여창 †청나라 등세창 †청나라 유곤일청나라 마건충청나라 증국번청나라 원세개일본 제국 메이지 천황일본 제국 야마가타 아리토모일본 제국 이토 스케유키일본 제국 노기 마레스케일본 제국 이토 히로부미일본 제국 고다마 겐타로일본 제국 오야마 이와오일본 제국 가와카미 소로쿠일본 제국 오카모토 류노스케병력청나라 ..

[웹북] 양무운동 (1861~1895) - 청말기

양무운동  양무운동 당시 청나라는 열강의 침략적인 아편전쟁, 애로호 사건 등으로 여지없이 약체를 드러냈으며, 안으로는 태평천국의 난으로 인해 봉건적 지배체제가 위기에 빠져 있었다.이런 상황에서 증국번, 이홍장 등 한족 출신 관료들이 근대적인 군사공업을 일으키는 한편, 장지동, 성선회 등은 관상합판사업을 크게 일으켜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었다.초기에는 군사력 증강을 위해 군수 공업의 육성에 중점을 두고 전개되었지만, 1870년대 이후에는 광공업이나 교육 등 다른 부문까지 근대적 개혁이 확산되었다. 이로써 청의 지배 체제를 안정시켰을 뿐 아니라, 중국 사회에 근대적 변화를 가져왔다.그러나 양무운동은 안팎의 여러 장애에 부닥쳐 제한된 성과를 거두는 데 그쳤다. 가장 커다란 한계는 전국적 차원에서 통일된 계획 ..

서울 중랑구 봉화산 정상 (2024년 8월 더운 여름) - 모음 사진

명칭 : 봉화산 위치 : 목동 산 46-1 / 면적 : 1,031,682㎡시설현황 및 특징 : 고도가 낮음에도 불구하고 조선시대 봉수대로 사용했을 만큼 전망이 좋고 남녀노소 누구나 오르기 좋은산봉화산은 중랑구 상봉동,중화동,묵동,신내동에 접하여 있고 정상까지 높이는 160.1m 로 평지에 돌출되어 있는 독립구릉이다. 동쪽에 아차산 주능선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북쪽으로 불암산,도봉산과 양주 일대까지 잘 조망 되며, 서쪽과 남쪽으로도 높은 산이 없어 남산과 이남지역도 잘 보이는 지역이다. 봉화산은 일명 “봉우재”라고 불리는데 1963년 1월 1일 경기도 양주군 구리면에서 서울시에 편입되었다. 봉화산이라는 이름에서 봉화와 관련 있는 지역임을 알 수 있는데 이곳은 북쪽의 한이산으로 부터 연락을 받아 목멱산(남..

도심속 천년사찰 봉은사 탐방 (2024-09-02)

봉은사봉은사종파 조계종 / 건립년대 794년(원성왕 10)위치소재지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 531봉은사(奉恩寺)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수도산 기슭에 있는 사찰이다. 조계종 사찰이며, 신라 말기에 창건된 것으로 알려졌다.역사조선불교의 중흥도량봉은사(奉恩寺)는 신라시대의 고승 연회국사(緣會國師)가 794년(원성왕 10)에 견성암(見性庵)이란 이름으로 창건(創建)했다. 삼국유사에 의하면, 연회국사는 영축산에 은거했던 고승으로 원성왕에 의해서 국사로 임명되었다.성종의 아들이었던 연산군이 왕위에 올랐지만 기행과 폭정을 일삼다가 이복동생이었던 진성대군의 반정으로 물러나고 진성대군이 왕위에 오르니 이가 바로 조선의 11대 임금인 중종이다. 중종의 계비였던 문정왕후는 특별히 봉은사와 인연이 깊은 인물..

강우규 평전 (2015)

책소개3·1운동 이후 최초의 의열 투쟁으로일제총독 재등실에게 폭탄을 던진 65세 노혁명가 강우규!1919년 9월 2일 이후 그는 독립운동의 새로운 전설이 되었다!내가 평생에 세상에 대하여 너무 한 일이 없음이 오히려 부끄럽다. 내가 이때까지 우리민족을 위하여 자나깨나 잊지 못하는 것은 우리나라 청년들의 교육이다. 내가 돌아다니면서 아무리 애를 쓴대야 내가 죽느니만 같지 못할 것 같다. 즉 내가 이번에 죽으면 내가 살아서 돌아다니면서 가르치는 것보다 나 죽는 것이 조선청년의 가슴에 적게나마 무슨 이상한 느낌을 줄 것 같으면 그 느낌이 무엇보다도 귀중한 것이다. 이제 내가 이만큼 애쓰다가 죽는 것은 당연한 일이 아니냐. 조선청년의 가슴에 인상만 배긴다면 그만이다. 내가 죽을지라도 나의 가슴에 한 되는 것은 ..

노구를 민족제단에 바친 의열투쟁가 강우규 (2010)

책소개『강우규: 노구를 민족제단에 바친 의열투쟁가』는 최고령 의열 투쟁가 강우규의 삶을 다룬다. 그는 65세의 고령에도 불구하고 3·1운동의 여파로 하세가와 총독이 물러나고 후임으로 사이토가 부임한다는 소식을 듣고 그를 폭살시키기로 결심한다. 그리고 1919년 9월 2일 부산을 거쳐 남대문역에 도착하자 그를 향해 폭탄을 던져 30여 명에게 중경상을 입힌다. 이 책은 강우규가 3·1운동 이후 민족진영에서 독립투쟁의 한 방향으로 정립된 의열투쟁 노선을 실천했다는 점과, 한국 독립운동사상 최고령자의 폭탄투척의거라는 독특한 역사적 의의에 집중하여 그의 일생을 집중 조명하고 있다.목차글을 시작하며1. 남대문역에 울린 폭탄의 굉음신임 총독 부임을 앞둔 서울천지를 뒤흔든 폭탄 소리콜레라에 폭풍우 피해까지2. 사건의 ..

[웹북] 강우규의사 (1855~1920) - 1919년 조선총독에 포탄

1879 안중근 의사 출생  / 1912 시인 노천명 출생 / 1919 강우규의사 조선총독에 포탄 / 1945 연합군최고 사령부, 미국. 소련 양군의 한반도 분할 정책 발표 / 1975 전국 중앙 학도 호국단 창설 / 1989 제30회 국제 기능 올림픽 페막. 한국 8연패 / 2000 비전향장기수 63명 북한으로 송환  / 2010 태풍 콘파스, 수도권. 강원을 관통하며 한반도를 강타. 강우규 / 신상정보출생 1855년 4월 20일 / 조선 평안도 덕천 / 사망 1920년 11월 29일(65세) / 일제 강점기 경성부 서대문형무소에서 사형(교수형) 집행됨. / 거주지 대한제국 함경남도 홍원 / 성별 남성 / 국적 대한제국 / 본관 금천(衿川) / 직업 독립운동가 겸 한의사 출신 /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추..

[웹북] 안중근 의사 (1879~1910) - 1909년 이토오 히로부미 저격

1879 안중근 의사 출생 / 1912 시인 노천명 출생 / 1919 강우규의사 조선총독에 포탄 / 1945 연합군최고 사령부, 미국. 소련 양군의 한반도 분할 정책 발표 / 1975 전국 중앙 학도 호국단 창설 / 1989 제30회 국제 기능 올림픽 페막. 한국 8연패 / 2000 비전향장기수 63명 북한으로 송환  / 2010 태풍 콘파스, 수도권. 강원을 관통하며 한반도를 강타.  안중근안중근신상정보다른 이름 청계(淸溪) / 아명(兒名): 안응칠(安應七) / 일명(一名): 안다묵(安多默) / 출생 1879년 9월 2일 / 조선 황해도 해주부 / 사망 1910년 3월 26일(30세) / 일본 제국 만저우 지방 관동주 펑톈 성 / 료준 뤼순 감옥 / 성별 남성 / 본관 순흥(順興) / 직업 독립운동가,..

[웹북] 광복절 (8.15해방) 조국 해방의 날

광복절광복절조국해방의 날 / 광복절 조국해방의 날장소 한반도 / 형태 공휴일(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중요도 일제강점기 종료 / 시작 1945년 / 날짜 8월 15일 / 빈도 매년 / 축제 경축 행사 / 행사 일본 제국으로부터의 해방 / 관련 대일 전승 기념일, 3·1절,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기념일광복절(光復節) 또는 조국해방의 날(祖國解放의 날)은 한반도가 일본 제국으로부터 해방된 것을 기념하는 날이다.대한민국대한민국에서는 이를 국경일 및 공휴일로 법제화함으로써 매년 양력 8월 15일에 기념하고 있다. 해방년도인 1945년을 광복절 원년으로 계산한다. 1949년 10월 1일 〈국경일에 대한 법률〉에 따라 국경일 및 공휴일로 지정되어 대한민국에서는 전국적으로 각종 경축 행사가 거행되며, ..

[웹북] 알렉산드로스 대왕 이해하기

알렉산드로스 대왕알렉산드로스 3세마케도니아 국왕 / 재위 기원전 336년 ~ 기원전 323년 / 전임 필리포스 2세 / 후임 알렉산드로스 4세 / 필리포스 3세 / 이집트의 파라오 / 재위 기원전 332년 ~ 기원전 323년 / 전임 다리우스 3세 / 후임 알렉산드로스 4세필리포스 3세페르시아 국왕 / 재위 기원전 330년 ~ 기원전 323년 / 전임 다리우스 3세 / 후임 알렉산드로스 4세 / 필리포스 3세 / 아시아의 군주 / 재위 기원전 331년 ~ 기원전 323년 / 후임 알렉산드로스 4세 / 필리포스 3세 / 이름 / 별호 알렉산더 대왕신상정보출생일 기원전 356년 7월 20일 또는 21일 / 출생지 마케도니아 왕국 펠라 / 사망일 기원전 323년 6월 10일 또는 11일 / 사망지 바빌론 / ..

[웹북] 제1대 조선국왕 - 태조

태조 / 太祖 / 대한제국 추존황제태조 (太祖) 제1대 조선 국왕 / 재위 1392년 7월 17일 ~ 1398년 9월 5일 (음력) / 즉위식 개경 수창궁 / 전임 -후임 정종 / 조선국 태상왕 / 재위 1398년 9월 5일 ~ 1408년 5월 24일 (음력) / 전임 최초의 태상왕 / 후임 태상왕 태종이름휘 성계(成桂) → 단(旦) / 별호 자 : 중결(仲潔) · 군진(君晋) / 호 : 송헌(松軒) · 송헌거사(松軒居士) / 묘호 태조(太祖) / 시호 성문신무정의광덕고황제(聖文神武正義光德高皇帝) / 존호 지인계운응천조통광훈영명(至仁啓運應天肇統光勳永命) / 능호 건원릉(健元陵) / 경기도 구리시 동구릉로 197 / 봉호 화령백(和寧伯)신상정보출생일 1335년 11월 4일 (양력) / 출생지 고려 동북면 ..

[웹북] 일본신화의 이해

일본 신화 신앙 체계 / 신토 사원(신사)주요 신일본 신화(일본어: 日本神話)는 일본의 주류 민족인 야마토 민족에 의해 구전 또는 글로써 전승된 신화를 총칭하는 말이다. 현대 일본 신화로서 전승되는 것의 대부분이 고사기, 일본서기와 일본 각 지방의 신앙에 관해 서술한 풍토기에 기술된 것. 즉 다카마가하라.(高天原)의 신들을 중심으로 하는 신화가 대부분을 차지하지만 그에 대해 상세히 기술한 문헌은 많지 않다.다른 여러 나라의 신화들처럼 일본에 전승되는 각종 신화와 전설도 지역에 따라 천차만별인데, 이에 대해 일본의 사학자인 우에다 마사아키는 일본 각지에는 각각의 형태를 가진 여러 신앙이나 전설이 있었고 이즈모 신화는 그러한 각지 신화들의 대표였지만 야마토 정권 이후 구니쓰 신 또는 봉신(奉神, 일본어: 奉..

[웹북] 유대인에 대하여

유대인 유대인 유대인 총인구2050만 명인구분포이스라엘 이스라엘 6,835,500미국 미국 10,000,000프랑스 프랑스 456,000캐나다 캐나다 390,000영국 영국 370,000아르헨티나 아르헨티나 180,500러시아 러시아 176,000독일 독일 116,000오스트레일리아 호주 140,000브라질 브라질 93,800남아프리카 공화국 남아공 69,300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 53,000헝가리 헝가리 47,500멕시코 멕시코 40,000네덜란드 네덜란드 29,800벨기에 벨기에 29,300이탈리아 이탈리아 27,300콜롬비아 콜롬비아 27,000스위스 스위스 18,700칠레 칠레 18,300우루과이 우루과이 16,900튀르키예 튀르키예 15,300언어히브리어, 영어, 러시아어, 프랑스어,이디시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