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동양철학의 이해 (독서>책소개)/1.동양철학사상 177

개자원화전 (왕개) : 17세기(淸初)에 중한의 뜻있는 문인미객들이 남경(金陵)의 분자원이란 한 별장에 모여서 동양회획의 학습에 필요한 이론과 실기를 자세히 설명 소개한 책이다.

책소개 17세기(淸初)에 중한의 뜻있는 문인미객들이 남경(金陵)의 분자원이란 한 별장에 모여서 동양회획의 학습에 필요한 이론과 실기를 자세히 설명 소개한 책이다. 목차 第一卷 - 名家?缺與理論 〈總說〉 - 33 第二卷 - 樹 譜 - 72 第三卷 - 山石譜 - 157 第四卷 - 人物屋宇譜 - 263 第五卷 - 慕微名家?譜 - 365 第六卷 - 蘭 譜 - 415 第七卷 - 竹 譜 - 481 第八卷 - 梅 譜 - 549 第九卷 - 菊 譜 - 619 第十卷 - 草蟲花卉譜 - 673 第十一卷 - 翔毛花卉譜序 - 771 第十二卷 - 各家名畵 - 879 저자 소개 저 : 이원섭 저 : 홍석창 출판사 리뷰 해 설 -晴江 김 영 기 이.「芬子園畵傳」이란 한마디로 말하면 十七세기(淸初)에 中國의 뜻있는 文人墨客들이 南京(..

역대명화기: 중국 당나라 후기였던 847년, 중국 귀족 출신인 장언원이 저술한 회화 이론과 역사를 종합하고 체계화한 책.

책소개 중국 당나라 후기였던 847년, 중국 귀족 출신인 장언원이 저술한 회화 이론과 역사를 종합하고 체계화한 책. 국내 최초로 완역된 이 책『역대명화기』는 충실한 역주와 풍부한 도판을 수록하고 있다. 이 책 『역대명화기』는 총 10권으로, 1권에서 3권까지의 화론(畵論)에서는 그림의 기원과 정의 및 역사, 그림의 6가지 법칙에 따른 미술 비평, 산수화의 형성과 전개 및 양식적 변천, 작품에 나타난 시대와 풍토 문제, 품평과 그림값, 안료의 종류와 그 배합, 배접과 표구 등 오늘날의 미학, 예술학, 미술사에서 다루는 전반적인 내용을 소개한다. 4권에서 10권까지의 화가전(畵家傳)에서는 고대부터 당나라 회창연간까지 372명의 화가에 대한 비평과 메타비평, 그리고 전기를 연대순으로 다루고 있다. 목차 1권 ..

다경 (육우) : 차 문화의 집대성이자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다학(茶學)의 바이블

책소개 차 문화의 집대성이자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다학(茶學)의 바이블 『다경』의 원문은 약 7,000여 자이다. 어릴 때 돌다리 밑에 버려져 절에서 자라면서 불경과 차를 접한 육우가 21세에 차를 알기 위한 여정을 시작한 후, 그는 한평생을 차를 찾아 남북의 명산대천 곳곳을 두루 돌아다니며 다도에 정진하였다. 그리고 그의 역작 『다경』을 완성하게 된다. 그는 음차란 차를 음미하는 과정이며, 또한 인생을 깨달아가는 과정이라고 말한다. 그러면서 품차(品茶)의 ‘品’을 세 잔의 찻잔이 마주하고 있는 형태라고 비유하면서, “한 잔은 시원하면서도 순일한 차 본래의 맛이고, 두 번째 잔은 인생의 의미를 생각하는 것이며, 세 번째 잔은 인생의 본질적 괴로움에 대해 참오다”라고 말한다. 『다경』은 차를 통해 일종의 ..

천공개물 : 중국고대의 종합기술 서적 '기술백과사전'

책소개 중국고대의 종합기술 서적으로 세계에서 처음으로 농업과 수공업 생산에 대해 종합적으로 기술한 책으로 "기술의 백과사전"으로 불리는 책이다. 중국고대의 각종 기술에 대해 체계적으로 정리하였고, 풍부한 경험에 의한 농업방면에 대한 기술을 비롯하여 당시 발전된 공예기술에 대해서도 전면적으로 설명한다. 이 책은 총 18권으로 이루어져 130여 향의 생산기술과 공구에 대한 명칭, 모양, 제작법 등에 대해 기록하고 있다. 중국의 과학기술을 자세히 다룬 이 책은 중국문화사이자 사상사의 양상을 보여주는 귀한 자료가 될 것이다. 목차 이 책을 읽는 분에게 머리말 상권 1. 곡물 총칭 | 벼 | 거름주기와 가다루기 | 논일구기와 논매기 | 벼의 재해 | 수리 | 밀과 보리 | 밀과 보리 가꾸기 | 밀과 보리의 재해 ..

상한론 강의 (후시수) : 후시수(胡希恕, 1898∼1984) 교수

책소개 이 책은 강의록으로 저자가 학술사상이 이론과 임상 양면에서 고도로 성숙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육경(六經)으로 대다수 상한론 조문을 이해시키는 데 성공하고 있다. 내가 본 가장 간단한 육경이면서 가장 많은 조문에서 효력을 발휘한다. 상한론을 읽어내는 도구로서 육경은 난해한 조문들을 유기적인 관계로 맺어주는 역할에 그 효용이 있다. 여유를 갖고 선생의 강의를 따라가다 보면 선명한 하나의 관점을 습득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저자 소개 _2 추천사 _5 역자 서문 _13 서문 _17 강의를 시작하면서 _21 태양병편상(太陽病篇上): 변태양병맥증병치상(辨太陽病脈證幷治上) _25 태양병편중(太陽病篇中): 변태양병맥증병치중(辨太陽病脈證幷治中) _85 태양병편하(太陽病篇下): 변태양병맥증병치하(辨太陽病脈..

그림으로 풀어쓴 황제내경

책소개 우주만물의 원리를 꿰뚫는 해설과 심오한 음양오행의 진리를 바탕으로, 황제들의 건강법을 흥미진진하게 풀어 냈다. 《황제내경》은 아주 오래 전부터 중국 황제들의 건강과 장수를 다스린 인류 역사상 가장 완벽한 의학서이다. 한의학의 창시자, 황제들의 의사 기백이 집대성한 위대한 고전을 600여장의 생생한 그림과 함께 만나 보자. 글자 하나하나에 새겨진 사상과 원리는 물론 자연에 순응하는 중국식 양생의 지혜까지 고스란히 체험할 수 있을 것이다. 《황제내경》은 역사적으로도, 의학적으로도 매우 높은 가치를 지닌 책이지만 내용의 어려움으로 인해 대중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책은 아니었다. 그리하여 이 책은 길고 어려운 문장 대신 흐름도와 도표, 그림으로 복잡한 과정을 간결하게 표현하였으며 정확한 개념을 전달하기..

황제내경, 인간의 몸을 읽다

책소개 『황제내경, 인간의 몸을 읽다』는 인간의 생명을 통찰한 최초의 고전『황제내경』을 대중적으로 명쾌하게 풀어낸 책이다. 이는 국가급무형유산 명의(名醫) 가문의 계승자이자 철학과 중의학을 중국 최고 권위자들로부터 사사한 중국 3대 석학 장치청 교수의 대표작으로, 전인적인 몸 공부를 통해 자신을 읽어내고 삶의 조화로움을 찾는 방법이 담겨 있다. 인간에게 무엇보다 선결되어야 할 생명 문제를 다룰 뿐만 아니라, 현재에도 끊임없이 그 의미와 방법이 재발견되고 연구된다는 점에서 『황제내경』이 『논어』보다 먼저 읽을 만한 가치가 있다는 것이 곧 저자의 전언이다. 목차 감수의 글 | 『황제내경』, 3천 년을 뛰어넘어 대중과 만나다 들어가는 글 | 우리의 일생이 담긴 고전 『황제내경』 1강『황제내경』을 읽는다는 것의..

본초강목 (이시진) : 명나라의 이시진(李時珍, 1518-1593)이 30여 년에 걸쳐 편찬한 동양 전통의약학 분야 저작

책소개 『본초강목』은 16세기 동아시아 본초학의 발전과 성취를 증거 하는 방대한 분량의 백과사전식 저작물이다. 이 책은 명나라의 이시진(李時珍, 1518-1593)이 30여 년에 걸쳐 편찬한 동양 전통의약학 분야 저작 가운데 최고봉에 속하는 책의 하나로 1590년에 완성되었다. 『본초강목』은 총 52권, 글자 수로는 1,900여만 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1,892종의 약물과 11,096 가지의 의방(醫方, 처방)을 수록하고 있다. 또 약재를 16부(部), 60류(類)로 나누었으며, 1,160폭의 삽화를 수록하였다. 『본초강목』이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은 선조 이후로 추정된다. 아직 충분한 연구가 진행되지 않아 정확하고 구체적인 정황을 열거하기 어렵지만, 이 책은 우리나라의 의약학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

고문진보 후집 : 전국 시대부터 당송 시대까지의 시와 산문 가운데서 명편만을 모은 고전 중의 고전

책소개 동양 고전 번역의 새로운 전범을 보여 주었던 을유문화사 『고문진보』가 새로운 디자인과 편집으로 다시 태어났다. 『고문진보』는 전국 시대부터 당송 시대까지의 시와 산문 가운데서 명편만을 모은 고전 중의 고전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오래전부터 옛 문인들의 필독서로 자리 잡았으며, 사서삼경 다음으로 많이 읽힌 문장의 보고로 전해진다. 중어중문학 전문가들의 철저한 고증과 친절한 주석, 한글세대를 고려한 섬세한 번역을 바탕으로 한 을유문화사판 『고문진보』를 통해 독자들은 보물 같은 문장들의 정취를 충분히 음미하며 즐길 수 있을 것이다. 목차 3판을 내면서 개정판을 내면서 해제: 참된 보물이 담긴 책, 『고문진보』 권 1 1. 슬픔을 만나(離騷)ㆍ굴원 2. 어부와의 대화(漁父辭)ㆍ굴원 3. 진나라 임금이 다른 ..

고문진보 전집 : 도연명,이백, 두보. 백거이. 소식 등 대가들의 명문장이 한자리에

책소개 동양 고전 번역의 새로운 전범을 보여 주었던 을유문화사 『고문진보』가 새로운 디자인과 편집으로 다시 태어났다. 『고문진보』는 전국 시대부터 당송 시대까지의 시와 산문 가운데서 명편만을 모은 고전 중의 고전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오래전부터 옛 문인들의 필독서로 자리 잡았으며, 사서삼경 다음으로 많이 읽힌 문장의 보고로 전해진다. 중어중문학 전문가들의 철저한 고증과 친절한 주석, 한글세대를 고려한 섬세한 번역을 바탕으로 한 을유문화사판 『고문진보』를 통해 독자들은 보물 같은 문장들의 정취를 충분히 음미하며 즐길 수 있을 것이다. 목차 3판을 내면서 개정판을 내면서 해제: 참된 보물이 담긴 책, 『고문진보』 권학문(勸學文) 1. 학문을 권하는 글(勸學文)ㆍ진종황제 2. 학문을 권하는 글(勸學文)ㆍ인종황제..

왕안석 시선 : 王安石 (1021∼1086) 그가 평생 지은 수는 1600여 수

책소개 왕안석 하면 바로 생각나는 건 신법, 개혁, 정치가다. 그가 문장으로 유명한 당송팔대가 중 한 명이라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하물며 시라니? 그가 시도 썼던가? 놀라지 마시라. 그가 평생 지은 수는 1600여 수에 달한다. 위대한 개혁 사상가의 얼굴에 가려진 천재 시인 왕안석을 새로이 만나 보자. 저자 소개 저자 : 왕안석 王安石 왕안석(1021∼1086)은 자가 개보(介甫), 노년의 호는 반산(半山)이며 임천[臨川, 현 장시성 푸저우] 출신이다. 가난하지만 올곧은 사대부 가문에서 태어나 22세에 과거 시험에 합격한 뒤 지방관이 되어 여러 곳을 전전하다가 39세에 중앙 관직으로 진출하게 되자 인종에게 개혁의 필요성을 역설한 장문의 글을 올렸다. 그리고 신종이 즉위하자 49세 때부터 부재상..

당송 팔대가문 초 (왕안석) : 당과 송의 대표적 고문가 8인의 문집에 수록된 고문 가운데 명문을 선별

책소개 당과 송의 대표적 고문가 8인의 문집에 수록된 고문 가운데 명문을 선별하여 《당송입대가문초》 중 왕안석의 문 전편을 최초로 완역한 것이다. 11세이 송나라의 개혁을 주도하고 후대에도 큰 영향을 끼쳤던 위대한 정치가 겸 사상가인 왕안석이 남긴 문장을 문학으로서의 가치뿐만 아니라 한 시대의 역사와 사상을 연구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가 될 것이다. 목차 東洋古典譯註叢書를 발간하면서 譯者 序文 解題 凡例 參考書目 目次 王文公文抄引 王文公本傳 卷1 上書 卷2 箚子·疏·狀 卷3 表·啓 卷4 書 卷5 書 卷6 序 卷7 記 卷8 記

소동파 산문선 (蘇東坡)

책소개 '큰글씨책 지식을만드는지식 세계문학선집'. 우리나라 문단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중국 문학가를 꼽는다면 단연 소동파다. 김부식과 김부철의 이름은 바로 동파와 그 아우의 이름을 딴 것이고, 고려 시대에는 그의 시문이 유행한 나머지 이규보가 매년 과거 시험이 끝나면 서른 명의 소동파가 나온다고 할 정도였다. 4000편에 달하는 그의 산문 중 대표작들을 골라 엮었다. 당송팔대가의 이름이 명불허전임을 알 수 있다. 목차 형벌과 포상을 지극히 충후하게 함에 관해 논함(刑賞忠厚之至論) ······3 남행전집서(南行前集敍) ·············12 유후론(留侯論) ··················15 봉상 태백산의 기우제 축문(?翔太白山祈雨祝文) ··25 희우정기(喜雨亭記) ···············28..

구소수간 : 중국의 대문호 구양수와 소동파의 편지글

책소개 『구소수간』은 중국 북송의 대문호로 알려진 구양수와 소동파가 쓴 편지를 엮은 책으로 세종대왕이 수 십 번이나 탐독한 책으로 유명하다. 『구소수간』은 구양수의 편지글 ‘여릉 상하’와 소동파의 편지글 ‘동파 상하’로 되어 있다. 목차 제1장 『구소수간』 여릉 상 1. 매성유에게 보내는 편지[與梅聖兪] 2. 대제 등자경에게 보내는 편지[與?待制子京] 3. 연서 직방에게 답하는 편지[答連庶職方] 4. 연상 낭중에게 답하는 편지[答連庠郞中] 5. 장직방에게 보내는 편지[與張職方] 6. 왕낭중에게 보내는 편지[與王?中] 7. 곽형부에게 답하는 편지[答郭刑部] 8. 주직방에게 보내는 편지[與朱職方] 9. 채성부에게 보내는 편지[與蔡省副] 10. 급사 오중부에게 보내는 편지[與吳給事中復] 11. 이유후에게 보내..

소동파 시선 : 송나라 제1의 시인

책소개 과거시험 이후에 시 짓는 법을 배우기 시작하여 매년 과거 방이 나붙은 뒤에 서른 명의 소동파가 나왔다는 이규보의 말대로 한반도 시풍을 선도했던 소동파의 시문. 백문이 불여일견이라고, 우리 조상들이 왜 그렇게 소동파의 시에 열광했는지 직접 한번 맛보고 판단하시라! 목차 1. 설니홍조(雪泥鴻爪) 소군촌 昭君村 설니홍조 和子由?池懷舊 소요대 逍遙臺 사주 승가탑 泗州僧伽塔 공을 보는 누각 吉祥寺僧求閣名 망호루에서 술에 취해 제5수 六月二十七日望湖樓醉書五絶其五 법혜사 횡취각 法惠寺橫翠閣 어잠 스님의 녹균헌 於潛僧綠筠軒 초산 윤장로의 벽에 書焦山綸長老壁 백보홍 百步洪 거문고 소리는 어디서 날까 琴詩 여산진면목 題西林壁 학 鶴歎 담이에서 ?耳 금산사의 초상화 앞에서 自題金山?像 2. 서호(西湖)는 월 서시(越..

이욱 사집 (이욱) : 사(詞)는 당대 중엽에 발생해서 송대에 유행하다가 송의 멸망과 함께 사라진 장르다.

책소개 사(詞)는 당대 중엽에 발생해서 송대에 유행하다가 송의 멸망과 함께 사라진 장르다. 사는 현재의 관점에서 보자면 당연히 시(운문)의 범주에 속하기 때문에 사를 시라고 해도 틀린 말은 아니다. 그러나 중국에서 사와 시는 표현하는 내용과 사용 어휘도 다르다. 게다가 사는 대부분 악곡에 맞춰 노래하기 위한 가사로 지어졌다는 점이 시와 비교해 가장 큰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사는 이처럼 시와 유사하면서도 다르다. 『이욱 사집』나라가 망하는 순간에도 사(詞)의 구절을 놓고 고민하고 있었다고 비난받는 남당의 마지막 황제 이욱의 작품집이다. 그러나 그의 작품을 보면 누구나 인정할 수밖에 없다. 그는 황제이기 이전에 예술가였다는 것을. 그 누구도 따라올 수 없는 화려하고 우아한 표현, 섬세하고 처연한 감성의..

이상은 시선 : 이상은(李商隱, 812∼858)은 만당(晩唐)의 시인

책소개 만당을 대표하는 시인 이상은. 불운한 인생을 시로 승화했기에 슬픔의 시인으로 불리기도 한다. 정치적 이상과 우정을 노래했던 중국 시단에 애정시의 아름다움을 깊이 각인했다. 기려한 표현, 정교한 구성, 섬세한 감성, 풍부한 전고, 그리고 그 밑에 흐르는 깊은 슬픔을 느껴 보자. 목차 1. 생활 낙씨(駱氏)의 정자에 묵으며 최옹(崔雍), 최연(崔袞)을 그리며 낭중 영호도(令狐?)에게 부침 일상의 나날 담주에서 두목에게 장난꾸러기 처남 왕십이(王十二)와 동서 한첨(韓瞻)이 방문해 술 마시자 청했지만, 아내의 상중이라 가지 않고 시를 부치다 두보가 촉에서 떠나가며 2월 2일 밤에 술 마시며 한악(韓?)이 즉석에서 시를 지어 송별해 좌중이 모두 놀랐다. 훗날 한가로워 ‘며칠 밤 계속해서 모시고 앉아 오래 ..

백거이 : 당나라의 위대한 시인 백거이의 대표작

책소개 당나라의 위대한 시인 백거이의 대표작을 모았다. 백거이는 일생 동안 3000여 편에 달하는 시를 남겨 놓아 당나라 시인 중에 가장 많은 작품을 남긴 시인이며, 이백(李白)과 두보(杜甫) 이후 가장 위대한 시인이라 할 수 있다. 그동안 국내에는 한적시 위주로만 소개되었으나 이 시집에는 그의 풍유(諷諭)·한적(閑適)·감상(感傷)·잡률(雜律)시를 시기별로 고루 실었다. 그의 시는 동네 할머니나 어린아이조차도 이해할 수 있을 만큼 쉽다. 그렇기에 더욱 누구에게나 감동을 준다. 목차 오래도록 그리워하다(長相思) 남몰래 하는 이별(潛別離) 보리 베는 것을 바라보며(觀刈麥) 과중한 세금(重賦) 벗으로 인한 상심(傷友) 신풍의 팔 자른 노인(新.折臂翁) 숯 파는 노인(賣炭翁) 애초에 원진과 이별한 후에 갑자기 ..

당시선 (이반룡) : 초당, 성당, 중당, 만당의 시기에 괄목할 만한 특징을 보여주는 대표 시인의 대표작

책소개 중국 시사(詩史)에서 당시(唐詩)는 최고의 성취를 이룬 분야로, 중국 문화의 정화(精華)라 할 수 있다. 이 시기에 창작된 작품 수는 이전 시기의 것을 합한 것보다 많으며, 질적으로도 최고의 경지에 이르러, 율시와 절구 등의 근체시가 완성되었고 고체시가 더욱 완숙해졌다. 갖가지 시재(詩材)와 인간 정서가 시에서 다루어졌으며 기법도 다양하고 세련되어졌다. 이렇게 당시는 그것이 비록 한자로 엮이고 중국의 시문학사 발전 과정에서 형성된 것이기는 하나, 우리나라와, 일본 등을 포함한 이른바 한자문화권 구성원 전체가 공유하는 문화유산이다. 이 책 『당시선』은 초당, 성당, 중당, 만당의 시기에 괄목할 만한 특징을 보여주는 대표 시인의 대표작을 뽑아 우리말로 옮기고, 해설과 주석을 곁들였다. 독자들에게는 동..

두보 시선 : 시의 성인, 역사가 남긴 향기

책소개 당시, 노자, 장자, 논어, 선시, 불교대전 등의 고전을 40여 년 동안 우리말로 갈고 다듬어 온 노시인 이원섭이 심혈을 기울여 번역한 120여 편의 두보 시를 모아놓았다. 두보의 일생, 시의 경향을 한 눈에 볼 수 있으며, 한시의 은은한 맛을 만끽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두보의 시를 다시 펴내며 1. 꽃이 지는 강촌 절구 1 절구 2 달 달 곡강 1 (...) 2. 우정의 푸른 물결 이귀년 이백에게 왕랑을 전송하면서 음중판선가 조장군에게 (...) 3. 역사가 남긴 향기 우임금 사당에서 선주의 묘에 배알하고 소릉에서 다시 소릉에 와서 노자의 사당에서 (...) 4. 전쟁이 할퀴고 간 상처 왕손을 슬퍼함 행재소에 도착하여 1 행재소에 도착하여 2 행재소에 도착하여 3 술회 (...) 5. 나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