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책소개
탁월한 20명의 목회자요, 신학자들이 영원한 가치를 지닌 성경에 충실한 위대한 청교도들의 고전을 알기 쉽게 설명하고 있는 책이다. 이 책은 청교도들이 누구인지, 어떠한 사람들인지를 알 수 있도록 도와주며 청교도의 대략적인 역사도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오늘날에도 여전히, 아니 오늘날이야말로 더욱 읽혀야 하는 성경에 충실한 위대한 교리들을 만나볼 수 있는 동시에 윌리엄 퍼킨스부터 조나단 에드워즈에 이르기까지 탁월한 성경교사/교리교사들의 진리의 위대한 보고를 맛볼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청교도 역사 주요 사건
이 책에서 다루는 청교도 고전
1. 청교도는 어떤 사람들이었는가
켈리 카픽 & 랜들 글리슨
2. 윌리엄 퍼킨스(1558~1602)의 『설교의 기술』
폴 셰퍼
3. 윌리엄 에임스(1576~1633)의 『신학의 정수』
조엘 비키 & 얀 반 빌렛
4. 존 코튼(1584~1652)의 『생명의 원천이신 그리스도』
찰스 햄브릭-스토우
5. 리처드 십스(1577~1635)의 『상한 갈대』
로날드 프로스트
6. 새뮤얼 러더퍼드(1600~1661)의 『서한집』
존 코피
7. 토머스 굿윈(1600~1680)의 『의롭게 하는 신앙의 대상과 행위』
마이클 호튼
8. 토머스 셰퍼드(1605~1649)의 『열 처녀 비유』
랜들 글리슨
9. 존 밀턴(1608~1674)의 『실낙원』
릴런드 라이켄
10. 리처드 백스터(1615~1691)의 『참된 목자』
폴 장하림
11. 존 오웬(1616~1683)의 『하나님과의 교제』
켈리 카픽
12. 존 번연(1628~1688)의 『천로역정』
제임스 패커
13. 토머스 왓슨(D.1686)의 『신학의 체계』
윌리엄 바커
14. 존 플라벨(1628~1691)의 『섭리의 신비』
싱클레어 퍼거슨
15. 존 하우(1630~1705)의 『하나님을 즐거워하는 법』
마틴 서덜런드
16. 매튜 헨리(1662~1714)의 『기도의 방법』
리건 덩컨 Ⅲ
17. 앤 브래드스트리트(1612~1672)와 에드워드 테일러(1642~1729)의 시
마크 놀
18. 토머스 보스턴(1676~1732)의 『네 가지 상태 속에 있는 인간의 본성』
필립 라이켄
19. 조나단 에드워즈(1703~1758)의 『신앙감정론』
스티븐 홈스
20. 맺는말 청교도와 영적부흥
리처드 러브레이스
기고자 소개
인명 색인
이 책에서 다루는 청교도 고전
1. 청교도는 어떤 사람들이었는가
켈리 카픽 & 랜들 글리슨
2. 윌리엄 퍼킨스(1558~1602)의 『설교의 기술』
폴 셰퍼
3. 윌리엄 에임스(1576~1633)의 『신학의 정수』
조엘 비키 & 얀 반 빌렛
4. 존 코튼(1584~1652)의 『생명의 원천이신 그리스도』
찰스 햄브릭-스토우
5. 리처드 십스(1577~1635)의 『상한 갈대』
로날드 프로스트
6. 새뮤얼 러더퍼드(1600~1661)의 『서한집』
존 코피
7. 토머스 굿윈(1600~1680)의 『의롭게 하는 신앙의 대상과 행위』
마이클 호튼
8. 토머스 셰퍼드(1605~1649)의 『열 처녀 비유』
랜들 글리슨
9. 존 밀턴(1608~1674)의 『실낙원』
릴런드 라이켄
10. 리처드 백스터(1615~1691)의 『참된 목자』
폴 장하림
11. 존 오웬(1616~1683)의 『하나님과의 교제』
켈리 카픽
12. 존 번연(1628~1688)의 『천로역정』
제임스 패커
13. 토머스 왓슨(D.1686)의 『신학의 체계』
윌리엄 바커
14. 존 플라벨(1628~1691)의 『섭리의 신비』
싱클레어 퍼거슨
15. 존 하우(1630~1705)의 『하나님을 즐거워하는 법』
마틴 서덜런드
16. 매튜 헨리(1662~1714)의 『기도의 방법』
리건 덩컨 Ⅲ
17. 앤 브래드스트리트(1612~1672)와 에드워드 테일러(1642~1729)의 시
마크 놀
18. 토머스 보스턴(1676~1732)의 『네 가지 상태 속에 있는 인간의 본성』
필립 라이켄
19. 조나단 에드워즈(1703~1758)의 『신앙감정론』
스티븐 홈스
20. 맺는말 청교도와 영적부흥
리처드 러브레이스
기고자 소개
인명 색인
책 속으로
청교도 운동의 본질을 경험하는 최상의 길은 청교도 본문을 읽어 보는 것이다. 만일 청교도 고전이 모든 시대를 망라하여 대중성을 갖고 있는 작품을 의미한다면, 그 안에 드는 작품은 우리가 이 책에서 엄선한 작품 가운데 몇 권으로 한정될 것이다. 번연의 『천로역정』과 밀턴의 『실락원』을 제외하고, 여기서 소개하는 대다수 고전은, 원본이 출판된 후 많은 재판이 나왔지만, 오늘날 방치 상태에 있기 때문에 선정되었다. 각각의 고전은, 미래 세대에 대해 중대한 약속을 제공하는 것만큼 과거 세대에 큰 도움과 자양분이 되었던 작품이다. 이 책들이 현대에 방치되고 있다고 해서 이 책들이 받아야 할 관심을 박탈해서는 안 된다.
--- 본문 중에서
추천평
월리엄 에임스부터 토머스 왓슨까지, 존 번연부터 리처드 십스까지 청교도를 대표하는 인물들의 고전 작품을 통해 청교도 신학을 소개하는 것은 탁월한 생각이다. 최고의 복음주의 학자들이 팀을 이루어 이 일을 해냈다. 여기에 교리적인 정확성과 성경에 대한 충실함, 목회적인 통찰력이 있다. 여기에 지식과 지혜, 알레고리와 시가 있다. 이 책을 들고 읽으라.
폴 헬름(리전트 대학)
폴 헬름(리전트 대학)
참으로 우리가 필요로 했던 17세기 청교도주의 고전에 대한 이 친절한 안내서는 오랫동안 잊혀진 작품들에 다시 생기를 불어넣어 새로운 세대들에게 복음주의적 영성의 진수를 맛보게 해 줄 것이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존 번연에서 우리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존 하우에 이르기까지, 이 청교도 작품은 현대 교회를 형성하고 유지하고 있는 우리 개신교 신앙 유산의 막대한 부유함을 보여 준다.
제럴드 브레이(샘포드 대학 신학 교수)
제럴드 브레이(샘포드 대학 신학 교수)
우리 기독교인들의 교리와 삶에 대한 청교도의 심오한 공헌에도 불구하고, 청교도 작품에 대한 믿을만한 안내서는 거의 없다. 통찰력 있고, 읽기 쉽고, 학문적인 깊이가 있는 이 글들은 우리 마음을 넓혀 주고, 우리를 하나님 앞에서 살도록 도와준다.
스티븐 스펜서(휘튼 대학 신학 교수)
스티븐 스펜서(휘튼 대학 신학 교수)
이 책은 아주 탁월하다. 카픽과 글리슨은 아주 중요한 청교도 문헌을 탐구할 수 있는 인상적인 글들을 편집했다. 청교도 고전에 대한 안내서인 이 책은 청교도주의가 신학적, 교회적, 정치적 다양성을 가진, 정의하기 어려운 운동임을 지적한다. 그러나 편집자들과 기고자들은 300년의 시간과 여러 대륙을 관통하는 사상을 연결시키는 어떤 것이 있음을 보여 준다. 이 책은 일반 대학과 신학 대학 모두에게 모두 환영받게 될 것이다.
프랭크 제임스 3세(리폼드 신학교 역사신학 교수)
프랭크 제임스 3세(리폼드 신학교 역사신학 교수)
'46.기독교신학 (연구>책소개) > 5.청교도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교도 이 세상의 성자들 (2003) (0) | 2023.11.09 |
---|---|
청교도 신앙 - 그 기원과 계승자들 (2019) (0) | 2023.11.09 |
청교도 신학의 모든 것 (2015) (0) | 2023.11.09 |
청교도 역사 (2005) (0) | 2023.11.09 |
개혁주의 청교도 영성 (2009) - 기독교 신앙의 진수를 보여주는 종교개혁자들과 청교도 연구 (0) | 2023.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