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0266

인천의 산업과 노동 (2023)

책소개인천은 한국 근대사의 관문이었습니다. 일본의 요꼬하마, 중국의 텐진과 함께 동아시아의 개항을 상징하는 장소였습니다. 다양한 외국인들이 거주하는 지역이었으며, 그로 인해 상업활동이 활발한 지역이었습니다. 외국인들의 거주가 늘어나면서 외국의 영사관이 설치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인천 지역의 산업도 발전할 수 있었습니다. 개항 이후 한국의 근대 경제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지역이었던 것입니다.이 책은 5개의 주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인천 지역의 성격을 반영하여 19세기 후반 외국인 거주자들의 신분 규정, 일제강점 초기 상인들의 동향, 태평양 전쟁 시기 강제동원의 양상, 1960년대 정유산업의 발전, 그리고 1970년대 산업선교 활동을 통해 본 노동자들의 일상과 항거가 그 내용입니다. 각각의 글들이 서로 ..

질서 너머 (2021) - 인생의 다음 단계로 나아가는 12가지 법칙

책소개피터슨이 돌아왔다전 세계 젊은이들을 열광시킨 ‘인생 법칙’의 완결판‘세상을 탓하기 전에 방부터 정리하라’ ‘어깨를 펴고 똑바로 서라’ 등 명징한 조언을 담은 『12가지 인생의 법칙』으로 전 세계 500만 부 판매고를 올린 전 하버드대 심리학 교수 조던 피터슨이 3년 만에 신작 『질서 너머』로 돌아왔다.왜 '질서 너머' 인가? 당신은 자신이 누구일 수 있는지, 최고의 모습을 상상하고 추구해야 마땅하다(법칙2). 그것이 진짜 인생이니까. 질서는 혼돈의 해독제가 될 수 있지만 완벽하지 않다. 끝없이 변화하는 세상에서 자신이 이미 아는 것 얻은 것에 안주한다면 아무리 어렵게 얻었던들 그 질서는 딱딱하게 굳어버린다. 본래 질서와 혼돈은 어느 것이 더 좋다 말할 수 없고, 만물은 그 사이를 끝없이 오간다. 당..

부자들의 서재 (2025) - 전 세계 상위 1% 부자들의 인사이트 30

책소개읽고 행동하라!그리고 끝내 부자가 되어라!이제 당신의 차례다!성공한 사람들은 의외로 자신만의 공식과 원칙을 세상에 나누고 싶어 한다. 무엇을 바꾸어야 하는지, 얼마나 노력해야 하는지, 스스로 어떤 과정을 겪었는지 아낌없이 이야기한다. 그들은 강연, 세미나, 오디오북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성공 공식을 전하는데, 그중 가장 접하기 쉬운 것이 바로 책이다. 책은 시간이 지나도 사라지지 않고, 필요할 때마다 다시 꺼내 볼 수 있으며, 무궁무진한 가치를 가지고 있고, 비교적 저렴하기까지 하다. 그러나 우리는 “성공하고 싶다.”, “부자 되고 싶다.”라고 숨 쉬듯 이야기하면서도 그들이 남긴 지혜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다. 그저 흘려듣거나 무심히 넘길 뿐이다. 이 책의 저자인 리치파카 역시 크게 다르지 않은 삶을..

[웹북] 아나키즘

아나키즘아나키즘(영어: Anarchism, 프랑스어: Anarchisme)은 모든 형태의 권위에 반대하고 불필요한 강압을 포함해 사회 계층을 유지하려고 노력하는 국가와 자본주의를 없애려는 정치 철학이자 운동이다. 아나키즘은 국가를 무정부 사회 혹은 자유연합적 조합으로 대체할 것을 주장하며, 역사적으로 이어져온 좌익 운동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무정부 상태를 주장하는 아나키즘은 정치적 스펙트럼에서 극좌에 위치하며, 사회주의 운동의 자유지상주의적 진영, 즉 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에 속했다. 아나키즘의 사상적 흔적은 인류의 역사 전반에 걸쳐 분포했지만, 현대 아나키즘은 계몽시대에 등장했다.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반까지의 아나키즘은 전 세계적으로 노동자들의 해방 투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면서 다양한 학..

[웹북] 국가주의

국가주의국가주의(영어: Statism)는 국가를 가장 우월적인 조직체로 인정하고 국가 권력이 경제나 사회 정책을 통제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신조를 의미한다. 형태국가주의는 최소정부주의(minarchism)부터 전체주의까지 여러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최소정부주의는 자본주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사법집행 기관만을 인정하는 야경국가 체제를 의미한다.복지국가와 다른 온건한 형태의 국가체제 역시 국가주의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전체주의는 최대한의 통제적인 국가를 의미한다. 국가, 사회와 개인국가주의(statism) 이데올로기는 개인의 자유와 권리는 자연 상태에서는 결코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보장받고 사회적인 안정을 꾀하기 위해서 국가는 절대적으로 우선시되어야 하며 이것이야말로 시..

[웹북] 나치즘

나치즘민족사회주의(民族社會主義, 독일어: Nationalsozialismus 나치오날조치알리스무스, 독일어 발음: [nat͡si̯oˈnaːlzot͡si̯aˌlɪsmʊs]) 또는 국민사회주의(國民社會主義), 국가사회주의(國家社會主義)는 인종주의 및 반유대주의와 결합한 나치당 특유의 전체주의 사상이다. 오늘날에는 본래 멸칭이었던 나치즘(영어: Nazism)이라는 이름으로 흔히 일컬어진다. 나치즘은 파시즘과 인종주의를 조합한 사상이며, 그를 뒷받침하는 우생학을 필두로 한 전체주의 사상의 일부이다. 국가사회주의의 이념은 나치 독일의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이 실행했다. 독일에서 최초로 발생한 원류 나치즘은 파시즘 이론을 포함하고 독일의 우익 민족주의를 배경으로 한 인종주의적 논리에 그 뿌리를 두고 있었다. 현..

[웹북] 파시즘

파시즘파시즘(이탈리아어: fascismo, 영어: fascism, 독일어: Faschismus, 중국어: 法西斯主義, 문화어: 파쑈)은 이탈리아에서 생겨난 사상으로 정치적으로 급진적이며 민족주의, 반공주의, 국가주의, 전체주의, 권위주의 성향을 보인다. 경제적으로는 형식적으로 자본주의와 국제적 사회주의 양방에 대한 대안으로서 협동조합주의를 표방하나 실질적으로는 사적 소유권을 기반으로 한 반공주의적 국가자본주의를 선호한다. 시민 지지자들이 우익 성향쪽으로 쏠리면서 반자본주의 가치가 사라지고 점점 반공주의로 변화되고 가치가 심화되면서 극-반공주의, 극우적 사상으로 변화되는 후기 파시즘도 파생되었다. 파시즘에서 후기 파시즘이라는 것이 파생되었는데 이는 국가사회주의 사상에서 반공주의가 추가된 사상이다. 특히 국..

[웹북] 민족주의

내셔널리즘민족주의민족주의(民族主義, 영어: ethnonationalism) 또는 민족 국민주의(영어: ethnic nationalism)는 민족(ethnic group)에 대해 가지는 소속감이나 애착심, 그리고 그것을 강조하여 국민(nation)을 정의하는 내셔널리즘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내셔널리즘 내에서 시민 내셔널리즘에 대립하는 용어로 쓰인다. 민족주의는 인종 등 불변하게 계승되는 명확한 혈통적 뿌리에 기반하는 경우도 있지만, 정체성, 역사, 언어 등 모호한 기준을 가지기도 한다. 민족의 범위에 대한 정의에 따라 범아랍주의나 범슬라브주의와 같은 범민족주의의 형태로 나타나는 사례도 있다. 근대 이탈리아와 독일에서 일어난 통일 국가 수립 운동이나 제1차 세계대전 이후 많은 지역에서 발흥한 민족자결주의 ..

[웹북] 제국주의

세실 존 로즈의 케이프-카이로 철도 계획을 풍자한 그림. 그는 브리티쉬 남 아프리카 회사의 사장이자 아프리카에서 최초로 다이아몬드 채굴 사업을 한 사람이었다. 그는 케이프 타운에서 카이로까지 철도를 놓아 아프리카 지도를 영국의 붉은 색으로 칠하기를 주장하였다.제국주의제국주의(帝國主義, 영어: Imperialism)는 특정국가가 다른 나라, 지역 등을 군사적, 정치적, 경제적으로 지배하려는 정책, 또는 그러한 것을 목적으로 하는 사상을 가리킨다. 엄밀히 정의하면 영향력, 즉 패권보다는 영역의 차지를 확대하는 정책 또는 사상을 가리킨다.개요제국주의라는 말의 어원은 라틴어의 imperium(제국), imperator(황제)인데, 프랑스의 나폴레옹 1세와 3세의 로마제국 재현(再現)의 시도를 제국주의라 하였다...

[웹북] 전체주의

전체주의전체주의(이탈리아어: totalitarismo, 영어: totalitarianism, 全體主義)는 공동체, 국가, 이념을 개인보다 우위에 두고, 개인을 전체의 존립과 발전을 위한 수단으로 여기는 사상이다. 유래이탈리아의 독재자였던 베니토 무솔리니는 1920년대 초반에"국가 안에 모두가 있고, 국가 밖에는 아무도 존재하지 않으며, 국가에 반대하는 그 누구도 존재하지 않는 것(Tutto nello Stato, niente al di fuori dello Stato, nulla contro lo Stato.)"이라고 기술했다. 이후 이탈리아의 정치인이자 언론인인 조반니 아멘돌라(Giovanni Amendola)가 무솔리니와 그의 추종자들의 정치 현상을 묘사하기 위해 최초로 ‘토탈리타리스모’(Totali..

[웹북] 사회주의

사회주의노동당[목록]민주사회당[목록]사회당[목록]좌파당[목록]국제노동자협회 (IWA, 1864 - 1876)페이비언 협회 (FS, 1884 - )제2인터내셔널 (ZI, 1889 - 1916)세계사회주의운동 (WSM, 1904 - )노동사회주의 인터내셔널 (SAI, 1923 - 1940)아랍 사회주의 부흥당 (ABP, 1926 - )세계민주청년연맹 (WFDY, 1945 - )상파울루 포럼 (FSP, 1990 - )유럽 연합 좌파-북유럽 녹색 좌파 (GUE/NGL, 1995 - )사회주의의 상징인 붉은 색사회주의(社會主義, 독일어: Sozialismus, 러시아어: Социализм, 프랑스어: Socialisme, 중국어: 社会主义, 영어: Socialism)는 생산수단을 공동으로 운영하는 협동 경제와 모..

내전은 어떻게 일어나는가 (2025)

책소개우리는 민주주의가 확고한 안정성을 지녔고 위기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금세 회복력을 발휘할 수 있다고 믿어 왔지만, 오판이었다. 이제는 사정이 완전히 달라졌다. 미국을 비롯해 점점 더 많은 국가가 독재autocracy도 민주주의democracy도 아닌 중간 상태, 〈아노크라시anocracy〉로 추락하고 있다. 눈앞에서 민주주의의 쇠퇴를 목격한 한국도 이 대열에 합류한 듯 보인다.저자 바버라 F. 월터는 전 세계의 정치적 혼란과 사회적 분열을 조명하고, 파벌화와 극단주의를 심화시키는 요인을 분석한다. 이로써 오랫동안 탄탄한 민주주의를 유지해 온 국가들조차 더 이상 안전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실제로 지난 20년간 전 세계에서 발발한 내전의 횟수는 그 전보다 두 배 가까이 늘었다. 다만 1860년대의 미국이..

우리의 싸움은 아직 시작도 하지 않았다 (2024) - 멈춰버린 세상을 앞으로 나아가게 하는 법

책소개망가져가는 세상을 구하는 시민 저항의 힘!세상은 암울하고 미래는 희망 없어 보인다. 사람들은 세상이 점점 좋아진다는 믿음을 잃었으며, 특히 젊은 세대일수록 더 비관적이다. 우리가 아끼고 사랑하는 모든 것, 생태환경, 풍요, 안정, 자유, 평등, 민주주의까지 위기에 처했지만, 다들 ‘할 수 있는 게 없다’며 수수방관하고 있다. 이대로 세상이 망가져가는 것을 지켜만 봐야 하나?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없는가? 이 책은 ‘아니!’라고 분명한 목소리로 말한다. 우리에겐 파국을 향해 폭주하는 열차를 막을 힘이 있다. 더 나은 방향으로 변화를 일으킬 힘이 있다. 『세상은 이야기로 만들어졌다』의 저자 프리데만 카릭은 이 책에서 차분하지만 열정적으로, 우리에게 이 사실을 선명하게 보여준다.저자는 혁명의 3.5%..

코발트 레드 (2025) 콩고의 피는 어떻게 우리 일상을 충전하는가

책소개2024 퓰리처상 일반 논픽션 부문 최종 후보〈뉴욕 타임스〉 〈퍼블리셔스 위클리〉 베스트셀러, 〈파이낸셜 타임스〉 올해의 최고 비즈니스 도서상 후보아프고 슬픈 ‘코발트’ 광산 탐사기!우리 일상을 충전하는 광물 때문에 스러져간 사람들의 핏빛 절규100여 년 전, 에드먼드 모렐은 콩고자유국을 “잔인함의 악취가 진동하는 거대한 노예 농장”이라고 묘사했다. 코발트 채굴장은 이 노예 농장의 완성판이다. 경제 사슬의 맨 밑바닥에 있는 아프리카인을 착취함으로써, 인건비가 거의 없다시피 한데도 위선적인 인권 보호 선언을 내세운 기민한 혼돈 전략 때문에 모든 관계자의 책임이 면제받는다. 그야말로 절대적 이익을 위한 절대적 착취 시스템이다. 코발트 광산업은 콩고 국민을 학대해온 ‘거대하고 잔혹한’ 거짓말의 기나긴 역..

분노 세대 (2025) - 밈과 혐오로 시장을 교란하는 불안 세력의 탄생

책소개“세계는 때로 이성을 잃은 자들에 의해 움직인다는 것을알려주는 이 시대의 필독서” _모건 하우절(『돈의 심리학』 저자)★ ★ ★ ★ ★“예상치 않은 곳에, 예상치 않은 방식으로먼저 온 미래에 대한 훌륭한 르포르타주” _장강명(소설가)“자, 이제 복수할 때가 왔다!”분노한 젊은 남성들은어떻게 글로벌 금융과 정치를 뒤흔드는가『분노 세대』는 2021년 전 세계를 놀라게 한 게임스톱 사건의 전말을 심도 있는 취재와 속도감 있는 전개를 통해 ‘돈과 남성성, 권력, 온라인 문화의 관계’를 날카롭게 짚어낸 책이다. ‘게임스톱 주가 폭등 사태’는 개인 투자자들이 조직적으로 거대 금융 기관에 막대한 피해를 입힌 일대 사건이었다. 저자는 이와 같은 전례 없는 금융 혁명을 주도한 젊은 남성들과 그들의 주무대였던 레딧의..

[웹북] 남북전쟁 (1861~1865)

남북 전쟁위부터 시계 방향으로:게티즈버그 전투, 북군 티드볼 야포, 아메리카 연방군 수감자들, 철갑 USS 애틀랜타, 폐허가 된 리치먼드, 프랭클린 전투 남북 전쟁 날짜 1861년 4월 12일 ~ 1865년 5월 9일 (4년 3주 6일)장소 미국 및 대서양결과 연방 승리 아메리카 연합국의 붕괴미국 영토 무결성 보존노예제 폐지재건 시대 개막재건 수정 헌법교전국미국 연방 아메리카 연합국 아메리카 연합국지휘관미국 에이브러햄 링컨 (총사령관)미국 율리시스 S. 그랜트미국 윌리엄 테쿰세 셔먼미국 데이빗 패러것미국 조지 매클렐런미국 헨리 할랙미국 조지프 후커 미국 조지 미드 아메리카 연합국 제퍼슨 데이비스 (총사령관)아메리카 연합국 로버트 E. 리 항복아메리카 연합국 조지프 E. 존스턴 항복아메리카 연합국 피에르 ..

[웹북] 미국 독립 선언 (1776)

미국 독립선언 미국 독립선언(美國獨立宣言, Declaration of Independence)은 1776년 7월 4일 당시 영국의 식민지 상태에 있던 13개의 주가 서로 모여 필라델피아 인디펜던스 홀에서 독립을 선언한 사건을 일컬으며, 이 사건은 〈미국 독립선언문〉에 기록되어 있다. 오늘날 미국에서는 7월 4일을 독립기념일로 정해 축제를 열고 있다. 독립 선언이 있은 후 약 8년간에 걸친 싸움 끝에 1783년 9월 3일에 비로소 미국은 영국과 프랑스로부터 이른바 〈파리 조약〉을 거쳐 완전한 독립을 인정받게 되었다. 배경1762년 2월, 프렌치 인디언 전쟁이 끝나면서 영국왕 조지 3세와 영국 의회는 ‘인지세법’(1765년), ‘타운젠드법’(1767년)과 같은 식민지 미국에 대한 과세와 지배를 강화했다. 본..

[웹북] 미국 건국의 아버지

미국 건국의 아버지미국의 헌법 서명 (하워드 챈들러 크리스티(Howard Chandler Christy) 그림)미국 건국의 아버지(美國 建國 - , 영어: Founding Fathers of the United States) 또는 미국 국내적으로 단순히 건국의 아버지(Founding Fathers)는 미국 독립 전쟁과 관련된 미국의 역사 초기의 5명의 대통령들을 포함해, 미국 독립 선언에 참여한 정치인들을 일컫는 표현이다. 배경미국 독립 선언 (존 텀불 그림)1774년 펜실베이니아 필라델피아에서 제1차 대륙회의가 간단하게 열렸다. 여기에는 조지 워싱턴이나 패트릭 헨리, 존 애덤스와 같은 13개 식민지 중 12개 식민지 의회에서 선발된 56명의 대표단이 참석했다. 다른 저명한 대표단으로는 매사추세츠에서 온..

[웹북] 미국 독립전쟁 (1775~1873)

미국 독립 전쟁미국 독립 전쟁미국 독립 혁명의 일부날짜 1775년 4월 19일 - 1783년 9월 3일장소 아메리카 대륙: 북아메리카 동부, 플로리다, 중앙아메리카, 카리브해유럽: 발레아레스 제도, 지브롤터, 유럽 해안가아시아: 인도아대륙의 교전국 식민지들 (미국 제외) 인도양, 대서양결과 미국 독립군의 승리파리 조약아메리카 합중국의 탄생이로쿼이 연맹의 해산교전국영국 13개 식민지 (-1776)미국 미국 (1777~)버몬트 공화국 버몬트 공화국(1778~)프랑스 왕국 프랑스 왕국 (1778~)스페인 제국 스페인 제국 (1779-)네덜란드 공화국 네덜란드 공화국 (1780-)영국 그레이트브리튼 왕국영국 퀘벡 식민지영국 왕당파영국 영국령 북아메리카하노버 하노버 선제후국 독일 제후국공동 교전국마이소르 왕국 마..

악당으로부터 대한민국 지키기 (2025) - 친위 쿠데타 재발 방지를 위한 13가지 질문

책소개어떻게 대한민국을 재설계할 것인가?2024년 12월 3일 밤, 앉은뱅이 주술사를 무동 태운 눈먼 무사가 반세기 가까이 녹슨 채로 방치되어 있던 비상계엄이라는 낡은 칼을 꺼내 들었다. 전시·사변 또는 그에 준하는 국가비상사태에만 발동해야 할 비상계엄 선포는 국민을 향한 선전포고나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이성을 상실한 대통령이 무너뜨릴 뻔한 나라를 이번에도 시민이 되살렸다. 민주주의를 살리기 위해 국회 앞으로 뛰쳐나와 계엄 해제를 요구했고 국회대로에서 군용차량 행렬을 막아섰다. 국민과 의회의 힘으로 계엄 해제를 하고 대통령을 탄핵하고 체포· 구속함으로써 최악의 사태는 면했으나 지금 우리 앞에 놓인 현실은 엄중하다.이 책 『악당으로부터의 대한민국 지키기』에서는 13가지 질문을 통해 앞으로 대한민국이 나아가..

문화 이론 (2025) - 사회학적 접근

책소개누가 이 책 없이 문화 이론을 말할 수 있는가?세계적 문화 이론 교재의 8년간의 변화를 담은 개정판이 책은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전 세계 대학에서 교재로 굳건하게 자리잡은 『문화 이론』의 개정판으로, 출간 후 평단과 대중의 상당한 환호를 받은 초판을 전면적으로 개정하고 확장한 것이다. 영미권의 대표적인 사회학자인 필립 스미스는 『문화 이론』 초판에서 복잡하기 마련인 문화 이론을 균형 잡힌 시각으로 체계적이면서도 이해하기 쉽게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장점에 힘입어 이 책은 학문 분야와 진영을 가리지 않고 광범위하게 교재로 활용되었다. 스미스가 알렉산더 라일리를 영입하여 개정판을 펴낸 이유는 초판이 풍부한 이론적 전통을 간명한 언어로 총정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새롭게 중요성이 인식된 주제들이 생겨났기 때문..

온라인 세계의 극단주의 (2023) - 광신, 인종차별, 분노

책소개혐오 문화는 어떻게 온라인 세계에 안착했는가?온라인 세계에 만연한 ‘혐오 문화’를 분별해 내는 미디어 해독력을 제공하는 책온라인 세계의 주류 문화에 ‘혐오 문화’가 침투하는 현상을 비판적으로 탐구한 책이다. 인터넷이 보급되기 이전에 혐오단체들은 자신들의 이데올로기를 전파하기 위해 팸플릿, 자체 출판, 지방 라디오 같은 비효율적인 대중매체에 의존했다. 그러나 오늘날 혐오단체들은 블로그, 소셜 네트워크, 검색엔진 등 온라인 세계의 구석구석에 침투하여 클릭 한 번으로 혐오 사이트로 이동할 수 있을 정도로 우리 삶에 가까이 침투했다.이 책은 혐오 문화가 온라인 세계에 침투하는 방식을 보여줌으로써, 우리가 혐오 문화를 접하게 되는 맥락을 알 수 있게 한다. 이 책에 따르면 혐오 사이트들은 외양을 일상 정치 ..

비폭력의 힘 (2021) - 윤리학-정치학 잇기

책소개이 책은 버틀러가 2010년대 세계 유수의 대학 및 연구단체에서 했던 강연을 바탕으로, 그간 전작들에서 다루었던 윤리적 정치적 문제를 ‘비폭력’이라는 화두 아래 갈무리해 2020년에 출간한 책이다. 서론과 후기 이외에 총 4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푸코·파농·벤야민·프로이트 등의 관련 논의를 끌어와 비폭력을 저항의 실천이자 서로의 평등한 애도가치를 보살피기 위한 윤리적 공격성을 지닌 정치적 힘으로 서술하고 있다.목차감사의 말 _9서론 _111장 비폭력, 애도가치, 개인주의 비판 _432장 다른 누군가의 생명을 지킨다는 것 _913장 비폭력의 윤리학-정치학 _1374장 프로이트의 정치철학: 전쟁, 파괴성, 열광, 비판력 _195후기: 다시 생각하는 취약성, 폭력, 저항 _233옮긴이의 말: 평등을 상..

[웹북] 미국의 역사 (2008년~현재)

버락 오바마 행정부 (2009~2017 대통령 제44대)버락 오바마 행정부의 대통령 버락 오바마대통령 제44대 버락 오바마부통령 제47대 조 바이든성립연월일 2009년 1월 20일종료연월일 2017년 1월 20일여당 민주당시행된 선거 2010년 하원, 상원2012년 하원, 상원2014년 하원, 상원2016년 대선, 하원, 상원정부각료명단 (백악관)버락 오바마 행정부(Barack Obama Administration)는 상원 의원 버락 오바마가 제44대 대통령으로 취임하여, 2009년 1월 20일부터 2017년 1월 20일까지 존재한 미국의 정부이다. 인수위원회 활동이 부분 이전 시점에 관한 상세한 정보는 2008년 미국 대통령 선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2008년 11월 4일의 대통령 선거 승리 직후, 대..

[웹북] 미국의 역사 (1991년~2008년)

미국의 역사 (1991년~2008년) 1989년 12월 3일 몰타 회담을 통해 냉전의 종식을 선언했다. 1990년 이후 미국은 ‘냉전 이후’라는 시대가 시작되었다. 1991년은 걸프전으로 시작되었고, 연말에는 소비에트연방이 붕괴되었다. 냉전 후 미국은 중동에서의 군사 개입을 계속했다. 세계화와 신경제클린턴 대통령의 임기는 국내 문제에 큰 비중을 둔 기간이었다. 1994년에서 2000년까지 6년간은 많은 비평가들이 기술을 추진력으로 한 ‘신경제’라고 부르는 것이 출현했고, 상대적으로 높은 실질생산량의 성장을 나타내었으며, 인플레이션은 낮았고 실업률은 5% 이하 수준이 되었다. 인터넷과 그와 관련된 기술은 경제에 폭넓게 침투했고 연방준비제도 의장 앨런 그린스펀이 1996년에 ‘무리한 호황’라고 표현했듯이, ..

[웹북] 미국의 역사 (1980년~1991년)

미국의 역사 (1980년~1991년) 1980년부터 1991년까지 미국의 역사에는 지미 카터 행정부의 마지막 1년과 로널드 레이건 행정부 8년간, 조지 H. W. 부시 행정부의 전기 2년이 포함된다. 카터는 이란의 미국 대사관 인질 사건에 오점을 남겼고, 국내에서도 반대 세력을 만났다. 재선거를 요구한 1980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공화당의 로널드 레이건에게 패배했다. 레이건은 1기의 1981년과 1982년의 불황을 거쳐 미국 경제를 자극하는 것을 목표로 한 적극적 재정 정책을 선택했다. 그 중에는 석유 공급 과잉으로 이어지는 석유 규제 완화가 있었다. 소련의 지도자 미하일 고르바초프와 4도 정상 회담을 갖고, 중거리 핵전력 폐기 조약을 체결하였다. 이러한 행동에 의해 냉전의 종식을 가속시켰고, 부시 ..

[웹북] 미국의 역사 (1964년~1980년)

미국의 역사 (1964년~1980년)1964년부터 1980년에 걸친 미국의 역사에는 흑인들이 민권 운동을 계속했고, 베트남 전쟁이 심화되었으며, 반전 운동이 일어났다. 또한 냉전이 계속된 가운데 우주 개발 경쟁의 결과 인간을 처음으로 달에 보내게 되었다. 이 시기는 1960년대 이후 반세기 미국의 정치를 만들어 낸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1960년의 기억들은 다음 반세기를 위한 정치판 구도를 형성했다. 1990년 훗날 대통령이 되는 빌 클린턴이 설명했듯이, "1960년대를 되돌아 보면, 나쁜 일보다 좋은 일이 더 많다고 생각한다면 당신은 아마 민주당원일 것이고, 좋은 것보다 나쁜 것이 더 많다고 생각하면 당신은 아마 공화당원일 것이다." 자유주의의 절정시민권과 분리 철폐, 보건, 복지 확대, 모든 수준의..

[웹북] 미국의 역사 (1945년~1964년)

미국의 역사 (1945년~1964년)1945년부터 1964년에 걸친 미국의 역사에는 전쟁의 시대이며, 제2차 세계 대전을 승리로 이끌었던 경제적 성장과 번영을 목격한 시대이며, 냉전 초기와 남부에서 〈짐크로우 법〉 분리를 끝내버린 흑인들의 민권 운동이 주목받은 사건이었다이 시대 미국은 제2차 세계 대전으로 황폐해졌고, 유럽에서 공산주의의 확산을 막기 위해 활발한 외교 정책을 펼친 기간이라고 볼 수 있다. 국내에서는 전후의 짧은 이행기 후에, 경제가 빠르게 성장했고, 핵전쟁의 위협이 세계를 덮었다. 더 강력한 무기로 상대를 위협하는 군비 경쟁이 시작되었다. 유엔군이 한국에 파견되어 공산주의 세력과 싸웠다. 소련은 공산주의 국가들과 바르샤바 조약기구를 결성했고,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북대서양 조약기구(NAT..

[웹북] 미국의 역사 (1917년~1945년)

미국의 역사 (1917년~1945년)세계적으로는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대공황,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이어진 시기이다. 1920년, 미국 헌법 개정에 의해 알코올의 제조, 판매, 수입 및 수출이 금지되었다. 1920년대의 대부분을 통해 미국은 지속적인 번영의 시대를 누렸다. 농업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산업 분야가 발전했다. 농업은 전후 농업 생산물의 높은 가격이 하락하고, 토지 가격이 급상승한 여파로 저조했다. 공업 제품의 가격은 안정되었고, 국민총생산(GNP)은 1917년에서 1945년 사이에 연평균 3.2% 성장했다. 각국의 무기를 제한하고 평화를 유지하기 위한 미국의 노력은 1921년부터 1922년 ‘워싱턴 회의’에서 결실을 맺었다. 1929년의 증시 대폭락과 그 후의 세계 공황으로 인해 연방 ..

[웹북] 미국의 역사 (1865년~1917년)

미국의 역사 (1865년~1917년)미국의 역사 (1865년~1917년)는 남북 전쟁 후에 재건 시대가 시작되어, 산업화가 진전된 시대였다. 사회와 노동력의 급격한 변화가 많은 노동조합을 낳았고 파업이 이어졌다. 남북 전쟁이 끝났을 때, 미합중국은 분열된 상태였다. 미국 재건과 그 실패로 인해 남부의 백인은 흑인들에 대한 지배 관계를 지속할 수 있게 되었고, 흑인의 인권은 부정당하고 경제, 사회 및 정치 분야에서는 제2계급에 두었다. 유럽을 중심으로 다른 대륙에서 1865년부터 1917년까지 2,750만 명이라는 전례 없는 이민자의 물결이 몰려들어 저렴한 공장 노동력을 제공했고, 캘리포니아주와 같은 아직 개발이 진행되지 않았던 지역에 다양한 지역 사회를 형성했다. 산업의 발전과 인구의 확대는 적지 않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