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 131

인생의 의미 (2025) - 삶의 마지막 여정에서 찾은 가슴 벅찬 7가지 깨달음

책소개“사람은, 우리는, 나는 무엇으로 살아야 하는가”삶에 대한 가장 인간적이고 가장 아날로그적인 회귀말기 암에 걸린 인류학자,오랜 탐구 끝에 7가지 인생의 의미를 발견하다오슬로대학교 사회인류학과 교수인 토마스 힐란드 에릭센은 노르웨이가 낳은 세계적인 사회인류학자다. 그가 쓴 책은 여러 나라에서 대학교재로 쓰이며 국내에도 출간된 바 있다. 전 세계를 누비며 연구와 강연, 집필 활동에 매진했던 그가 몇 년 전 췌장암 선고를 받았다. 남은 시간이 많지 않다는 것을 깨달은 에릭센은 30년 넘도록 사회인류학자로서 탐구해온 인류의 궤적을 ‘인생의 의미’라는 관점으로 재편성한다. 분야를 넘나드는 방대하고 풍부한 지식을 바탕으로 인생의 처음과 끝을 파고든 끝에, 그는 세상의 통념과 다른 7개의 단어로 인간의 삶을 압..

군중의 망상 (2023) - 욕망과 광기의 역사에 숨겨진 인간 본능의 실체

책소개“찰스 맥케이의 『대중의 미망과 광기』를 현대에 되살린 명저!” _[로이터]“인간은 합리적인 존재가 아니라합리화하는 존재다!”욕망과 광기의 역사에 숨겨진 인간 본능의 실체를 낱낱이 해부하다!1841년 영국의 언론인 찰스 맥케이는 인간의 비이성적 본성이 집단 속에서 매우 빠르게 확산한다는 사실을 담은 문제작 『대중의 미망과 광기』를 발표한다. ‘집단 광기’를 다룬 고전이지만 당대의 지식 범위를 벗어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는 이 명저를 21세기 시점으로 재해석해 전 세계 미디어에서 ‘현대판 『대중의 미망과 광기』’라는 찬사를 받은 책이 있다. 바로 『군중의 망상』이다.이 책의 저자는 월스트리트의 전설적인 투자이론가이자 경제사학가로 활동하는 윌리엄 번스타인이다. 그는 투자 세계에 입문하기 전 신경과 전문..

나를 위해 살지 않으면 남을 위해 살게 된다 (2024) - 지혜에 관한 작은 책, 엥케이리디온

책소개“바꿀 수 없는 것을 걱정하지 마라.”스토아 철학자 에픽테토스가 전하는 ‘내 삶의 주도권을 되찾는 법’“인생은 고통이다.” 부처와 쇼펜하우어는 말했다. 이 말처럼 인생에는 수많은 고통이 있고, 우리는 누구나 고통을 겪으며 살아간다. 그런데 고통은 어디서 오는 것일까? 바로 우리가 세상일을 맘대로 통제할 수 없다는 데서 온다. 열심히 노력하고 최선을 다해도 세상은 원하는 대로 움직이지 않으며 그저 무심하게 흘러갈 뿐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평생 고통 속에서 살 수밖에 없는 것일까?노예에서 벗어나 진정한 자유를 얻은 철학자 에픽테토스가 이에 대해 해답을 제시한다. “중요한 것은 당신에게 일어나는 일이 아니라 당신이 그것에 어떻게 반응하느냐이다.” 통제할 수 없는 것들을 걱정하느라 인생을 낭비하는 대신, ..

자유 (2025) - 치유할 수 없는 질병

책소개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철학자슬라보예 지젝이 펼치는 자유론전쟁과 질병과 극우 정치가 횡행하는 시대인간의 자유란 무엇이고, 어두운 시대에 어떻게 희망이 될 수 있을까?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철학자로 불리는 슬라보예 지젝의 이번 책 제목은 단 한 단어, 바로 'FREEDOM(자유)'이다. 그의 책이 한국에서 출간을 준비하는 동안 ‘자유’라는 단어는 한국 언론에 가장 자주 등장하는 키워드가 되었다. 얼마 전 체포된 윤석열 대통령의 연설과 언론을 분석한 기사를 보면 그가 가장 많이 쓴 단어가 '자유' 그리고 '자유민주주의'였다고 한다.대체 자유란 무엇일까. 앞에 어떤 단어가 붙는지에 따라 자유의 의미는 전혀 달라진다. 누군가는 인간의 자유, 사랑의 자유를 위해 평생을 바치기도 하지만 또 다른 편에 있는 이들은..

불안사회 생존철학 (2024) - 혼란과 불안의 시대, 길을 밝히는 철학

책소개“철학은 영혼의 약이다”_에피쿠로스“모든 철학은 오늘의 우리 삶과 정신에 가장 가까이 닿아 있다.불안을 치유하는 철학의 힘은 늘 현재진행형이다.”소크라테스와 플라톤에서부터갈릴레이, 데카르트, 루소, 올랭프 드 구주, 다윈을 거쳐아인슈타인에 이르기까지,수많은 철학자의 삶과 철학에 지금 내가 찾는 답이 있다!“개인의 지성은 그가 견딜 수 있는 불확실성의 양으로 측정된다(Someone’s intelligence can be measured by the quantity of uncertainties that he can bear)”라는 칸트의 말을 빌려, 오랫동안 철학을 가르쳐온 프랑스 현대철학자 장 폴 주아리는 위대하지만 우리와 크게 다를 바 없던 철학자들의 삶과 사상을 펼쳐 보인다.현대인이 지금 겪고 ..

악마와 함께 춤을 (2024) - 시기, 질투, 분노는 어떻게 삶의 거름이 되는가

책소개2000년을 기다려온 이토록 반가운 악의에 대한 변론시기, 질투, 분노, 경멸, 앙심. ‘악’의 감정이 삶의 거름이 되게 하는 철학자의 솔루션간디, 공자, 괴테, 몽테뉴… 12명의 철학자들이 말하는 나쁜 감정 사용설명서악감정을 털어내려 하지 마라!아름다운 정원에는 만발한 꽃들도, 잡초도, 지렁이도 함께 사는 법이니까산다는 것은 행복한 일만 취사선택할 수 없는 일이다. 언제는 기쁜 일이 닥치고 불시에 분노가, 앙심이, 시기심이 치고 올라오는 것이 삶이다. 우리는 부당한 대우를 받는다는 느낄 때 분노한다. 누군가가 나를 조롱하거나, 폄하할 때…. 또 우리는 각기 다른 상황에서 질투를 느낀다. 부모님이 나보다 동생을 더 사랑하는 것 같을 때, 절친한 친구가 다른 친구를 절친이라 부르기 시작할 때…. 다른..

명령에 따랐을 뿐!? (2025) - 복종하는 뇌, 저항하는 뇌

책소개복종하는 뇌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날까?명령에 따르는 인간에 대한 인지신경과학 연구‘악의 평범성’에 대한 과학적 해답집단학살 또는 국가적 폭력에 가담한 이들은 재판 과정에서 하나같이 “명령에 따랐을 뿐”이라고 말한다. 그들은 정말 명령에 복종했을 뿐일까? 또한 단순히 명령에 따르는 것만으로도 인간은 부당하고 잔혹한 행위들을 할 수 있는 걸까? 『명령에 따랐을 뿐!?: 복종하는 뇌, 저항하는 뇌』는 인지신경과학자인 에밀리 A. 캐스파가 권위에 복종하는 인간 행동의 근원을 이해하기 위해 명령에 따르는 이들의 뇌에서 일어나는 인지신경학적 과정을 밝힌 책이다. 저자는 복종의 메커니즘을 파헤치는 자신의 연구들과 함께 방대한 사회?심리학 및 인지신경과학 자료를 분석해 집단학살?집단 폭력 사태에 대한 종합적 지식..

[2025 긴급특강] 계엄과 폭력의 역사 (2.8~3.15)

12․3 내란의 밤 이후,계엄이 도대체 뭔데! 라는 10, 20대부터또다시 계엄의 공포를 떠올린 60, 70대까지촛불 대신 응원봉을 들고 광장에 모인 이들이매일 민주주의 위기와 또 다른 희망을 이야기 합니다.민족문제연구소와 식민지역사박물관은 광장에 모이는 모든 시민과 함께민주주의 위기, 역사에서 길을 찾고자 긴급특강을 마련했습니다.일제 식민지배 35년은 비상계엄 사태의 기원이자, 해방 후 국가폭력의 뿌리이기도 합니다.12.3 비상계엄을 통해 계엄과 폭력의 역사를 되짚어 봅니다.독재정권은 ‘반국가세력’을 탄압한다는 명분으로 ‘계엄’을 무기로 민주주의를 파괴했습니다.계엄과 폭력의 시스템은 5월 광주를 피로 물들였고,학살자 전두환 일당에 대한 역사적 단죄는 아직도 진행중입니다.재심으로 다룬 무수한 ‘긴급조치’..

[웹북] 최재형 (독립운동가) 1858~1920

최재형 崔在亨 / Пётр Семёнович Цой러시아 제국 프리모르스키 변경주의최재형 (독립운동가) 나데즈딘스키 군서기임기 1894년 1월 20일~1896년 8월 15일군주 알렉산드르 3세 군주 / 니콜라이 2세 군주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재무총장임기 1919년 4월 10일~1919년 9월 11일대통령 이승만 대통령 겸 국무총리총리 이승만 대통령 겸 국무총리 / 이동녕 총리 임시서리 / 이동녕 국무총리 / 안창호 총리 임시서리차관 이춘숙 재무차장 / 윤현진 재무차장 / 이춘숙 재무차장 / 윤현진 재무차장 이름별명 일명은 최재형(崔在衡), 최도헌(崔都憲)러시아식 이름은 초이 표트르 세묘노비치(Цой Пётр Семёнович)신상정보출생일 1858년 8월 15일  / 출생지 조선 함경도 경원  / 망일 1..

[웹북] 김경천 (독립운동가) 1888~1942

김경천 (1888년)김경천김경천신상정보본명 김현충(金顯忠), 김광서(金光瑞)로 개명출생 1888년 6월 5일 (조선 함경남도 북청)사망 1942년 1월 2일(53세) 소련 사인 고문으로 인한 병사성별 남자 / 국적 조선→대한제국 / 별칭 김경천(金擎天), 김응천(金應天)직업 독립운동가, 군인 / 학력 일본육군사관학교 / 종교 유교(성리학)부모 부: 김정우(金鼎禹), 모: 윤옥연(尹玉蓮) / 자녀 부인1명, 자녀 2남5녀 활동 정보관련 활동 독립운동 / 소속 대한독립청년단, 대한혁명단, 고려혁명군김경천(金擎天, 1888년 6월 5일~1942년 1월 2일)은 일본군 장교 출신으로서 해외로 망명하여 일제강점기에 무장 독립 운동을 벌인 독립 운동가이다. 초명은 김현충(金顯忠)이고, 일본 육사 졸업 후 김광서(金..

[웹북] 이재명의사 (독립운동가) 1887~1910

이재명 / 李在明1909년 12월 24일자 황성신문. 12월 22일 낮에 명동성당에서 이재명이 대한제국 내각 총리대신 이완용을 피습, 칼로 흉부를 자격하여 이완용이 병원으로 이송됐다는 보도 이재명 (독립운동가) 신상정보출생 1887년 10월 16일 (조선 평안도 선천군)사망 1910년 9월 30일(22세) 일제 강점기 경성부 경성감옥에서 사형 집행됨.거주지 평안남도 평양 / 하와이주 호놀룰루 / 한성부성별 남성국적 대한제국본관 진안직업 항일 독립운동가학력 평안남도 평양 일신보통학교 졸업종교 개신교 활동 정보관련 활동 독립운동상훈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 추서웹사이트 독립유공자 공훈록 이재명(李在明, 1887년 10월 16일 ~ 1910년 9월 30일)은 대한제국 시기의 독립운동가이다. 약관의 나이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