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의 확장! 급진주의 정치는 어떻게 청교도의 양심과 내적 경험에서 발생했는가. 이 책은 베버의 자본주의 설명을 급진주의 정치에 적용하는 시도이다. 베버가 시도한 종교와 경제의 연결을 정치 영역으로 확장하고 있다. 베버가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에서 프로테스탄트 윤리를 근대의 경제활동의 인과적 분석이나 기술로 규명하고 있다면, 왈저는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급진주의 정치』에서 프로테스탄티즘 또는 청교도 신앙을 정치적 급진주의와 연결해서 창의적으로 설명한다. … 바로 이 점이 이 책의 가장 뛰어난 강점이자 탁월성이다. 베버가 정치 영역에서 하지 못한 청교도주의와 정치의 연결 관계에 대한 역사적·사회적 분석이 베버의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이 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