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책소개
한국, 중국, 그리고 일본은 이른바 유교적 전통을 오랜 기간 공유하였음에도 불구하고, 19세기 말 이후 근대화, 국민국가의 형성, 그리고 산업화 등의 측면에서 사뭇 다른 근대적 운명을 경험하였다. 반면, 서로 다른 근대화 과정에도 불구하고, 최근 50여 년 동안 우리가 목격한 바 있는 한 · 중 · 일 삼국의 경제발전 과정은 일정 부분 상호 간의 유사성을 공유하고 있다.
이렇듯 근현대 한 · 중 · 일 삼국의 정치, 경제 제도들은 유사성과 차별성을 동시에 보인다. 이와 같은 유사성과 차별성은 어디에서 비롯되는 것이며, 우리는 이에 대하여 어떤 체계적인 설명을 시도할 수 있을까? 이 책은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공유한 한 정치학자와 한 인류학자가 동아시아 경제성장에서 발견되는 그러한 유사성과 차별성을 설명하고자 하는 시도의 결과물이다.
이 책의 중심적 연구주제는 한 · 중 · 일 삼국의 제도들이 기능적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왜 서로 다른 행태적 결과를 보이느냐는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정치학자는 인류학의 ‘비교문화적 접근’을, 그리고 인류학자는 분석적 개념으로는 지나치게 포괄적인 ‘문화’ 대신 정치경제학의 ‘제도적 기반’이라는 개념을 받아들였다.
이렇듯 근현대 한 · 중 · 일 삼국의 정치, 경제 제도들은 유사성과 차별성을 동시에 보인다. 이와 같은 유사성과 차별성은 어디에서 비롯되는 것이며, 우리는 이에 대하여 어떤 체계적인 설명을 시도할 수 있을까? 이 책은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공유한 한 정치학자와 한 인류학자가 동아시아 경제성장에서 발견되는 그러한 유사성과 차별성을 설명하고자 하는 시도의 결과물이다.
이 책의 중심적 연구주제는 한 · 중 · 일 삼국의 제도들이 기능적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왜 서로 다른 행태적 결과를 보이느냐는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정치학자는 인류학의 ‘비교문화적 접근’을, 그리고 인류학자는 분석적 개념으로는 지나치게 포괄적인 ‘문화’ 대신 정치경제학의 ‘제도적 기반’이라는 개념을 받아들였다.
목차
머리말
제1장 서론
제2장 동아시아의 경제발전
1. 현대 동아시아의 발전 궤적과 일본과 아시아의 관계
2. 중국의 부상과 일본의 아시아 복귀
3. 동아시아 경제발전 수렴이라는 광범위한 맥락에서의 발산 현상
제3장 제도적 기반(Institutional Templates)의 의미
1. 신제도경제학(Neo-Institutional Economics)
2. 제도의 층위(Layers)와 제도의 변화
3. 변화 및 제도
4. 문화와 제도
5. 세 가지 유형의 권력과 제도적 기반(institutional templates)
6. 교환, 위계
7. 네트워크
8. 제도적 기반(institutional templates)의 유용성
제4장 제도적 기반의 거시적 문헌 자료
1. 전통적 정치 체제와 제도적 기반(템플릿)에 대한 시사점
2. 세계관(world outlook) : 천도(天道)와 현실(Practicality)
3. 지리적 특성
4. 권위, 교환 및 네트워크
제5장 전통 가족제도에 반영된 제도적 기반
1. 서론
2. 가족 구조
3. 한 · 중 · 일 삼국의 전통 가족 비교
4. 전통적 가족의 권위, 교환, 네트워크
5. 제도적 기반(템플릿)으로서의 전통적 가족
제6장 설문조사에 반영된 제도적 기반(템플릿)
1. 배경
2. 세계관
제7장 기업 조직으로서의 가족 : 소규모 가족기업
1. 서론
2. 소규모 가족기업의 정의 및 범위
3. 중국 소규모 가족기업의 진화
4. 일본의 가족기업
5. 한국의 소규모 가족기업
제8장 기업집단의 진화와 구조
1. 기업집단의 정의
2. 기업집단의 진화
3. 기업집단의 구조
4. 비교 요약
제9장 기업지배구조의 여러 도전
1. 기업지배구조의 정의
2. 지배구조의 구조와 쟁점
3. 기업지배구조의 개혁
제10장 발산 또는 수렴
1. 일반 진술
2. 이론과 실증 연구
3. 발산 : 수렴에 대한 반대
4. 전이성과 보편성의 문제
5. 제도 및 조직의 경로 종속성
6. 제도적 기반(템플릿) : 제도적 매트릭스와의 차이점
7. 아시아 가족기업집단의 출현과 부흥 : 수렴과 발산의 사이에서
8. 가족기업집단, 자본 배분, 그리고 경로 의존성
제11장 결론 : 제도적 기반(템플릿), 경제조직, 그리고 변화
1. 지속과 변화
2. 아시아 모델이 가능한가?
3. 결론
제1장 서론
제2장 동아시아의 경제발전
1. 현대 동아시아의 발전 궤적과 일본과 아시아의 관계
2. 중국의 부상과 일본의 아시아 복귀
3. 동아시아 경제발전 수렴이라는 광범위한 맥락에서의 발산 현상
제3장 제도적 기반(Institutional Templates)의 의미
1. 신제도경제학(Neo-Institutional Economics)
2. 제도의 층위(Layers)와 제도의 변화
3. 변화 및 제도
4. 문화와 제도
5. 세 가지 유형의 권력과 제도적 기반(institutional templates)
6. 교환, 위계
7. 네트워크
8. 제도적 기반(institutional templates)의 유용성
제4장 제도적 기반의 거시적 문헌 자료
1. 전통적 정치 체제와 제도적 기반(템플릿)에 대한 시사점
2. 세계관(world outlook) : 천도(天道)와 현실(Practicality)
3. 지리적 특성
4. 권위, 교환 및 네트워크
제5장 전통 가족제도에 반영된 제도적 기반
1. 서론
2. 가족 구조
3. 한 · 중 · 일 삼국의 전통 가족 비교
4. 전통적 가족의 권위, 교환, 네트워크
5. 제도적 기반(템플릿)으로서의 전통적 가족
제6장 설문조사에 반영된 제도적 기반(템플릿)
1. 배경
2. 세계관
제7장 기업 조직으로서의 가족 : 소규모 가족기업
1. 서론
2. 소규모 가족기업의 정의 및 범위
3. 중국 소규모 가족기업의 진화
4. 일본의 가족기업
5. 한국의 소규모 가족기업
제8장 기업집단의 진화와 구조
1. 기업집단의 정의
2. 기업집단의 진화
3. 기업집단의 구조
4. 비교 요약
제9장 기업지배구조의 여러 도전
1. 기업지배구조의 정의
2. 지배구조의 구조와 쟁점
3. 기업지배구조의 개혁
제10장 발산 또는 수렴
1. 일반 진술
2. 이론과 실증 연구
3. 발산 : 수렴에 대한 반대
4. 전이성과 보편성의 문제
5. 제도 및 조직의 경로 종속성
6. 제도적 기반(템플릿) : 제도적 매트릭스와의 차이점
7. 아시아 가족기업집단의 출현과 부흥 : 수렴과 발산의 사이에서
8. 가족기업집단, 자본 배분, 그리고 경로 의존성
제11장 결론 : 제도적 기반(템플릿), 경제조직, 그리고 변화
1. 지속과 변화
2. 아시아 모델이 가능한가?
3. 결론
출판사 리뷰
한 · 중 · 일 삼국의 제도들이 기능적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왜 서로 다른 행태적 결과를 보이느냐는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다.
한국, 중국, 그리고 일본은 이른바 유교적 전통을 오랜 기간 공유하였음에도 불구하고, 19세기 말 이후 근대화, 국민국가의 형성, 그리고 산업화 등의 측면에서 사뭇 다른 근대적 운명을 경험하였다. 반면, 서로 다른 근대화 과정에도 불구하고, 최근 50여 년 동안 우리가 목격한 바 있는 한 · 중 · 일 삼국의 경제발전 과정은 일정 부분 상호 간의 유사성을 공유하고 있다. 이렇듯 근현대 한 · 중 · 일 삼국의 정치, 경제 제도들은 유사성과 차별성을 동시에 보인다. 이와 같은 유사성과 차별성은 어디에서 비롯되는 것이며, 우리는 이에 대하여 어떤 체계적인 설명을 시도할 수 있을까? 이 책은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공유한 한 정치학자와 한 인류학자가 동아시아 경제성장에서 발견되는 그러한 유사성과 차별성을 설명하고자 하는 시도의 결과물이다. 이 책의 중심적 연구주제는 한 · 중 · 일 삼국의 제도들이 기능적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왜 서로 다른 행태적 결과를 보이느냐는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정치학자는 인류학의 ‘비교문화적 접근’을, 그리고 인류학자는 분석적 개념으로는 지나치게 포괄적인 ‘문화’ 대신 정치경제학의 ‘제도적 기반’이라는 개념을 받아들였다. 동아시아 삼국의 제도적 기반에 대한 비교문화적 접근은 그동안 서구 학계에서 진행되어온 보편적 이론 차원의 논의와 동아시아의 특수성에 주목하는 동아시아론 사이에 존재하는 틈새를 좁히는데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 중국, 그리고 일본은 이른바 유교적 전통을 오랜 기간 공유하였음에도 불구하고, 19세기 말 이후 근대화, 국민국가의 형성, 그리고 산업화 등의 측면에서 사뭇 다른 근대적 운명을 경험하였다. 반면, 서로 다른 근대화 과정에도 불구하고, 최근 50여 년 동안 우리가 목격한 바 있는 한 · 중 · 일 삼국의 경제발전 과정은 일정 부분 상호 간의 유사성을 공유하고 있다. 이렇듯 근현대 한 · 중 · 일 삼국의 정치, 경제 제도들은 유사성과 차별성을 동시에 보인다. 이와 같은 유사성과 차별성은 어디에서 비롯되는 것이며, 우리는 이에 대하여 어떤 체계적인 설명을 시도할 수 있을까? 이 책은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공유한 한 정치학자와 한 인류학자가 동아시아 경제성장에서 발견되는 그러한 유사성과 차별성을 설명하고자 하는 시도의 결과물이다. 이 책의 중심적 연구주제는 한 · 중 · 일 삼국의 제도들이 기능적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왜 서로 다른 행태적 결과를 보이느냐는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정치학자는 인류학의 ‘비교문화적 접근’을, 그리고 인류학자는 분석적 개념으로는 지나치게 포괄적인 ‘문화’ 대신 정치경제학의 ‘제도적 기반’이라는 개념을 받아들였다. 동아시아 삼국의 제도적 기반에 대한 비교문화적 접근은 그동안 서구 학계에서 진행되어온 보편적 이론 차원의 논의와 동아시아의 특수성에 주목하는 동아시아론 사이에 존재하는 틈새를 좁히는데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41.중국.동아시아 이해 (독서>책소개) > 4.동양역사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탈일본화 재중국화 (2024) - 전후 타이완에서의 문화재건 1945~1947 (0) | 2024.07.29 |
---|---|
내 삶의 나침반 한·중·일 인물 열전 (2024) (0) | 2024.07.22 |
연등문화의 역사 (2024) - 인도·중국·한국으로 이어진 등불의 문화사 (0) | 2024.06.25 |
갑오 (2020) (0) | 2024.06.25 |
고대 페르시아의 역사 (2008) - 아케메니드 페르시아·파르티아 왕조·사산조 페르시아 (0) | 2024.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