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한반도평화사(2024~) [해설서]/1.삼국시대사 (BC57~AD668)

[웹북] 백제

동방박사님 2024. 10. 26. 22:15
728x90

백제 百濟

기원전 18~서기 660 

4세기경백제의 강역

황색 : 4세기경 백제의 강역. (백제의 직할령)

오렌지색 : 4세기경 백제의 강역. (백제의 세력권인 옛 마한 계열국 및 탐라)

 

수도 위례성(기원전 18-476)

웅진성(476-538)

사비성(538-660)

정치

정치체제 군주제.

기원전 18~ 28년 온조왕(초대)

346~ 375년 근초고왕

641~ 660년 의자왕(말대)

 

국성 부여씨

입법부 정사암

시대 구분 삼국 시대

인문

공통어 백제어. 한문

데모님 백제인

민족 예맥,

인구 

660년 어림 76만호

종교 

국교 불교

기타 종교 유교, 도교, 무속신앙

백제의 총지배권역

백제(百濟)는 한국의 고대 국가 중 하나로, 고구려, 신라와 함께 삼국 시대를 구성하였다. 부여·고구려에서 남하한 온조왕이 세운 십제(十濟)가 기원이라는 설이 전해지고 있다. 마한 54개 연맹체 중 하나인 백제(伯濟)를 거쳐 6세기경 마한을 병합했다.

 

이복지간인 고구려 건국 세력에 밀려 부여권 일대에서 해상으로 피난한 온조 부족이 기원전 18년 한강 하류의 하남위례성에 도읍을 정해 건국되었다는 설이 있다. 백제가 속해있었다고 기록된 마한은 원삼국 시대에 존재한 삼한 중 가장 큰 정치 집단으로, 54개 부족국가 연맹체다. 마한의 54개 부족국가는 지금의 충청도(충청북도, 충청남도전라도(전라북도, 전라남도)에 해당하며, 초창기에는 강원도 서부와 황해도 남부까지도 영향력이 있었다.

 

백제국은 1세기에서 3세기에 걸쳐서 한반도 남부의 소국들 및 한사군과 대립하면서 성장한 것으로 추측되며 4세기부터 마한 남부 지역으로 세력을 확장했다. 4세기 중엽에는 마한 정벌을 단행해 마한을 완전히 복속시키고, 고구려와 대립하여 고국원왕을 전사시키기도 하였다. 그러나 5세기 초부터 고구려의 공격을 받아 아신왕이 굴복하고 개로왕이 전사하는 등 수난을 당하였다. 그리고 475년에는 한강 유역을 상실하고 웅진으로 수도를 옮겼다.

 

538년 성왕 시절에는 수도를 웅진(熊津 : 충청남도 공주시)에서 사비성(泗沘城 : 충청남도 부여군)으로 옮기고 국호를 일시적으로 남부여(南扶余)로 변경하였으며, 신라와 동맹을 맺고 고구려를 협공하여 한강 유역을 일시적으로 되찾았으나 신라의 배신으로 인해 한강 유역을 다시 상실하였고 결국 성왕은 관산성에서 벌어진 관산성 전투에서 사망하였다. 국력이 계속 약화되며 영토가 수축하다가 660년 신라와 당나라의 연합 공격을 받고 수도 사비성이 함락되며 멸망했다. 그 후 백제 부흥 운동이 일어나 왜국의 인질이었던 부여풍을 임시 국왕으로 추대하며 투쟁을 이어갔지만 권력다툼으로 내분이 발생하면서 백제 부흥 운동은 실패하였다.

 

국호

기록상 백제는 나라 이름을 몇 차례 바꾸었다. 삼국사기에 처음 나오는 백제의 국호는 십제(十濟)이다. 그러다 온조왕(溫祚王)이 형인 비류(沸流)가 다스리던 백성을 합쳐 더 큰 나라를 만들 때 비류의 백성들이 모두 즐거워하여 나라 이름을 백제(百濟)로 고쳤다는 설명이 있다. 한편 중국 측의 역사서인 삼국지(三國志)》〈위서(魏書)동이전(東夷傳)에서는 한자가 조금 다른 백제(伯濟)가 마한에 속했다고 기록한다. 또한 수서(隋書)백제전에는 처음에 백여 호()가 바다를 건너[百家濟海] 남하하여 나라를 세웠기 때문에 백제라 하였다고 씌어 있다. 백제의 국호에 대한 삼국사기와 수서의 설명 가운데 어느 쪽이 맞는지는 아직 가려내기 어렵다.

 

한편 삼국사기에 따르면 성왕 16, 538년에 웅진에서 사비로 천도하며, 국호를 남부여(南扶餘)로 바꿨다. 다만 남부여라는 국호가 멸망 때까지 사용되었는가는 확실히 알 수 없다. 왜냐하면 1995년에 발견된 백제창왕명석조사리감에서 백제창왕(百濟昌王)”이라는 표현이 보이기 때문이다. 성왕이 국호를 남부여로 했음에도 바로 다음 왕인 창왕, 즉 위덕왕대에 와서 다시 백제(百濟)라고 표현한 것은 그만큼 성왕의 의도가 위덕왕대에 부정되고 있었던 상황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백제의 별칭으로는 응, 응준, 응유가 있으며,예군 묘지명에 나타나는 일본이 백제를 가리킨다는 가설도 제기되었다.

 

역사

한성기

한성백제

 

백제의 총 지배권역

삼국사기 등에 의하면, 백제는 기원전 18년 온조왕에 의해 건국되었다. 온조왕은 고구려의 주몽의 아들로 알려져 있으며, 남하하여 하남 위례성을 수도로 삼아 백제를 건국하였다. 이후 백제는 한강 유역에서 기반을 다져나가면서 주변 세력과의 대립과 교류 등을 통해 점차 성장하였다. 4세기 근초고왕 시기에 전성기를 맞아 중국의 동진과 활발한 교류를 맺고, 왜와의 관계를 통해 한반도와 일본열도 간의 문화 교류를 촉진하였다. 백제는 당시 고구려를 남하하여 공략하고, 황해도 일대까지 영토를 확장하며 전성기를 맞았다.

 

하지만 5세기 후반, 고구려 장수왕의 남진 정책으로 인해 한성은 475년 함락되었고, 개로왕이 전사하면서 백제는 수도를 웅진(현재의 공주)으로 옮기게 되었다.

 

웅진기

5세기 이후 고구려의 장수왕에 적극적인 남하 정책에 밀려 결국 개로왕이 사망하였다. 결국 백제는 한강 유역의 수도 한성을 빼앗기고 금강변의 웅진으로 수도(475)를 옮기면서 영토가 크게 위축되었다. 또한 중국과 왜국의 정세 변화에 따라 무역 활동도 침체되어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왕권이 약화되고 귀족 세력간 내분이 발생하였으며, 문주왕 때는 해구와 같은 무인 실권자가 등장하여 백제의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

 

5세기 후반 동성왕 때부터는 다시 사회가 안정되면서 왕권을 회복하기 시작하였다. 동성왕은 혼인을 통해 신라와의 동맹을 강화하여 고구려에 투쟁하였고, 무령왕은 양직공도에 의하면 지방의 22담로에 왕족을 파견함으로써 지방에 대한 통제권을 강화하였다. 이로써 백제는 내분을 정리할 수 있었다. 한편 북제서에는 571년 위덕왕을 동청주자사(東靑州刺史)로 임명한 기록이 있어 일부 재야사학자들과 대륙사관론자들은 이를 백제가 뤄양을 정복한 근거로 보기도 한다.

 

사비기

성왕은 마한 전체를 제압하는데 성공하여 부여 지역의 사비성으로 수도를 옮기고(538), 국호를 남부여로 개칭하면서 중흥을 꾀하였다. 중앙 관청과 지방 제도를 정비하고, 승려를 등용하여 불교를 진흥하였으며, 중국 대륙의 남조와 교류하였다. 또한 왜에 불교를 전파하기도 하였다. 이후 성왕은 고구려의 내정이 불안한 틈을 타서 신라와 연합하여 일시적으로 한강 유역을 수복하였다. 하지만 처음에 한강 상류를 차지하기로 약속한 신라와 다툼이 발생하면서 진흥왕에게 빼앗기고 말았으며, 관산성 전투에서 사망하였다.

 

무왕은 신라에 적대적인 태도를 취하는 한편 동아시아의 양대 세력인 고구려와 수나라가 각축전을 벌일 때, 어느 한쪽에 가담하기보다는 양쪽의 대결을 이용한 기회주의를 펼쳤다. 이와 더불어 절대 왕권을 과시하려는 목적에서 대규모 역사(役事)를 단행하였다. 630년 사비성을 중수했으며 고향인 전라도 익산 지역을 중시해 이 곳에 별도(別都)를 경영하고, 장차 천도(遷都)할 계획까지 세우고 있었다. 또한 정실 왕후 사택씨(沙宅氏) 세력의 보시로 막대한 경비와 시간을 들여 익산에 백제 최대 규모의 미륵사(彌勒寺)를 창건했다. 고려 시대의 승려 일연의 삼국유사에서는 서동 출신 무왕과 신라 선화공주의 이야기가 나온다. 기존에는 일연의 삼국유사를 기반으로 미륵사 창건이 선화공주가 중심이 됐다는 설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2009114일에 미륵사지 서탑 해체 중 발견된 금동사리함 명문에 의해 파문이 일었다. 사리함 명문에는 '우리 백제 왕후께서는 좌평(佐平) 사택적덕(沙宅積德)의 따님으로 지극히 오랜 세월에 선인을 심어 금생에 뛰어난 과보를 받아 만민을 어루만져 기르시고 불교의 동량이 되셨기에 능히 정재를 희사하여 가람을 세우시고, 기해년(639) 정월 29일에 사리를 받들어 맞이했다'라고 적혀있다.

 

무왕은 익산 천도를 통한 귀족 세력의 재편성을 기도했으나 실패하였다. 그러나 관산성 전투 패배 이후 동요된 백제 왕권이 무왕 때 와서 회복되어, 의자왕이 즉위 초기에 숙청을 통해 절대 왕권을 구축하는 기반이 되었다.

 

멸망

당시 백제를 사방에서 압박하고 있던 신라에 의해 백제의 대당 외교가 실패하자, 신라와 직접 군사 대결을 시도하여 6594월 신라를 공격하였다. 돌궐-고구려-백제-왜 와, -신라의 십자 외교[출처 필요]가 시작된 것이다. 그러나 신라와 당나라 연합군의 공격을 받아 660년에 사비성이 함락되고, 부흥군도 순식간에 전멸함으로써 백제는 완전히 멸망하게 되었다.

 

중앙 관제

관서는 내관 12부와 외관 10부로 나뉘어 총 22부가 있었다.

 

내관에는 전내부(前內部곡부(穀部육부(肉部내경부(內𢈴部)·외경부(外𢈴部) 마부(馬部도부(刀部공덕부(功德部약부(藥部목부(木部법부(法部후궁부 등이 있었는데, 이들은 왕실·궁내에 속하는 관서였다.

 

외관에는 사군부(司軍部사도부(司徒部사공부(司空部사관부(司冠部점구부(點口部외사부(外舍部조부(綢部일관부(日官部시부(市部)가 있었다. 이들은 일반 정무를 담당하였다. 종래의 족장 선출의 유풍이 남아 각 관서의 장은 3년마다 교체되었다.

 

행정 구역

지방 행정은 원래의 부족 세력과는 전혀 무관한 방위로 표시하였다. 성왕 때 수도를 5[3]로 구분하고 전국을 5으로 나누었다. 방 밑에는 10군을 두었으며, 방에는 장관격인 방령과 차관격인 방좌를 두어 통솔케 하고, 군마다 3인의 장이 있어 700~1,200명의 사졸을 거느리게 하여 국왕의 호족 지배의 거점으로 삼았다. 그밖에 전국 22개의 행정구역에는 왕자·왕족을 살게 했으며, 이를 담로라 하였다.

 

경제

삼한 시대 때 벼농사를 시작하였다. 이후 직조술 ·염색술 등 수공업이 발달하였고, 무기·불상 등 금속공업도 가능해졌다. 왕토사상이 원칙이고 토지의 측량방법은 두락제를 썼으며 조세는 조를 쌀로, 세는 포목, 비단 실과 쌀을 내었고, 재앙에 따라 차등을 두었다. 중국 남부 및 왜와 교역이 성행하여 왜에 말 ·누에 ·직조법 ·양조법 등의 생산품과 그 기술이 전파되었다. 무역항으로는 영암성이 번성하였다.

< 양직공도〉에 나오는 백제 사신의 모습

사회

백제의 언어와 풍속은 고구려, 신라와 큰 차이가 없었다. 활쏘기를 좋아하는 점에서 고구려와, 형법의 적용이 엄격한 점에서 신라와 유사하였다. 반역자나 전쟁터에서 퇴각한 군사 및 살인범은 참수했고, 도둑은 귀양을 보냄과 동시에 2배를 물게 하였다. 그리고 관리가 뇌물을 받거나 횡령을 했을 때는 3배를 배상하고 종신형에 처하였다.

 

지배층은 왕족인 부여씨와 8성의 귀족으로 이루어졌다. 중국의 고전과 역사책을 즐겨 읽었고, 한문과 관청의 세무에도 밝았다. 음주, 바둑, 장기는 삼국의 지배층이 즐기던 오락이었다.

 

문화

백제는 천문에 있어 고구려와 신라보다 뛰어났다. 평양이나 경주보다 부여에서는 더 정밀한 일남중 고도를 측정할 수 있었기에 천문지식에 있어서 고구려와 신라가 백제에 미치지 못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한학

오경박사·의박사·역박사 등이 있었던 것으로 보아 한학의 존재를 짐작할 수 있다. 472년 북위에 보낸 국서가 위서에 실려 있다. 또한 541년 양나라 사신 육허가 와서 예론을 강의하였으며, 근초고왕 때의 아직기와 근구수왕 때의 왕인이 왜에 한학을 전하였다. 무령왕 때는 단양이·고안무 등이 왜에 유학을 전하였다. 백제의 첫 역사서는 375년에 고흥이 편찬한 서기이며, 일본서기에 따르면 백제기, 백제본기》 《백제신찬등의 역사책도 있었다고 하나, 모두 잃어버렸다.

 

주서에는 다음과 같은 글이 나온다. '응유 사람들은 말타기와 활쏘기를 중시하며, 고전이나 역사서를 좋아한다. 그중에 준수한 자는 꽤 능숙하게 문장을 짓고 음양오행을 이해하고 있다.'

 

종교

백제의 불교 

주서는 백제에 대해 절과 탑이 매우 많다.”고 기록하고 있다. 불교가 융성했음을 알려주는 대목이다.[16] 불교는 384년 서역의 승려인 마라난타에 의해 동진에서 전래된 것이 기록상 최초로 나타난다. 침류왕은 마라난타를 궁궐에 머물게 하면서 이듬해에는 사원을 지어 승려 10명을 거처하게 했다.응유의 불교는 이 때부터 시작된다고 여겨진다. 전래 초기부터 국가적인 차원에서 숭상·장려되었고, 국가적인 차원에서 사찰을 건립한 경우도 많았다. 577(위덕왕)에 착공해 634(무왕 35)에 완성된 왕흥사는 호국사찰이다. 599(법왕 1)에는 생물을 죽이지 못하게 하는 국왕의 명이 있었으며, 민간에서 기르는 매를 놓아주며, 어로와 사냥도구들을 강제로 불태운 적도 있었다.백제의 불교는 계율의 연구가 활발했으며 겸익이 대표적인 계율종 승려였다. 한편 백제 금동대향로로 미루어 보아 도가와 신선 사상이 발달하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산경문전이나 사택지적비에도 도교사상의 영향이 발견된다. 또한 낙랑·대방의 중국인과 접하면서 일찍부터 한문과 유교를 접했다. 그리하여 4세기 중엽 역사서인 서기가 편찬되기도 했고, 오경박사를 두면서 유교를 장려했다.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의 정면

건축

불교 미술이 발달하였다. 7세기 신라가 동아시아에서 가장 큰 황룡사 9층 목탑을 건설할 때 아비지가 초빙된 사실과 왜국 사원을 창립하기 위하여 사공과 기술자 등이 건너간 사실에서 백제의 봉사를 짐작할 수 있다. 동성왕 때의 임류각, 의자왕 때의 태자궁·망해정이 건축된 기록은 있으나 고려시대에 파괴되었으며,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익산의 미륵사지 석탑 등만 남아 있다. 정림사지 오층석탑은 우아한 곡선으로 안정감을 주며 백제의 석탑 중에 가장 우수하다.

 

조각품으로는 석불과 금동불, 불상 등이 있다. 말기에는 남조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되는 전축분이 많이 남아있다. 무령왕릉에서는 사대주의를 반영하는 듯 양나라 유물이 출토되었다.

 

묘는 시체를 가매장하고 일정 기간이 지난 다음 발굴하여 뼈를 씻고 장례한 후 다시 매장하는 복장이 가능한 석실묘다. 벽화의 내용면에서 고구려의 도움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초창기 고분은 서울 송파구 석촌동의 것이 대표적인데, 이는 졸본 지방의 고구려 초기 고분과 유사한 적석총이며, 웅진시대의 공주시 송산리 고분은 굴식 돌방 고분이다.

 

또한 무령왕릉과 같은 벽돌무덤은 중국 남조의 영향을 받았다. 특히 무령왕릉은 연화문의 벽돌로 된 아치형의 벽돌무덤으로 여기에서 출토된 유물로는 금관·석수·청동경·자기·지석·장신구 등이 있는데, 이 고분을 통해 백제의 사회, 양나라와의 문화교류, 장사를 지내는 예법과, 특히 신라와의 문화교류, 문화의 특수성과 공통성을 확인할 수 있는 고분이다.

 

또 사비시대의 부여 능산리 고분은 굴식 돌방고분으로 송산리 고분보다 규모는 작으나 건축기술과 연화문 ·운문, 사신도의 벽화가 세련되었다. 그리고 충남 서산에 있는 마애삼존불상은 화강암에 새긴 마애석불인데, 화려한 옷차림, 짙은 미소를 띤 온화함은 불교의 미소로 알려져 있다.

 

그 밖에도 금동관세음보살입상, 무령왕릉의 출토품인 금제 관식 ·석수 ·동자상, 금은 장식품인 목걸이 ·팔찌 ·귀걸이 등이 유명하며 산수문전 ·연화문전 등과 기와 등에도 미술을 감상할 수 있는데, 고구려의 와당은 힘과 정열(와당의 귀신상)을 표현한 데 비하여 백제의 와당(기와의 막새나 내림새의 끝에 둥글게 모양을 낸 부분)은 연약함이 특색을 이룬다.

백제 금동대향로

예술

그림은 능산리 고분의 연화문 ·운문, 사신도의 벽화와 송산리 고분의 신수도가 우아한 면을 표현해 주고 있으며, 화가로는 위덕왕의 왕자로 왜국에 건너가서 쇼토쿠 태자를 그린 아좌태자와 백제 말기에 일본에 건너가 산수화를 전하고 사천왕상을 남긴 하성이 있다. 그리고 글씨로는 사택지적비(사륙변려체), 무령왕릉의 지석(해서체) 등이 있다.

 

음악은 56세기에 남송과 북위의 기록에 백제 음악이 적혀 있고, 일본서기에 보면 백제의 음악가가 왜에 건너가 음악을 가르쳤다는 기록이 있다. ··공후 ·쟁 등의 악기가 있었다고 한다. 또한 백제의 미마지가 중국 오나라에서 배운 음악을 왜에 전한 사실이 널리 알려져 있다. 작자 ·연대가 미상인 정읍사악학궤범에 전해지며, 노래의 제목만이 고려사》 〈악지에 전해지는 것으로는 지리산가》 《무등산가》 《방등산가》 《선운산가등이 있다.

 

교류

백제는 후기부터 양을 비롯한 남조의 각국으로부터 문화를 전수받았다. 양나라에는 조공을 보내어 불교 등의 경서와 모시박사·공장·화사를 청하는 등 양의 문화를 수용하였고, 이렇게 받아들인 종교와 문화는 왜국에 전파되어 아스카 문화가 시작하는데 영향을 주었다. 초기에는 아직기·왕인 등이 왜국에 한학과 유교를 전했으며, 특히 왕인은 천자문을 전해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외에도 오경박사가 왜국에 조공사절단으로 파견되었으며 기술자인 봉녀·야공·양주인을 비롯해 와박사·조사공 등의 건축자도 꾸준히 파견되었다.

 

왕실 부여씨 

대외 관계

고구려와의 관계

371년 평양성 전투에서 고국원왕이 전사하면서 고구려와 백제는 원수지간이 되었다. 광개토왕릉비에는 백제를 백잔(百殘)으로 비하하고 있다. ()은 잔인하다, 흉악하다는 뜻이다. 그러나 6세기 후반 신라가 가야를 점령하며 점차 그 세력을 넓혀가자 백제는 이를 견제하기 위해 고구려와 군사 동맹을 맺었다.

 

신라와의 관계 신라의 삼국통일

중국 왕조와의 관계

진서에 따르면, 백제가 전성기였던 4세기에 근초고왕은 동진에 사신을 보내서 조공하였다[25] 동진과 동맹을 맺어, 고구려에 투쟁하려고 하는 백제의 사대주의적 외교는 침류왕 대에도 계속되었다. 침류왕 원년 7월에도 백제는 동진에 조공하였다. 게다가 음력 9월에 동진에서 호승(胡僧) 마라난타가 오자, 궁중에 머물게 하고 1급 국빈으로 대접하였다. 470, 송 왕조 시기에도 사신을 보냈으며, 472년에는 북위에 처음으로 사신을 보냈다. 그리고 무령왕과 성왕은 양나라에 여러 차례 조공을 보내는 대가로 양나라 귀족 칭호를 하사받았다.

요서경략설

백제가 중국의 랴오시 지방을 점령하고 지배했다는 가설이다. 근거는 송서, 양서등의 남조계 사서에 기록된 백제의 요서 지방 점령 기록이나 지리적으로 랴오시 지방과 인접한 북조계 사서에서는 관련 기록이 나타나지 않아 학계에서 논란이 된다. 국사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하는 국사교과서에는 1990년 이전까지 백제가 요서를 정복했다고 서술하고 있었으나 1990년 이후부터는 진출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여 애매모호하게 표현했다.

 

일반적으로 역사학계에서는 백제의 요서진출을 부정하는 것이 정설이며,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견해도 상업적·군사적인 일시적 진출로 본다. 한편으로 환단고기 등의 의사 역사학을 주장하는 재야사학자들은 백제의 대륙 진출이 사실이라고 주장하며 그 강역에 대해서도 랴오시 지방뿐 아니라 산둥 반도 등 중국 곳곳으로 과장되게 비정하나 역사학계에서는 인정되지 않는다.

 

요서 진출 시기에 대한 문제도 논란의 대상이 된다. 송서, 양서등의 기록에 따르면 대륙 정복 시기는 진() 말기로, 고구려가 요동을 점령한 이후라고 한다. 고구려가 요동을 명백하게 점령한 시기는 광개토왕 때(391~413)의 일로 이 시기의 백제는 고구려와의 전쟁에서 크게 패하여 58개 성을 빼앗기는 등 중국을 다스릴 여력이 없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고구려가 385년 일시적으로 요동을 점유하였을 때 백제의 요서 진출이 있었을 것으로 보는 학자도 있다.

 

또한 삼국사기, 남제서 등에는 490년에 위나라(북위) 기병의 공격을 백제가 막아낸 기록이 남아 있어 이를 근거로 일각에서는 이 시기까지도 백제가 요서지방이나 기타 해외에 영토를 통치하고 있었음을 주장하기도 한다. 그러나 학계에서는 이 기록의 위나라를 고구려의 오기로 보아 인정하지 않는 편이며, 같은 기록에 백제 측의 전공으로 '선박을 쳐부순 것(拔臺舫)'을 들고 있는 것으로 보아 위나라가 실제로 함대를 보내 백제를 침공해 왔을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는 등 논란이 매우 많다.

왜국과의 관계

3세기 이전

기원전 3세기, 삼한과 고조선으로부터 일본 열도로 사람들의 이동이 시작되었다. 일본으로 간 고대 한국인(야요이인)들이 일본에 벼농사법을 전수해주었다는 것이 일본인 학자에 의해 일본 각지의 초기 논의 구조 형태와 농기구들, 토기, 주거 형태와 부락 등을 통해 고고학적으로 규명되고 있다.

한반도 벼농사의 도래에 관해 교토대학 사학과의 가도와키 데이지(門脇禎二) 교수는 토기의 고고학 측면에서 다루고 있다. 모름지기 일본의 벼농사 문화는 한반도 남쪽인 한국을 거쳐 직접 전해졌을 가능성이 가장 크다. 한국 특유의 바둑판형 고인돌이 기타큐슈의 조몬 시대(BC 3세기 이전) 후기 말경부터 야요이 시대(BC 3AD 3세기) 전기에 만들어졌다고 하는 것과, 한국의 고인돌에 있는 특유한 간석기가 기타큐슈의 야요이 시대 전기 유적에서도 발견되었다는 점 등은 야요이 문화 형성기에 한반도와 기타큐슈 사이에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는 것을 말해준다.

나가사키현의 시마바라 반도에 있는 하라야마 유적을 조사하였더니 조몬 시대 만기의 토기와 함께 한국식 고인돌 무리가 발견됐다. 또한 시마바라 반도의 구레이시바루 유적에서는 벼와 직물이 짓눌린 흔적이 있는 토기가 발견됨으로써 이미 조몬 시대 만기(晩期)에 한국 문화와 접촉이 있었으며, 야요이 문화의 주요 구성 요소 중에 벼와 직물이 조몬 만기의 사회에 전해진 것을 알게 되었다. 일본에 벼농사가 시작된 시기와 관련된 여러 요소를 검토해 보면 모든 것이 한반도 남부와 직결된다.

4세기 이후

칠지도

근초고왕(재위 346~ 375)은 왜와 국교를 수립하고 많은 선진 문화를 전했다. 백제가 언제부터 왜와 통교하고 있었는지는 정확하지 않으나 근초고왕대에 이르러 양국은 활기차게 적극적인 교류를 하였다. 당시 백제가 왜에 보낸 칠지도는 양국의 교류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 중의 하나이다. 백제와 왜의 국교 수립은 서기 366(진구 황후 46, 근초고왕 21)에 이뤄졌다. 백제는 근초고왕 시기 때부터 섬진강 유역으로 진출하여 하구에 위치한 하동을 대왜교역의 거점으로 확보하였다. 백제는 본래 한성에서 천안을 거쳐 금강에 와서 남원에서 섬진강을 타고 하동으로 가는 교역로를 확보하였다. 하동에서 쓰시마섬을 축으로 해서 이키섬, 그리고 규슈의 마쓰우라반도(松浦半島)에 이르는 길과 쓰시마섬에서 오키노시마(), 후쿠오카현 북쪽 해안에 이르는 길이 생겨났다. 고구려 장수왕(재위: 412년 음력 10~491년 음력 12)의 군사들이 한성으로 남침해 개로왕이 살해(475) 되고, 왕자인 문주왕(재위 475~477)은 위기에 빠진 백제를 구하기 위한 숱한 고민 끝에, 목만치와 함께 남쪽으로 갔다. 여기서 "남쪽"이 일본을 뜻한다고 하는 견해들이 있다. 이러한 견해에 따르면, 목만치는 일본에 건너가 성()을 바꾸어 소가노 마치라는 이름의 귀족이 된다.

스다하치만 동경

현존하는 인물화상경(5~6세기)은 백제 무령왕(재위 501~523)이 게이타이 천황(재위 507~ 531)에게 선물로 보낸 거울인데, 이것은 백제와 왜의 친밀한 사이를 증명한다. 무령왕은 513년 오경박사 단양이(段楊爾)516년 고안무(高安茂)를 왜국에 보내어 백제의 문화를 왜국에 전해주기도 하였다. 무령왕의 왕위를 계승한 성왕(재위 523 ~ 554)도 일본과의 우호관계를 이어갔다. 성왕 때, 백제는 일본에 불교를 전파했다(538). 성왕은 긴메이 천황(재위 539~ 571)에게 사신과 함께 불상 및 불경을 보냈다. 이때 백제에서 건너온 물품 속에는 불교의 교리는 탁월하나 난해하고, 그것을 믿으면 무한한 복이 있을 것이라는 편지도 있었다. 불교의 수용을 둘러싸고 왜국 조정은 큰 소용돌이에 빠졌다. 긴메이 천황과 소가노 마치의 후손이자 호족인 소가노 이나메(蘇我稻目)는 불교를 수용하려 했으나 또다른 호족 모노노베노 오코시(物部尾輿)와 나카토미노 가마소(中臣鎌子)가 이에 반대하였으므로, 긴메이 천황은 둘 사이에서 시달리게 되었다. 그리고, 백제는 석가불금동상 1, 번개(幡蓋) 약간, 경론(經論) 약간권을 딸려서 달솔 노리사치계(怒唎思致契) 등을 일본에 파견(552)하였다.이 번개는 그 장엄함이 기록되지 않았으나 일본서기에 기록될 정도이므로 보통이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 552년에는 사원 건설을 위해, 많은 학자와 기술자를 비롯하여 의사나 음악가까지 파견하였다. 이렇게 성왕은 일본에 불교를 전파하도록 하였으며 성왕은 또한 의박사 · 역박사 등의 전문가와 기술자를 교대로 파견하여 왜국에 선진문물을 전파하는 데 기여하였다.

백제로부터 불교를 적극적으로 수용한 쇼토쿠 태자와 동생(왼쪽: 에구리 황자)과 장남(오른쪽: 야마시로 황손)

8세기 목판 복제

위덕왕(재위 554~ 598) 때에도 교류가 이어졌다. 577(위덕왕 24, 비다쓰 천황 6)에는 백제에서 일본으로 경론 몇 권, 대대적인 학자와 율사 · 선사 · 비구니 · 주금사 등 승려 집단, 불상 만드는 기술자, 사찰을 지을 목수들이 파견되었다. 이때부터 일본에서는 절과 부처 등을 만들었다.그 뒤, 금속공예사, 기와 굽는 기술자들까지 건너갔다. 신라에서도 579년에 승려와 불상을 보냈다. 583년에는 비다쓰 천황의 요청으로 고승 일라(日羅)가 건너갔다. 584년 백제는 다시 왜국에 불상 1구와 미륵상 1구를 보냈다.

이때 대신으로 있던 소가노 우마코(蘇我馬子, (551?~626)는 소가노 이나메의 아들이었는데, 우마코도 부친 소가노 이나메의 불교 수용에 대한 유언에 따라 이 불상을 받아들이려 했다. 588(위덕왕 35)에 백제는 불사리(佛舍利)와 승려 여섯 명, 노반박사(鑪盤博士)로서 장덕(將德) 백매순(白昧淳), 와박사(瓦博士)로서 마나문노(麻奈文奴) · 양귀문(陽貴文) · 석마제미(昔麻帝彌) 등 네 명, 화공(畵工) 한 명 등 사찰 건설에 필요한 기술자를 일본에 파견하여 백제의 공예미술이 일본에 널리 전파되었다.

 

소가노 우마코는 불교 수용에 적극적인 성향을 보여, 마찬가지로 불교 수용에 관심을 보이던 쇼토쿠 태자와 연대하여, 불교 수용에 반대하는 배불파(排仏派)이자 국신파(国神派)인 모노노베노 모리야(物部守屋)와 정쟁을 되풀이한 끝에 승리를 거두어 오무라지(大連)인 모노노베 씨를 타도하고 중앙 권력의 정점에 섰다. 모노노베 씨는 백제에서 불교까지 들어온다면 자기네의 선주(先住) 신앙과 조정에서의 세력이 더욱 약화될 것을 우려하고 있었다. 602년 관륵(觀勒)이 일본에 건너가 천문 · 책력 · 지리 · 둔갑방술(遁甲方術) 등에 관한 많은 책을 전하고, 불교를 전파하였다.

백제의 패망과 왜의 참전

백강전투

의자왕 13(653) 백제는 왜와 우호를 통하고동왕 16(656)17(657)에는 왜국에 앵무새·낙타·당나귀 등의 희귀품을 진배하였다. 그러나 신라와 당의 연합군에 의하여 660년 멸망하였다. 이후 복신이 이끄는 부흥군은 부여풍을 임시왕으로 추대하였다. 삼국사기일본서기의 두 기록을 종합하면 풍은 631년 인질로서 왜국에 30년간 거주하고 있었다. 일본서기"의자왕이 왕자 풍장을 보내 질()로 삼았다" 고 적고 있고, 삼국사기에서도 "일찍이 왜에 질()로 가 있던 옛 왕자 부여풍을 맞아 왕으로 삼았다" 고 기록한다.

부흥군과 부여풍은 왜의 원병을 요청했다. 왜는 병력과 물자를 원조하였다. 6638, 권력을 장악하고 있던 복신과 풍의 내분이 격화되어 결국 풍이 전라도에서 복신을 살해한 뒤, 풍은 고구려와 왜에 사신을 보내 원병을 청했다. 귀실복신의 죽음으로 부흥군 지도부가 분열하고 있을 때 신라는 서둘러 부흥군을 진압하였고, 당은 웅진도독부의 유인원의 증원요청에 따라 유인궤(劉仁軌)가 인솔하는 수군 7천 명을 파병했다. 육지에서는 당의 손인사(孫仁師유인원 그리고 신라의 문무대왕이 이끄는 정예군이, 바다에서는 당의 두상(杜爽) 및 옛 태자였던 부여융이 이끄는 170여 척의 수군이, 수륙협공으로 백제 부흥운동의 수도 주류성으로 진격했다. 이때 육지에서는 백제의 노병들이 진을 쳤고, 바다에서는 왜선들이 강변의 모래밭에 정박해 있었다.

 

왜선은 전군을 셋으로 나누어 공격했지만 전술 및 간조의 시간차로 인해 당군에 비해 수적으로 우세였음에도 불구하고 네 번 모두 참패했다. 게다가 다른 한쪽에서는 왜의 수군이 신라군에 이렇다 할 만한 손실을 입히지도 못한 채 격퇴됨으로써, 선박 건조 기술이나 수군의 전략, 군사 훈련 차원에서 당시 왜가 동아시아에서 얼마나 후진적이었는지는 보여주는 사건으로 꼽힌다. 왜병의 장수였던 에치노 다쿠쓰는 하늘을 보며 맹서한 뒤 이를 갈며 분전했지만 끝내 전사했고, 규슈의 호족이었던 치쿠시노기미 사쓰야마(筑紫君薩夜麻)도 당병에 붙들려 8년 동안이나 포로로 당에 억류되어 있다가 귀국을 허락받았다. (백강 전투)

 

백제는 왜국과 교류가 많았기 때문에 왜국의 귀족층에는 백제계 도래인의 자손이 많이 있었다. 백제를 일본어로는 "구다라"라고 하는데, 나라가 멸망한 뒤에는 풍의 남동생·선광의 자손은 왜국 조정으로부터 구다라노코니키시의 성을 받아, 왜의 귀족이 된다. 간무 천황(재위 781~806)의 어머니인 다카노노 니가사는 무령왕(재위 501~523)을 조상으로 하는 도래인 야마토씨의 출신이다. 일찍이 열도로 망명한 백제인들은 현재의 오사카시에 몰려 살면서 '백제주'(일본어: 百濟洲 쿠다라스)라는 마을을 만들었다.

Sources Wiki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