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역사문화기행 (2006~) <여행지>/4.조선왕릉 41

서오릉 (순창원 / 경릉 / 대빈묘)

순창원 順昌圓 (순회 세자와 공회빈)- 사적 제198호 순창원은 조선 13대 명종 (明宗)의 맏아들 순회 세자 (順懷世子: 1551~1563)와 공희빈 윤 씨 (恭懐嫔 尹氏: 1552?~1592)의 *원이다. 순회 세자는 7세에 세자로 책봉되었으나, 왕위에 오르지 못하고 13세에 세상을 떠났다. 공회빈은 1561년 (명종 16년) 왕세자빈이 되었으나 남편이 일찍 떠나 왕비가 되지 못하였다. 1592년 (선조 25년) 세상을 더 났는데, 임진왜란 혼란 속에서 시신이 수습되지 못했다. 선조는 임진왜란이 끝난 후 신주**를 만들어 순회 세자와 합장하였다. *원 圓 : 왕의 사친 (후궁이나 왕족), 왕세자, 왕세자빈, 황태자. 황태자비 등의 무덤 **신주 神主 : 죽은 사람의 위패 경릉 敬陵 (추존 덕종과 소혜..

서오릉 (소나무길/인성대군초장지)

인성 대군 초장지 仁城大君 草葬地 이곳은 조선 8대 예종睿宗의 첫째 아들인 인성 대군 (1461~1463)의 묘가 있던 자리이다. 처음 인성 대군이 세조 9년(1463)에 세상을 떠나자 의경세자 (추존 德宗)의 무덤 근처에 묘를 조성하였다. 이후 일제강점기 때 서삼릉西三陵 경내왕자. 왕녀 묘역으로 이장되었다. 현재 서삼릉 경내의 인성 대군 묘에는 봉분과 이장하면서 새로 제작한 표석이 있으며, 이곳에는 조선당시에 만든 문석인文石人 상석 牀石. 표석表石이 남아 있다. 인성 대군은 예종과 장순왕후章順王后 한 씨韓氏의 아들로 세조 7년 (1461)에 원손元孫으로 태어났으나, 세조 9년 (1463) 3세의 어린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세조는 어린 손자에게 효소孝昭라는 시호를 내리고, 인성 군仁城君으로 추봉 하였다..

서오릉 (고양시)

고양 서오릉 (高揚 西五陵) 사적 제198호 서오릉은 '서쪽에 있는 다섯 기의 능"이라는 뜻으로 구리 동구릉 다음으로 규모가 큰 조선왕실의 왕릉 군이다. 조선 7대 세조의 아들 의경세자 (추존 덕종)의 묘를 이곳에 처음으로 조성하였고, 이후 여러 왕과 왕후의 능이 조성되어 5기에 이르렀다. 서오릉 안에는 왕릉 5기 외에 2기의 원과 1기의 묘가 있다. 창릉 昌陵 : 8대 예종과 두 번째 왕비 안순 왕후 한 씨 가 동원 이강 릉 경릉 敬陵 : 추존 덕종(의경세자)과 소혜왕후 (인수대비) 한 씨의 동원 이강 릉 익릉 翼陵 : 19대 숙종의 첫 번째 왕비 인경왕후 김 씨의 능 명릉 明陵 : 19대 숙종과 두 번째 왕비 인현왕후 민 시 쌍릉** 세 번째 왕비 인원왕후 김 씨 (단릉)의 동원 이강 릉 홍릉 弘陵 ..

남양주 사릉

남양주 사릉 南楊州 思陵 사적 제209호 사릉은 조선 6대 단종의 왕비 정순왕후 송 씨 (1440~1521)의 능이다. 정순왕후는 1457년 (세조 3년) 단종이 폐위되자 군부인으로 강등*되어 정업원** (현 서울 종로구 숭인동 소재)에서 생활하였다. 1698년 (숙종 24년)에 단종이 왕으로 복위 대면서 정순왕후로 복위되었고, 단종을 평생 그리워하며 살았다 하여 능의 이름이 사릉으로 불리게 되었다. 사를 주변에는 해주정씨 묘역이 있다. 정순왕후가 세상을 떠나자 해주 정 씨 집안에서 지금의 자리에 묘를 조성하였고, 제사도 지내 주었다. 이후 숙종대에 정순왕후가 복위되어 군부인의 무덤에서 사릉으로 높여지면서 사릉 능역 안에 있돈 해주 정 씨 집안의 묘를 능역 밖으로 옮기는 것에 대한 의견이 있었다. 그러나..

서울 헌릉과 인릉

서울 헌릉과 인릉 서울 獻陵과 仁陵 (사적 제194호) 헌릉은 조선 제3대 태종 太宗 (1362~1422, 1400~1418 재위)과 원경왕후 민 씨 元敬王后 閔氏 (1365~1420)의 능이고, 인릉은 조선23대 순조 純祖 (17901834, 1800~1834 재위)와 순원왕후가 먼저 세상을 떠나자 헌릉에 모셨고, 2년 뒤에 태종이 세상을 떠나자 쌍릉*의 형태로 능이 조성되었다. 이후 1856년 (철종 7년) 경기도 파주에 있던 순조의 인릉을 현재의 자리로 옮겼고, 이듬해 순원황후가 세상을 떠나자 합장릉** 의 형태로 능이 조성되었다. *쌍릉 : 한 언덕에 왕과 왕후의 능을 나란히 조성한 형태. **합장릉 :왕과 왕후를 하나의 봉분 안에 조성한 형태. 헌릉 獻陵(태종과 원경황후) 헌릉은 조선 3대 태종..

인릉

서울 헌릉과 인릉 서울 獻陵과 仁陵 (사적 제194호) 헌릉은 조선 제3대 태종 太宗 (1362~1422, 1400~1418 재위)과 원경왕후 민 씨 元敬王后 閔氏 (1365~1420)의 능이고, 인릉은 조선23대 순조 純祖 (17901834, 1800~1834 재위)와 순원왕후가 먼저 세상을 떠나자 헌릉에 모셨고, 2년 뒤에 태종이 세상을 떠나자 쌍릉*의 형태로 능이 조성되었다. 이후 1856년 (철종 7년) 경기도 파주에 있던 순조의 인릉을 현재의 자리로 옮겼고, 이듬해 순원황후가 세상을 떠나자 합장릉** 의 형태로 능이 조성되었다. *쌍릉 : 한 언덕에 왕과 왕후의 능을 나란히 조성한 형태. **합장릉 :왕과 왕후를 하나의 봉분 안에 조성한 형태. 인릉 仁陵 (순조와 순원황후) 인릉은 조선 23대 ..

중랑구 선빈안씨 숙선옹주묘

선빈안씨 (善嬪安氏) 숙선옹주 (淑善翁主)묘 태종 (太宗)의 후궁. 검교 판한성부사 (判漢城府事) 안의 (安義)의 딸, 1421년 (세종3년)에 숙선옹주 (淑善翁主)로 책봉, 소생으로는 익녕군 이치 (益寧君 李袳> 태종의8남)와 소숙옹주 (昭淑翁主), 경신옹주(敬愼翁主)가 있음. 현위치 : 서울시 중랑구 공릉로 2라길 48. 산 37-3

연산군묘 - 도봉구

연산군묘 연산군묘는 조선 10대 연산군 (1476~1506. 1494~1506재위) 과 거창군부인 신씨 (1476~1537)의 묘역이다. 연산군은 성종과 페비윤씨의 아들로 태어나 1494년 왕위에 올랐다. 붓글씨를 잘 쓰고 시를 잘 지어 이름을 날리기도 했다. 그러나 두번의 사화로 조정이 어지러워지자, 반정으로 폐위 (1506년-중종1년) 되고 이복동생중종이 왕위에 올랐다. 이후 연산군으로 강등되고 강화도로 유배되어 그 해 31세로 세상을 떠났다. 1512년 (중종7년) 부인 신씨가 묘를 강화도에서 이곳으로 옮겨줄 것을 요청하여, 중종은 1513년(중종8년) 왕자의에에 따라 묘를 옮기고 양주군의 관원이 제사를 관리하도록 하였다. 왕릉보다는 간소하나 왕자의 묘제에 따라 곡장, 혼유석, 장명등, 문석인, 재..

정의공주묘역 - 도봉구

양효공 안맹담과 정의공주 묘역 지정번호: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0호 / 시대: 15세기후반 소 재 지: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 산63번지 1호 이 묘역은 양효공(良孝公) 안맹담 (安孟聃: 1415~1462)과 그의 부인 정의공주 (貞懿公主?~1477)를 합장한 곳이다. 이 묘역의 봉분은 쌍분이고, 신도비 묘표2기. 상석2기, 문인석 2쌍, 3단 게체석 등의 석물이 남아 있다. 양효공의 본관은 죽산(竹山)으로 함길도 안망지(安望之)의 아들이다. 1428년 (세종100에 14세의 나이로 세종의 둘째딸 정의 공주와 결혼하였는데 부부의 금슬이 매우 좋았다고 전한다. 세종은 그에게 한강 가운데 있는 저자도와 낙천정을 하사하였다. 그는 초서를 잘써서 서예가로 이름이 높았고 음악과 의학에도 통달하였다. 묘역의 ..

조선왕조 계보도

조선왕릉 갯수는 총 120기에 이르는데 능이 42기, 원이 14기, 묘가 64기 라고 합니다. 그 중에서 왕과 왕비의 능은 남한에 40기, 북한에 2기가 있는데요. 북한에 있는 두 개의 능은 '태조 원비 신의왕후의 묘인 제릉'과 '정종과 정인왕후의 묘인 후릉'이 있습니다. 그리고 남한에는 40기의 능이 있는데 2009년에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어 있는 있는 상태입니다. 남북이 빨리 종전선언과 평화동지가 되어 남은 2기까지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길 기원해 봅니다. 능, 원, 묘의 차이점은? 능은 왕과 왕후의 무덤이고, 원은 세자와 세자비, 후궁의 무덤, 묘는 그 외 왕족의 무덤을 의미합니다. 아울러 왕실 무덤의 형태도 여러가지가 있는데요. 한 분만 모시고 있는 것은 단릉 두 분을 따로 모셔서 이웃하게 배치한 ..

선릉정릉

선릉.정릉 宣陵 .貞陵(사적 제199호) 선릉은 조선 제9대왕인 성종 成宗 1497~1494 재위 1469~1494ㅘ 그의비 정현왕후 1462~1530의 능이다. 정릉은 성종과 정현왕후의 아들이며 조선제11대 왕인 중종中宗 1488, 재위1506~1544의 능이다. 성종은 세종과 세조의 업적을 바탕으로 조선시대 통치제도의 기준이된 을 편찬하는 등여러가지 업적을 남겼다. 정현왕후는 연산군의 어머니 윤씨가 물러난 후 왕후 자리에 올랐다. 중종은 연산군을 몰아내고 왕위에 오른후 향약鄕約을 권장하여 유교적인 체제를 마련하였다. 선릉 宣陵 선릉은 조선 9대임금 성종 (1457~1494) 재위 (1469~1494) 계비 정현왕후 윤씨 (1462~1530)를 모신 동원이강릉이다. 서쪽언덕에 성종의 능침이, 동쪽언덕에..

도심 속 역사의숲

서울 선릉과 정릉 宣陵. 貞陵 (사적 제199호) 이곳에는 조선의 제9대 임금 성종과 계비 정현왕후 윤씨를 모신 선릉, 그리고 제11대 임금 중종을 모신 정릉이 있다. 선릉은 1494년에 성종이 승하하면서 조성하였는데 정현 왕후가 돌아가시자 그 옆에 동원이강릉형식으로 만들어졌다. 정릉은 원래 고양시 서삼릉 구역에 정경왕후와 함께 조성하였으나 1562년에 이곳에 옮겨왔다. 선릉과 정릉의 원찰로 봉은사가 있으며, 봉은사는 선릉과 동북쪽 약1km에 있다/선릉과 정릉은 1970년대 개발 압력에도 현재의 지역이 잘 보존되어 대표적인 도심속 왕릉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재실 재실은 제레앞에서 제관들이 미리 도착하여 몸과마음을 정화하고 제례를 준비하는 곳이다.평소에는 참봉 (종9품)등 관리가 이곳에 상주하면서 능역을..

광릉 숲길

광릉 숲 이야기 인간과 자연이 만든 보물 "보물숲" 광릉숲이 만들어지고 광릉숲이 불린이유는 단하나 이곳 광릉 (光陵) 이 있기 때문이다. 광릉숲은 조선 제7대 왕인 세조와 그의 왕비 정의 왕후의 능을 모신 광릉의 부속릉이다. 세조의 유언에 따라 1468년 자신의 능이 들어설 자리를 능림으로 정한 뒤 산직을 두어 왕릉 사방15리 약 3600ha의 숲을 능의 일부로 정해 조선 말기까지 출입을 막고 철저하게 보호했다. 격작과 매장은 몰론 풀 한포기 뽑는 것조차 금지했다. 조선초기부터 지금까지 500년이상을 철저히 보호되고 관리되고 있으며 역사적 문화적 학술적 가치를 지닌 "광릉숲"이 된것이다 -1468년 제7대 세조대왕 광릉 조성 -1483년 세조왕비 정의왕후 안장 -1913년 최초의 임업시험림 지정 -197..

남양주 광릉

남양주 광릉 ( 제7대 세조와 정희 왕후의 능 ) 세조 (世祖1417~1468) 세종 둘째 아들로 1453년 (단종1)에 계유정남을 일으켜 조정을 장악하고 1455년 단종의 양위를 받아 왕위에 올랐다. 왕위에 오른후 왕권강화를 위해 왕과 육조 (이.호.예.병.형. 공조) 를 직접연결하는 육조직계제를 부활시켰으며 호적제도와 호패제를 강화하였다. 진관체제를 실시해 전국방위체제를 수립하고 중앙군을 5위로 개편하였고 , 1460년 1467년 두차레에 걸처 북방여진족을 소탕하는등 국방강화에 힘썼다.만년에는 왕위찬탈에 대한 뉘우침으로 불교에 귀의하였다. 정의황후 (貞意皇后 1418~1483) 1455년에 세조가 왕위에 오르자 왕비로 책봉되었다. 예종이 왕위에 오르자 내지 (內旨) 로 하여금 간접 정치에 참여하였으며..

광해군 묘

광해군 조선왕 제15대 묘호 : 광해군 (光海君) 휘: 이혼 선조와 공빈김씨의 둘째아들이다. 생애 : 어려서 생모 공빈김씨를 여의고 부왕의 냉대 속에 자랐다. 외할아버지인 김희철마저도 임진왜란중에 전사하면서 그가 기댈 곳은 없었다. 그러나 선조에 적자가 없는데다 서장남인 임해군이 포악하고 인망이 없어 서차남이었던 광해군이 선조의 정비인 의인왕후 박씨의 양자가되어 임진왜란 중에 평양에서 세자로 책봉되었다. 임진왜란 동안 세자의 몸으로 부왕을 돕고 전쟁승리에 적지않은 공을 세웠으나, 부왕의 안정은 커녕 견제와 냉대를 당해야 했다. 그후1606년 선조의 계비가 된 인목왕후가 영창대군(적자)을 낳자 광해군을 미워하던 부왕 선조는 다시 영창대군을 세자로 책봉하여 왕위를 물려주려 하였지만, 1608년 지병이 악화된..

덕혜옹주 묘

덕혜옹주 (德惠翁主) 墓 고종황제와 귀인 양씨의 고명딸인 덕혜옹주 (1912~1989)의 묘이다. 고종은 덕혜옹주 교육을 위해 덕수궁 (경운궁)에 처음으로 유치원을 설립할 정도로 덕혜옹주를 아꼈다. 덕혜옹주는 9세가 될때 까지 복녕당 아가씨로 불리다가 1921년 덕혜옹주로 봉해졌고 1925년 일제가 유학이라는 명분을 세워 일본으로 데려갔다. 일본에서는 영친왕 숙소에 기거하면서 학습원과 중등과정을 수료하였다. 19세에 소다케유키와 결혼하여 딸 하나를 낳았다. 1962년에 대한민국으로 귀국하여 창덕웅 낙선재에 기거하다가 1989년 세상을 떠났다

화인원 : 이구묘

화인원 (화仁園) 영원 동쪽에 위치한 화인원은 황세손 이구 (李玖 1931~2005)의 묘이다. 영친왕과 이방자여사의 둘째 아들로 1931년 일본 도쿄에서 태어났다.1945년 광복 후 귀국하려 했으나 무산되어 일본과 미국을 오가며 생활하였다. 미국메사추세추 (MIT공과대학을 졸업하고 건축가 등으로 활동 하였으며,1959년에 미국줄리아 멀목과 결혼하였으나 1982년 이혼하였다. 1963년 대한민국국적을 얻었으며,2005년에 75세의 나이로 일본 도쿄의 한 호텔에서 별세하였다.

영원 : 의민황태자 (영친왕)

영원(英園)은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태자인 의민황태자 (영친왕 : 1897~1970) 와 의민황태자 비 (이방자 :1901~1989)의 합장묘이다. 의민황태자는 고종 순헌 황귀비 엄씨의 아들로써 이름은 은(垠)이며 1900년 (광무4년) 영친왕 (英親王)에 , 1907년 (융희1년) 황태자에 책봉되었다. 그러나 일제의 강압으로 일본유학을 가게 되었고 , 1910년 경술국치로 융희황제 (순종)가 이왕 (李王)으로 격하되면서, 그도 황태장에서 왕세자가 되었다. 1920년 일본의 정책에 따라 일본 황족인 나시모토노미야 모리마사 왕의 왕녀 마사꼬 (이방자)와 정략결혼을 했다. 1926년 순종이 승하하자 명목상 이왕의 지위를 받았고 , 1945년 일제가 패망하자 귀국 하려 했으나 병환이 악화되어 1970년. 73세..

순종황제 : 유릉

순종 묘호 : 순종 (純宗) 휘: 이척 1874년 (고종11년) 음력2월8일 (양력 3월28일) ~1926년 양력 4월25일)은 대한제국의 2대황제이자 조선왕조의 27대왕이다. 연호 융희제(隆熙)라고 불리기도 한다 생애 고종과 명성황후의 장남으로 태어난 그는 1875년에 왕세자로 책봉되었다. 1895년 모후 명성황후가 경복궁에서 암살되는소식을 접하였는데 이때 부황 고종과 함께 일본낭인과 조선인 협력자들에 의해 창덕궁 또는 덕수궁에 감금당해 있었다. 1895년 홍범14조 반포와 동시에 왕태자로 올랐고 1997년에 대한제국이 수립면서 되면서 황태자로 격상되었다. 1989년 김홍륙이 고종과 황태자였던 순종이 즐기던 커피에 다량의 아편을 넣었는데 고종은 맛이 이상함을 알고 곧바로 밷었으나, 순종은 알아차리지 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