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청계천 미완의과제 미완의 과제들 노후한 구조물 철거, 도심 친수공간 조성, 대기환경 개선, 도시경관 향상, 천변지역 토지이용 활성화 등 청계천 복우너사업은 많은 성과를 이루어 냈다. 그러나 원래 간선 하수도 기능을 하던 청계천을, 그것도 복개이후 하천 너비가 크게 줄어든 상태에서 원래의 자연적, .. 10.역사문화기행 (2006~) <여행지>/5.서울역사박물관 2018.10.19
11.청계천박물관 특별전 청소년 보호 세운상가만 단속하면 된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세운상가 일대는 음란물의 유통에 있어 중추적인 공간 이었다, 단속은 1950년대, 60년대 미성년자 보호법, 외국간행물 수입, 배포에 관한 법률을 근거로 불량서적 단속에서 시작되었다. 70년대는 학생운동권, 용공사범들에 의한 .. 10.역사문화기행 (2006~) <여행지>/5.서울역사박물관 2018.10.19
10.청계천 복원사업 청계천 복원사업 1990년대 후반의 성수대교와 삼풍백화점붕괴, IMF 금융위기는 한 세대에 걸친 개발시대가 끝나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새롭게 도입된 지방자치제 속에서 성장과 개발대신 생태환경과 역사문화유산 보전이 민선시정의 중요한 가치로 등장했다.서울 도심을 관통하는 청계.. 10.역사문화기행 (2006~) <여행지>/5.서울역사박물관 2018.10.19
9.불이 꺼지지않는 청계천상가 불이 꺼지지않는 청계천상가 청계천 물길은 서울시민의 시야에서 완전히 사라졌지만 대신 청계로가 생겼다. 청계로 양쪽에는 현대식 상가건물들이 들어섰고, 복개구간이 늘어남에 따라 그 길이도 길어졌다. 1905년 그자리를 지켜온 광장시장을 거점으로 하여 동대문상권은 계속 동쪽으.. 10.역사문화기행 (2006~) <여행지>/5.서울역사박물관 2018.10.19
8.도로가 된 청계천 복개(覆蓋)도로가 된 청계천 1950년대 말의 청계천과 천변은 위생, 교통, 범죄 등 현대 도시 생활의 온갖 부정적 현상을 다 끌어안은 "문제적 공간" 이었다. 이 문제적 공간을 도심에서 제거하는 것이 서울의 당면 현안이라는 점을 부정하는 사람은 없었다. 이 일은 일제 강점기 이래 숙원(.. 10.역사문화기행 (2006~) <여행지>/5.서울역사박물관 2018.10.19
7.청계천 무허가 판자촌 청계천 무허가 판자촌 조선 후기 청계천 다리 밑과 오간수문 양쪽의 가산(假山)은 거지들의 공간이었고, 아랫대는 군병(軍兵)등 가난한 사람들의 주거지였다. 근대화 과정에서도 서울에 인구가 급증할 때마다 청계천은 가장 가난한 사람들에게 쉴자리를 내 주었다. 가산은 일제강점기에 .. 10.역사문화기행 (2006~) <여행지>/5.서울역사박물관 2018.10.19
6.만원 서울 사진 : 서울 시민증 만원(滿員) 서울 한국전쟁 중 서울의 주택과 도시기반시설, 생산시설들이 대거 파괴되었다. 서울 시민들은 빈손으로 자신의 삶터를 다시 일구고 나라를 재건해야 했다. 서울에서 전후 복구사업이 진행되는 동안 많은 지방민과 월남민이 서울에 새 터전을 마련했다. 196.. 10.역사문화기행 (2006~) <여행지>/5.서울역사박물관 2018.10.19
5.8.15와 해외동포의 귀환 8.15 광복과 해외동포의 귀환 1945년 8월15일 한국인들은 식민통치의 억압에서 벗어났다. 해방을 맞은 서울 시민들은 거리로 뛰쳐나와 만세를 부르며 환호했고, 식민도시 "경성'으로 격하되었던 서울은 원래의 이름과 위상을 되찿았다. 하지만 새나라를 건설하는 길은 무척 험난했다.냉전 .. 10.역사문화기행 (2006~) <여행지>/5.서울역사박물관 2018.10.19
4.일제시대의 청계천 청계천(淸溪川) 청계로(淸溪路) 일제 강점기 청게천의 별명은 "도시의 암종(癌腫), 제방도로의 별명은 "살인도로" 였다. 도시 인구 증가와 산업화, 생활양식의 변화로 인해 청계천의 수질(水質)은 급속히 나빠졌고, 명절이면 풍성하던 천변의 민속놀이는 자취를 감추었다. 청개천을 복개하.. 10.역사문화기행 (2006~) <여행지>/5.서울역사박물관 2018.10.19
3.엣사진속의 개천 개천시대 (開川時代) 조건 왕조가 새 도읍지오 정한 한양의 한 복판을 동서로 가로지르며 흐르는 하천은 도성민에게 생활용수를 공급하고 하수를 처리하기 위해 반드시필요한 자연물이었다. 또 풍수상으로도 도성 안 공간을 명당(明堂) 으로 만드는명당수이기도 했다.그러나 산으로 둘.. 10.역사문화기행 (2006~) <여행지>/5.서울역사박물관 2018.10.19
2.개천의 역사 태종, 개천정비 1405년 한양으로 재천도한 태종은 1411년 개거도감 (開渠都監. 1412년 개천도감읋 개칭)을 설치하여 하천 양변에 돌 축대를 쌓고 얕은 곳을 파내려 다리를 선설하도록 했다. 이 물길을 여는 개천공사는 이후 하천의 이름으로도 쓰였다. 개천 정비는 마무리된 후 개천(開天) 북.. 10.역사문화기행 (2006~) <여행지>/5.서울역사박물관 2018.10.19
1.서울 청계천 서울, 청계천 1394년 조선왕조의 도읍지가 된 이래 600여 년간, 서울은 모든 면에서 한반도의 중심이었다. 도성 안과 성밖 10리 (4km)까지 였던 한성부의 행정권역은 조선시대 내내 유지 되었으나 1914년 축소되었다가 1936년 이후 팽창을 거듭했다. 현재의 서울은 인구 1천여 만명, 면적 605.4 제.. 10.역사문화기행 (2006~) <여행지>/5.서울역사박물관 2018.10.19
4.19혁명기념관 4.19 혁명 연표 1.장기독재 정치 1948.8.15 정부수립 1952 7.4 발췌개헌 1954 11.27 사사오입 개헌 1958 4. 30 경향신문 강제폐간 2.부정선거에 대한 시민의 항거 1960. 2.28 대구학생위 3.15 부정선거/ 마산의거 4.18 고대데모 3.4.19혁명 1960 4.19 시민혁명 발발. 4.25 교수단 시위 4.시민의 승리 1960. 4.26 이승만.. 10.역사문화기행 (2006~) <여행지>/5.서울역사박물관 2017.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