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이후 단성사 해방이후의 단성사 해방이후 제작된 영화들은 민족의 수난과 항일투쟁, 독립에의 갈망, 향토재건 등 애국심을 고취한 일련의 광복영화였다. 단성사에서 1948년 2월11일에 < 독립전야 :1948> 상영되는데 이는 <자유만세:1946> <죄없는 죄인 :1948>과 함께 최인규감독의 광복영화 3부.. 10.역사문화기행 (2006~) <여행지>/5.서울역사박물관 2019.03.09
최고 흥행작의 산실 단성사 최고 흥행작의 산실 1960년대에서 1990년대까지 단성사는 제2의 전성기를 되찿았다. 단성사 상영은 흥행의 보증수표로 인식되었는데<겨울여자 1977> <장군의 아들 1990><서편제 1993> 등 히트작들이 잇달아 단성사에서 개봉되었다. <겨울여자>는 1977년 9월27일부터 1978년 4월7일 .. 10.역사문화기행 (2006~) <여행지>/5.서울역사박물관 2019.03.09
단성사의 마지막 2012 단성사의 마지막 1990년대 다수의 상영관과 전시. 상업시설을 갖춘 멀티플렉스 즉 복합문화 상영관이 등장하였다. 점차 대형 복합문화상영관이 늘어나면서 단성사는 위기를 맞게 되었다. 2001년 9월, 단성사 건물은 철거 되었고, 2005년 지상9층, 지하4층 규모의 복합상영관으로 재건축 .. 10.역사문화기행 (2006~) <여행지>/5.서울역사박물관 2019.03.09
딜쿠샤와 호박목걸이 딜쿠샤, 세상에 알려지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행촌동, 500여년 된 은행나무 옆에는붉은 벽돌으 서양식 가옥이 오래전부터 자리를 지키고 있었습니다. 1950년대 이후 이 집은 주변의 음산한 분위기 때문에 "귀신이 나오는 집'으로 불렸습니다. 1990년대에는 " 대한매일신보사옥"이나 "베델하.. 10.역사문화기행 (2006~) <여행지>/5.서울역사박물관 2019.03.06
호박목걸이 호박목걸이 메리L.테일러가 지은 "호박목걸이 (chain of amber)는 1917년 부터 1942년까지 테일러 부부의 서울 살이를 기록한 자서전 입니다. 자서전이 출판되기 전 1982년 메리L. 테일러가 세상을 떠나 그녀의 유고를 아들 브루스T.테일러가 정리하여 1992년 출간 하였습니다. 이 책에 등장하는 '호.. 10.역사문화기행 (2006~) <여행지>/5.서울역사박물관 2019.03.05
테일러 부부의 서울생활 테일러 부부의 서울 생활 (1917 ~1922) 운산금강(평안북도 운산군 소재) 에서 감독관이었던 앨버트W. 테일러는 1905년경 아버지에게서 독립하여 직산금광 (충남-천안부근)을 매입하였고 7년간 관리인으로 근무하였습니다. 그는 준설기 구입을 위해 일본으로 출장 갔을때. 요꼬하마 그랜드 호.. 10.역사문화기행 (2006~) <여행지>/5.서울역사박물관 2019.03.05
붉은 벽돌의 집 딜쿠샤 기쁜마음의 궁전 딜쿠샤 (1923~1942) 메리L. 테일러는 평소 한양도성의 성곽을 따라 산책하면서 발견한 은행나무 아래에 집을 짓기 원했습니다. 이 자리는 권율 장군의 집터로 알려져 왔으며, 커다란 은행마무로 인해 행촌동으로 불리었습니다. 일제가 남산에 있는 조선신궁보다 높은 곳에 .. 10.역사문화기행 (2006~) <여행지>/5.서울역사박물관 2019.03.05
틸구샤에서의 생활 틸구샤에서의 생활 메리L 테일러는 금강산, 화진포, 우너산 해수욕장 등 여러 곳을 유람하였습니다. 특히 금강산은 아름다운 경치로 외국인들에게 인기가 많았습니다. 1939년 금강산을 유람한 메리L 테일러는 금강산의 아름다움에 대해 극찬하며, 금강산의 절경을 그림으로 그리기도 하였.. 10.역사문화기행 (2006~) <여행지>/5.서울역사박물관 2019.03.05
일제에 의한 테일러부부의 강제추방 일제에 의한 강제추방 (1942~1948) 2차세계대전중 인도차이나 반도를 침략한 일제에 대해 미국이 경제제재 조치를 취하자 1941년 12월 7일 일본군은 하와이 진주만을 기습하였습니다. 일제는 서울에 거주하는 서양인들을 수용소에 가두거나 가택연금을 시켰습니다. 이후 풀려난 테일러 부부.. 10.역사문화기행 (2006~) <여행지>/5.서울역사박물관 2019.03.05
앨버트 테일러의 3.1운동 취재 앨버트 테일러의 3.1운동 취재 1차 세계대전 직후 미국대통령 윌슨이 제창한 민족자결주의 영향으로 조선에도 독립운동의 기운이 고조되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중 고종이 세상을 떠났습니다. 출산을 위해 세브란스 병원에 입원해 있었던 테일러부부는 병원에서 간호사들이 인쇄된 문서.. 10.역사문화기행 (2006~) <여행지>/5.서울역사박물관 2019.03.03
딜쿠샤 장식품 은제품 콜렉션 테일러 가문 유물기증 제니퍼 린리 테일러는 딜쿠샤의 집주인인 메리 테일러의 손녀입니다. 테일러는 2006년 아버지 브루스 티켈 테일러와 함께 딜쿠샤를 방문하였습니다. 2015년 아버지 브루스T.테일러가 세상을 떠나고, 2016년 3월 다시 딜쿠샤를 방문 하였으며, 딜쿠샤와 관련된 자료 30여.. 10.역사문화기행 (2006~) <여행지>/5.서울역사박물관 2019.03.03
고종국장 행렬 희귀사진 16장 고종 국장 행렬사진 앨버트W 테일러가 촬영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고종 국장 행렬 사진이다. 사진에 나오는 행렬은 경운궁에서 흥인문까지 촬영 되었다. 10.역사문화기행 (2006~) <여행지>/5.서울역사박물관 2019.03.03
경강3 경강 (京江) 경강(京江)은 한양에 속한 한강의 물줄기입니다. 한양도성과 함께 경강은 조선의 수도 한양의 역사와 형태를 표상합니다. 한양도성이 산경을 따라 구축된 왕도의 경계라면, 경강은 수계를 따라 한정된 한양의 지경입니다. 도성과 경강이 입체적으로 조망될 때 조선의 수도 한.. 10.역사문화기행 (2006~) <여행지>/5.서울역사박물관 2019.01.31
경강2 경강 (京江) 경강(京江)은 한양에 속한 한강의 물줄기입니다. 한양도성과 함께 경강은 조선의 수도 한양의 역사와 형태를 표상합니다. 한양도성이 산경을 따라 구축된 왕도의 경계라면, 경강은 수계를 따라 한정된 한양의 지경입니다. 도성과 경강이 입체적으로 조망될 때 조선의 수도 한.. 10.역사문화기행 (2006~) <여행지>/5.서울역사박물관 2019.01.31
경강1 경강 (京江) 경강(京江)은 한양에 속한 한강의 물줄기입니다. 한양도성과 함께 경강은 조선의 수도 한양의 역사와 형태를 표상합니다. 한양도성이 산경을 따라 구축된 왕도의 경계라면, 경강은 수계를 따라 한정된 한양의 지경입니다. 도성과 경강이 입체적으로 조망될 때 조선의 수도 한.. 10.역사문화기행 (2006~) <여행지>/5.서울역사박물관 2019.01.31
서울시청 외관 서울의 기억이 머무는 곳 1960년대 서울특별시청의 모습과 그 주변의 풍경을 볼 수 있는 사진이다. 이 당시 서울거리를 달리던 자동차들의 모습과 덕수궁 담의 형태, 시청 앞 광장의 모습 등을 확인해 볼 수 있다. 시청 앞 광장의 모습 등을 확인해 볼 수 있다. 시청 하늘 위에는 "시민의 알 (4월 28일)을 알리는 5개의 애드벌룬이 떠 있다. 사진에 더해진 정보중 주황색 글은 실재하는 지명과 건물에 대한 것이고, 흰색 정보는 역사적 상상력이 가미된 허구다. 10.역사문화기행 (2006~) <여행지>/5.서울역사박물관 2019.01.14
서울시청 군사유적 전시실 조선시대 무기제조기관 군기시(軍器寺) 2009년 서울시청 건립 공사 중 군기시 유적이 발견됩니다. 유규와 유물이 발굴됨에 따라 그동안 기록으로만 있었던 군기시의 존재가 확인되었습니다. 예로부터 우리민족은 이민족으로부터 나라와 백성을 보호하기 위해 무기의 연구. 제작이 꼭 필.. 10.역사문화기행 (2006~) <여행지>/5.서울역사박물관 2019.01.14
신촌의 역사2 일제강점기의 신촌 일제강점기는 신촌이 현재의 모습을 형성하기 시작한 시기이다. 경의선 개통과 신촌역 영업의 시작, 연희전문학교와 이화여자 전문학교의 이전, 토지구혁정리 사업과 일단의 주택지 경영사업을 포함한 도시계획사업을 통해 신촌은 큰 변화를 맞았다. 특히 1936년 조선.. 10.역사문화기행 (2006~) <여행지>/5.서울역사박물관 2018.10.20
서울역사박물관-신촌의역사 새로운 땅 신촌新村 신촌 新村 이라는 지명은 '새로운 마을" 이라는 뜻의 일반명사에 가까워 새로 생긴 마을은 모두 신촌이라 불렀다. 때문에 여러 곳의 신촌 "新村"이 서울 곳곳에 존재 했다. 농경지를 새롭게 개척해 새로 생겨난 마을, 전쟁이나 재해를 입은 이주민들이 개척한 마을 등 .. 10.역사문화기행 (2006~) <여행지>/5.서울역사박물관 2018.10.19
13.청계천 판자촌 삶의 터전, 청계천 판자촌 모든 판잣집이 불량 주택이었지만, 천변 판잣집은 특히 심했다. 하천 바닥에 세운 기둥에 위태롭게 의지한 집들은 홍수에 쉽게 떠내려가곤 했다.집안에 화장실을 만들기 어려웠고, 이궁이를 설치하는 것도 쉽지않았다. 몇 안 되는 공동변소 앞은 아침마다 장사.. 10.역사문화기행 (2006~) <여행지>/5.서울역사박물관 2018.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