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 279

미국 문명의 역사 1.2권 (2024)

책소개역사를 넘어 문명론으로 승화된 미국 정신의 장대한 드라마[미국 문명의 역사]는 미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를 통합적으로 분석한 저작으로, 단순한 연대기식 서술을 넘어 역사적 맥락 속에서 미국 문명의 본질을 탐구하는 문명사의 고전으로 자리 잡은 책이다. 저자 찰스 비어드는 20세기 초 과학적 방법론을 도입해 신화와 전설을 걷어내고 있는 그대로의 미국의 역사를 다룬 선구적인 역사학자 중 한 명으로 그의 [미국 헌법의 경제적 해석]은 진보적 역사학의 출발점으로 오늘날까지도 심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 미국사의 핵심적인 저작 중 한 권이다. 찰스 비어드는 역사학자로서의 성숙한 시각과 문명론적 탁견으로 가득 찬 [미국 문명의 역사]를 통해 독립혁명, 남북전쟁, 산업화, 1차 대전까지 미국 역사의 큰 흐름..

인생 처음으로 세계사가 재밌다 (2025) - 역사학의 대가가 한 권으로 농축한 최고의 지적 안내서

책소개“인생에는세계사 지식이 필요한 순간이 반드시 온다!”수십 년간 독자에게 사랑받은 ‘세계사의 클래식’총 672쪽, 110여 컷의 도판, 인류의 전 역사를 단 한 권에역사학의 대가가 들려주는평생 쓸모 있는 세계사 이야기출간 이후 30년간 독자들의 사랑을 받아온 세계사 교양서 《인생 처음으로 세계사가 재밌다》가 마침내 국내 독자에게 선보인다. 총 672쪽 분량과 110여 컷의 귀중한 도판으로 태고에서 현대에 이르는 세계 역사를 한 권으로 만날 수 있는 흔치 않은 기회다.‘세계사의 재미를 한 분이라도 더 느껴줬으면 한다’는 바람을 품은 학계의 존경받는 석학이 평생 연구한 세계사를 대중을 위해 최초로 집대성했다. 중학생부터 사회인까지 누구나 알기 쉬운 글로 역사의 가장 중요한 변곡점들을 깊이 있으면서도 알차..

조선 멸망의 원인과 우리의 나아갈 (2025) - 길 대한민국 문제점의 근원과 개선

책소개책의 원고를 출판사로 넘긴 2024년 11월 14일자 국내 최대 장서를 보유한 국회도서관검색창에 ‘조선 멸망의 원인”을 검색하면, 일반 서적으로는 저의 책 하나, 그리고 석사논문이 하나 나온다. 그만큼 한국 역사학자들은 조선의 멸망을 알리고 싶지 않았거나 용기가 없었다고 생각한다. ‘조선이 왜 멸망했을까’에 대해서 학교에서 제대로 배운 사람을 보지 못했다. 중고등학교때 저의 천성인 호기심으로 시작하여 사회생활을 하며 한국민이 장점도 많지만 좋지 못한 DNA를 가지고 있다고 계속 느끼고 있었다. 이 책은 한국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대한 저의 생각을 적은 글이다. 책의 일부 내용을 미리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목차Ⅰ. 머리말 … 9Ⅱ. 멸망의 원인 … 21A. 외부의 원인 … 211. 신 제국주의 … ..

1970년대 민주화운동과 천주교 (2025)

책소개문민정부에 이르러 사실상 소멸한 것으로 여겨졌던 반헌법적인 불법 비상계엄, 내란, 친위 쿠데타 같은 용어들이 되살아나 민주주의가 또다시 위기에 처한 지금, 1970년대 천주교와 개신교의 민주화운동사를 총정리한 《1970년대 민주화운동과 개신교》, 《1970년대 민주화운동과 천주교》가 동시 출간되었다. 1970년대 민주화운동사와 한국교회사 전체를 아우르는 종교 부문 민주화운동사를 담은 두 책은 오랜 기간 전문가들의 연구와 토론, 비평을 거쳐 탄생한 소중한 결실이다. 온 국민이 민주화에 대한 간절한 열망으로 가장 뜨겁게 불타올랐던 1980년대를 추동하는 동시에, 이를 든든히 뒷받침한 주춧돌이 되어 준 1970년대 천주교와 개신교 민주화운동의 다양한 면모를 입체감 있고 생생하게 조망한다.목차발간사서론1...

1970년대 민주화운동과 개신교 (2025)

책소개문민정부에 이르러 사실상 소멸한 것으로 여겨졌던 반헌법적인 불법 비상계엄, 내란, 친위 쿠데타 같은 용어들이 되살아나 민주주의가 또다시 위기에 처한 지금, 1970년대 천주교와 개신교의 민주화운동사를 총정리한 《1970년대 민주화운동과 개신교》, 《1970년대 민주화운동과 천주교》가 동시 출간되었다. 1970년대 민주화운동사와 한국교회사 전체를 아우르는 종교 부문 민주화운동사를 담은 두 책은 오랜 기간 전문가들의 연구와 토론, 비평을 거쳐 탄생한 소중한 결실이다. 온 국민이 민주화에 대한 간절한 열망으로 가장 뜨겁게 불타올랐던 1980년대를 추동하는 동시에, 이를 든든히 뒷받침한 주춧돌이 되어 준 1970년대 천주교와 개신교 민주화운동의 다양한 면모를 입체감 있고 생생하게 조망한다.목차발간사서론1...

논점 · 일본사학 일본사의 최전선 (2025)

책소개일본에 대한 각론은 한국에 비교적 소개되고 있는 것에 비해 일본사를 통사적으로 접근하도록 도와주는 책은 생각보다 많지 않다. 소수의 책이 있지만 출간된 지 20년 가까이 흘러 이미 학계의 정설로 굳어진 내용조차 놓치고 있는 경우가 꽤 있다. 그런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출간한 것이 이 책이다.이 책은 고대에서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일본사의 주요 논점들에 대한 연구 동향을 각 항목별로 간결히 정리, 개관하며 이러한 아쉬움을 해소해 준다. 국내의 다종다양한 일본사 관련 서적 가운데 전시대를 망라하면서 동시에 단순한 연대기적 서술이 아닌, 근년의 연구 성과를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는 책은 아마도 본 역서가 처음이 아닐까 한다. 일본사에 대한 기초 지식을 갖춘 독자들에게 이 책은 그 다음 단계를 향한 좋은 길잡이..

[웹북] 안창호 (1878~1938) 61세 / 임시정부의 제4대 국무령

안창호 安昌浩1910년대 샌프란시스코에서의 모습 안창호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제4대 국무령임기 1926년 5월 3일~1926년 5월 16일 / 부통령 없음전임: 이동녕(제5대)후임: 이동녕(제7대)신상정보출생일 1878년 11월 9일출생지 조선 평안도 강서군 초리면 초리7리 봉상도(도롱섬)(현재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남포시 천리마구역)사망일 1938년 3월 10일(61세)사망지 경기도 경성부 연건정 경성제국대학 부속 병원(현재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학교병원)국적 조선 대한제국직업 독립운동가, 사회운동가, 교육자, 사상가학력 1896년 구세학당 보통부 졸업정당 무소속부모 안흥국(부), 제안 황씨 부인(모)배우자 이혜련자녀 아들 안필립, 안필선, 안필영딸 안수산, 안수라종교 유교 (성리학..

[웹북] 블라드미르 푸틴

이 문서는 동슬라브어 작명 관습을 따르는 이름으로 부계 이름은 블라디미르이며 성은 푸틴입니다.블라디미르 푸틴 Владимир Путин푸틴(2024년)블라디미르 푸틴러시아의 제4대 대통령임기 2012년 5월 7일~총리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 미하일 미슈스틴전임: 드미트리 메드베데프(제3대)러시아의 제10대 총리임기 2008년 5월 8일~2012년 5월 7일대통령 드미트리 메드베데프전임: 빅토르 줍코프(제9대)후임: 드미트리 메드베데프(제11대)러시아의 제2대 대통령임기 1999년 12월 31일(권한대행 취임)2000년 5월 7일(정식 취임)~2008년 5월 7일총리 미하일 카시야노프 / 빅토르 흐리스텐코 (대행) / 미하일 프랏코프 / 빅토르 줍코프전임: 보리스 옐친(제1대)후임: 드미트리 메드베데프(제..

[웹북 ] 도널드 트럼프

도널드 트럼프 Donald Trump도널드 트럼프 (간략정보)미국의 제45대 대통령임기 2017년 1월 20일~2021년 1월 20일부통령 마이크 펜스전임: 버락 오바마(제44대)후임: 조 바이든(제46대)신상정보본명 도널드 존 트럼프 (Donald John Trump)출생일 1946년 6월 14일(78세)출생지 미국 뉴욕주 뉴욕 퀸스국적 미국학력 포덤 대학교 /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와튼 스쿨 경제학 학사정당 공화당(1987년~1999년) / 무소속(1999년) / 개혁당(1999년~2001년) / 민주당(2001년~2009년) / 공화당(2009년~2011년) / 무소속(2011년~2012년) / 공화당(2012년~)부모 프레드 트럼프(아버지)메리 앤 매클라우드 트럼프(어머니)배우자 이바나 트럼프(19..

[웹북] 김정은

김정은2019년의 김정은김정은 (간단프로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제3대 최고 지도자임기 2011년 12월 18일~전임: 김정일(제2대)조선로동당의 제3대 총비서임기 2011년 12월 30일~전임: 김정일(제2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의 제1대 위원장임기 2016년 6월 29일~ 신상정보출생일 1984년 1월 8일(41세)본관 전주학력 리베펠트-슈타인횔츨리 공립학교 / 김일성종합대학 경영학 학사정당 조선로동당부모 아버지 김정일, 어머니 고용희배우자 리설주(결혼 2009년)자녀 아들 김정주, 딸 김주애종교 무종교별명 은하(별칭),박운(가명)서명  군사 경력복무 조선인민군복무기간 2011년~최종계급 대원수근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무력 최고사령관 / 조선로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장 / 조선인민군 원..

[웹북] 김정일

김정일 金正日김정일의 공식 초상화  김정일 (간단 프로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제2대 최고지도자임기 1994년 7월 8일~2011년 12월 17일전임: 김일성(제1대)후임: 김정은(제3대)조선로동당의 제2대 총비서임기 1994년 7월 8일~2011년 12월 17일전임: 김일성(제1대)후임: 김정은(제3대)신상정보출생일 1941년 2월 16일출생지 소련 하바롭스크사망일 2011년 12월 17일(69세)사망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직할시본관 전주학력 김일성종합대학 정치경제학과정당 조선로동당부모 아버지 김일성, 어머니 김정숙배우자 홍일천(이혼), 성혜림(사별), 김영숙(재혼), 고용희(사별), 김옥(재혼)자녀 아들 김정남, 김정철, 김정은딸 김혜경, 김설송, 김춘송, 김여정종교 주체사상별명 소련식 이름..

위대한 철학자들의 죽음 수업 (2023) - 무엇을 위해 살고, 무엇을 사랑할 것인가?

책소개죽음 수업은 곧 인생 수업이다!‘죽음’은 고대에서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철학자들이 답을 찾기 위해 매달려온 가장 근본적인 철학적 주제이자, 21세기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풀리지 않은 숙제로 남아 있다. 왜 인간은 모두 예외없이 죽음에 이르는가? 죽음은 부인할 수 없는 현실이다. 그럼에도 모든 인간은 영원히 살 것처럼 하루하루를 살아가고 있다. 죽음에 대한 두려움으로 오늘을 무기력하게 살아서도 안 되지만, 죽음은 나와 먼 일인 것처럼 무관심해도 유의미한 삶을 산다고 말하긴 어렵다.이 책은 지혜를 그 누구보다도 사랑한 위대한 철학자 5인의 ‘죽음에 대한 생각’을 한 권의 책으로 묶어낸 고전 편역서이다. 현대 독자들을 배려한 편역서의 특성상 위대한 철학자 5인의 저작들 중에서 ‘죽음’과 관련..

한 번만 읽으면 여한이 없을 한비자 (2025) - 난세의 기재(奇才), 한비자 리더십!

책소개‘제왕학(帝王學)의 교과서(敎科書)’이자‘천하제일금서(天下第一禁書)’인 『한비자(韓非子)』!- 지금 당신이『한비자』를 읽는다는 것은 성공의 문을 두들긴다는 것을 의미한다.이 책은 3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는 한비자란 인물과 그가 남긴 『한비자』에 대한 글이다. 도입부로 보면 되겠다. 2부는 『한비자』에 보이는 약 20대목을 골라 가볍게 그 의미를 짚어 보았다. 그래서 ‘가볍게 읽기’라는 제목을 달았다. 2부가 수박의 모양을 살피는 겉핥기 단계라면, 3부는 수박을 쪼개 붉은색을 확인하고 맛까지 보는 단계에 비유할 수 있다. 하나씩 읽으면서 자신의 생각을 끊임없이 대입시켜 보라고 제안한다. 내 생각과 같으면 무릎을 치며 ‘그렇지’를, 다르면 고개를 갸우뚱하면서 ‘왜 그렇게 생각하지’를 뇌이면서 다시 ..

몽테뉴 수상록 (2024)

책소개최초로 수필 형식을 완성한 수필 문학의 고전!철학적 성찰과 경험을 바탕으로삶과 죽음, 인간을 통찰하다“몽테뉴의 글은 철학적일 뿐 아니라 영혼의 초상화다.그의 수필은 복잡성, 모순, 지속적인 투쟁 속에서 인간 본성을 드러낸다.” ?에밀 졸라수필 문학의 고전이자, 프랑스 모럴리스트 문학의 기초를 쌓아올렸다고 평가받는 몽테뉴의 《수상록》에서 주옥같은 내용을 가려 뽑았다. 《수상록》은 문학과 철학을 아우른 몽테뉴 최고의 걸작으로 최초의 수필 형식을 완성한 책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책은 철학서라기보다는 자기 경험과 고전 인용을 바탕으로 삶과 죽음, 인간 본성, 교육, 정치 등을 다룬다.몽테뉴의 《수상록》은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호라티우스, 세네카 등의 고전 문헌에서 많은 인용을 하고 있으며 어떻게 살..

잘 살았다고 말할 수 있기를 (2024) - 후회 없는 인생을 위한 마지막 가르침

책소개어떻게 살아야 잘 살았다고 말할 수 있을까?맨프레드 케츠 드 브리스는 정신분석가이자 임원 전문 코치, 자문가, 경영 교육 전문가, 연구자이며, 다수의 저서를 집필한 작가이다.저자는 자신이 어떤 역할로 나서든, 사람들로부터 받아 온 수많은 질문이 결국 ‘어떻게 하면 후회 없는 삶을 살 수 있을까?’라는 본질적인 물음으로 이어진다는 사실을 깨달았다.『잘 살았다고 말할 수 있기를』은 저자의 기존 책과 다른 점이 있다.인생에서 가장 궁금한 37가지 질문들에 대한 답을 한 권의 소설책을 읽듯이 만날 수 있다는 점이다.이 책은 여행자가 시베리아에서 길을 잃게 되면서 시작한다. 여행자는 그때 ‘카부터(kabouter)’를 만나게 된다.카부터는 네덜란드 사람이라면 모를 일 없는 신비한 존재인데, 저자는 이 카부터..

행동하지 않으면 인생은 바뀌지 않는다 (2024) - 위대한 변화를 이끌어내는 아주 작은 실행의 힘

책소개시급 300원 잡초 제거 알바에서 회당 8억 원을 받는 전설이 되기까지브라이언 트레이시가 몸소 증명해낸 단 하나의 성공 메커니즘“이 책을 읽는 것만으로도 당신의 인생은 이미 바뀌기 시작했다!” --- 『웰씽킹』 켈리 최“지금 당장 행동할 용기를 준다” --- 주언규PD당신은 오늘도 ‘갓생’을 외치지만 3일을 버티지 못한다. 매일 밤 동기부여 영상을 보며 감동하지만 아침이면 무너진다. 수많은 자기계발서를 읽었지만 인생은 제자리걸음이다. 왜일까? 40년간 워런 버핏, 앤디 그로브와 같은 세계적 대가를 해부해온 브라이언 트레이시가 마침내 진실을 공개한다. 성공한 사람들은 결코 동기부여에 의존하지 않는다는 것. 그들에겐 단 하나의 공통점이 있었다. 바로 ‘아주 작은 행동의 누적’이다.어제보다 1% 더 나아..

동방박사와 블로그 (간략소개)

*Blog Since 2010*블로그 주제(역사+여행+독서)*분류전체보기->Click->카데고리(500개).등록(2만건).누적조회수(112만회).월조회(3만회). [웹북]역사지식여행 Wikipedia재구성[책소개]YES24책을 요약하여 재구성. [여행지]사진과 글은 직접촬영(작성)*[박사전공]국제평화학 [석사전공]국제중재학 [학부전공]일본학*[전직능]일본역사탐방.한일교류.일본기관방문통역[블로거]평화역사여행가.스토리텔링.한일근현대사.다크투어리즘(해설사).

[웹북] 반민족행위처벌법

반민족행위처벌법반민족행위처벌법/反民族行爲處罰法약칭 반민특위법종류 법률제정 일자 1948년 9월 22일 법률 제3호상태 1951년 2월 14일 법률 제176호로 폐지분야 공법주요 내용 친일파 처벌을 규정.관련 법규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반민특위 활동 보도 기사 (1949년 1월 11일자 조선일보 보도)반민족행위처벌법부일협력자·민족반역자·전범·간상배에 대한 특별법률조례반민족행위처벌법(反民族行爲處罰法)은 일제강점기 당시 일본에 협력한 친일파를 반민족 행위로 규정하고 처벌하기 위하여 제정한 법률이다. 1948년 8월 대한민국 제헌헌법 제101조에 의하여 국회에 반민족행위처벌법 기초특별위원회가 구성되었고, 그해 9월 22일 법률 제3호로서 이 법이 제정되었다.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약칭, ..

[웹북] 친일파

대표적인 인물인 이완용 후작친일파친일파(한국 한자: 親日派)는 일본 제국이 동아시아 각국을 침탈할 무렵에 일본 제국에 가담하여 그들의 정책을 지지하고 추종하거나 적극적으로 협력했던 매국노를 가리킨다. 일본의 식민 지배 중과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비난의 대상이 되었다. 특히 일본이 침략하거나 전쟁을 일으킨 지역의 국가들에서 부정적으로 여겨진다. 현재에도 일본에 적극적으로 협력하는 매국노라는 뜻으로, 종일주의자(從日主義者), 종일파(從日派), 부일파(附日派)라고도 한다. 명칭 친일, 지일파 및 극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친일파”라는 단어는 임종국이 1966년 출간한 《친일문학론》에서 처음으로 나온다. 이 책에서, 친일(親日)은 “일본과 친하다”라는 뜻으로 정의되었으며 친일파라는 명칭은 당시 기득권을 ..

[웹북] 박흥식 (1903~1994 (90세) - 친일파 기업인

박흥식 朴興植前 대한민국 경제기획원 국가경제자문위원 (前 大韓民國 經濟企劃院 國家經濟諮問委員)  임기 1972년 3월 21일 - 1975년 12월 15일 대통령 박정희 총리 김종필 장관 태완선 (경제기획원 장관) . 남덕우 (경제기획원 장관) 차관 이재설 (경제기획원 차관).최각규 (경제기획원 차관) 신상정보 출생일 1903년 8월 6일 출생지 대한제국 평안남도 용강군 용강면 옥도리 387(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남포특별시 용강군 용강읍 옥도리 387) 사망일 1994년 5월 10일(90세) 사망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학교 부속 병원(파킨슨병과 알츠하이머병의 합병증으로 사망) 학력 평안남도 용강보통학교 졸업 경력 前 화신백화점 사장 / 前 화신산업 회장 / 前 흥한화학 사장 / 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