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0172

구술로 본 한국현대사와 군 (2020)

책소개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현대한국구술사연구사업단은 “한국현대사와 군”이라는 주제로 2009년부터 2019년까지 10년에 걸쳐 구술 채록과 구술사 연구를 진행했다. 탈식민, 분단과 전쟁, 군사독재와 민주화,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 경제성장 등이 복잡하게 교차한 한국현대사의전개 과정 속에서 군은 한국의 안보뿐만 아니라 정치, 외교, 경제, 사회 등 모든 분야에 걸쳐 큰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한국현대사에 끼친 군의 영향력에 비해 한국 역사학계에서 군의 역할과 활동에 대한 논의는 그리 활발한 편이 아니었고, 이를 규명하기 위한 자료 수집 역시 그리 활발한 편이 아니었다.특히 군에 몸 담았던 인사들이 격변의 한국현대사 속에서 고비마다 중요한 역할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활동경험과 육성을 체계적으..

냉전과 탈식민의 세계사 (2024)

책소개이 책은 20세기에 나타난 냉전과 탈식민이라는 두 개의 거대한 세계사적 흐름을 교차함으로써 그간 간과되었던 현대사의 여러 지점을 재발굴하고, 재조명하고, 재해석한다.여기에는 미 제국의 기원에서부터 유럽 제국주의의 인종과 젠더, 영 제국의 탈식민, 소련과 냉전 사이의 관계, 한국전쟁의 국제사, 전쟁 포로의 의미, 민족해방의 언어적 재현, 근대화론의 이상과 현실, 제3세계의 국민국가 건설, 식량과 인구 문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가 포함된다. 냉전과 탈식민을 교차시키려는 노력은 다른 어떤 곳보다 한국에서 더욱 절실하게 요구된다. 분단된 국가에서 미국과 중국, 러시아, 일본에 둘러싸인 이곳은 20세기 내내 냉전과 탈식민의 과정이 세계에서 가장 복잡하고도 격렬하게 전개되었던 현장이다. 오늘날 우리의 모습..

역병, 전쟁, 위기의 세계사 (2024)

책소개“위기의 시대, 역사에서 길을 찾아라!”역사의 변곡점에서 펼쳐진 위기의 순간들영국의 명문대 리즈대학에서 매년 개최하는 중세사 학술대회의 2024년 대주제는 ‘위기’였다. 국제적 학술대회의 관심사가 위기라는 키워드에 다다랐다는 건 큰 의미를 지닐 터다. 실제적으로 다가온 개념에 대해 학술적인 논의가 필요하다는 걸 뜻하니 말이다.코로나-19의 충격에서 벗어나기도 전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이스라엘-헤즈볼라 전쟁이 잇따라 일어나고 대량 학살, 난민, 기아가 연쇄적으로 발생하는 등 다양한 위기가 상호작용하는 복합 위기의 시대에 들어섰다는 방증이다.이 책 『역병, 전쟁, 위기의 세계사』는 팬데믹과 전쟁이 잇따르는 현시대의 위기를 진단하면서 삶의 길을 찾으려는 시도의 일환이다. 위기..

미군 점령 4년사 (2024) - 친일파는 어떻게 기득권이 되었나

책소개· 과거의 일을 기억하지 못하는 자들은 과거의 일을 반복하고야 만다.『미군 점령 4년사: 친일파는 어떻게 기득권이 되었나』는 은폐되고 잘못된 역사를 제대로 조명해야 한다는 저자의 간절함에서 비롯되었다. 이 책의 근간은 1989년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UCLA) 사회학박사 학위 논문으로, 이를 수정하고 현재와 관련한 내용을 추가해서 출간했다. 논문 제목은 「The Impact of U.S. Military Occupation on the Social Development of Decolonized South Korea, 1945~1949」로, 미군 점령 기간에 미군이 한국에 미친 영향을 연구했다. 그 영향은 바로 분단과 친일파 존속이다. 해방 이후 반공이라는 이름에 가려서 우리 역사는 은폐되었고, 진..

[웹북] 가야

가야 연맹의 국가들과 최대강역.가야 伽倻← 42년~562년 →수도 구야국(전기) / 반파국(후기)정치정치체제 국가 연합왕 42년 ~ 199년 수로왕(초대) / ? ~ 562년 도설지왕(말대) 인문공통어 가야어 / 데모님 가야인 / 민족 변한인종교종교 무속신앙, 불교가야(한국 한자: 加耶, 伽倻)는 삼국시대 한반도 남부에 존재했던 한국의 고대 국가 연맹체이다. 가락(駕洛) 또는 가라(加羅, 伽羅, 迦羅, 柯羅)라고도 한다. 삼한 중 하나인 한반도 중남부 현재 김해시에 위치했던 변한의 금관가야(구야국)를 중심으로 변한의 12개 소국을 결집해 성립되었으며, 학계에서는 금관가야가 이끈 가야 연맹을 "전기 가야 연맹"으로 부르기도 한다. 이후 400년 고구려 광개토대왕의 공격으로 금관가야 중심의 전기 가야 연맹이..

[웹북] 삼국시대

삼국 三國국가 고구려 / 백제 / 신라수도고구려 1. 졸본성 2. 국내성 3. 평양성백제 1. 위례성 2. 웅진성 3. 사비성신라 금성군주고구려 28국왕 / 신라 31국왕 / 백제 56국왕건국군주고구려 동명성왕 / 백제온조왕 /  신라 혁거세 거서간멸망군주 고구려보장왕 / 백제의자왕 /  신라경순왕성립고구려 기원전 37년 (주몽 졸본성 정착)신라 기원전 18년(온조 위례성 이주)백제 기원전 57년(혁거세 거서간 추대)멸망고구려 668년(평양성 함락)신라 660년(사비성 함락)백제 935년(경순왕 고려 투항)삼국 시대(三國時代)는 기원전 1세기부터 7세기까지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이 만주와 한반도 일대에서 중앙집권적 국가로 발전한 시기를 일컫는다. 신라와 당나라 연합군에 의해 백제(660년), 고구려(..

[웹북] 광개토대왕

광개토대왕 廣開土大王 광개토대왕 제19대 고구려 국왕재위 391년 5월 ~ 412년 10월 (음력) / 전임 고국양왕 / 후임 장수왕고구려의 태자재위 386년 1월 ~ 391년 5월 (음력) / 전임 태자 구부 (소수림왕) / 후임 태자 거련 (장수왕)이름휘 담덕(談德) · 안(安) / 별호 개토왕(開土王) · 광개왕(廣開王) 호태왕(好太王) 광개토왕(廣開土王) / 시호 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 (國𦊆上廣開土境平安好太王) 국강상광개토지호태성왕(國罡上廣開土地好太聖王) / 능호 국강상(國罡上) / 연호 영락(永樂)신상정보출생일 374년 / 사망일 412년 10월 (음력) (38세) / 부친 고국양왕 / 모친 미상 / 배우자 미상 / 자녀 장수왕 · 왕자(미상) · 왕자(미상)종교 불교광개토대왕(廣開土大王, ..

[웹북] 장수왕

장수왕 / 長壽王장수왕제20대 고구려 국왕재위 412년 10월 ~ 491년 12월 (음력) / 전임 광개토대왕 / 후임 문자명왕고구려 태자재위 409년 4월 ~ 412년 10월 (음력) / 전임 태자 담덕 (광개토왕) / 후임 태자 흥안 (안장왕)이름휘 거련(巨連 · 巨璉) · 연(璉) · 신련(臣連) / 시호 장수(長壽) . 강(康) / 연호 연수(延壽) 건흥(建興) 연가(延嘉)신상정보출생일 394년 / 출생지 고구려 국내성 / 사망일 491년 12월 (음력) (97세) / 사망지 고구려 안학궁 / 부친 고담덕 / 모친 미상 / 형제자매 아우, 고승천의 아버지 / 배우자 미상 / 자녀 고조다 · 고공 · 공주 / 종교 불교능묘 장군총(將軍塚) (추정)장수왕(長壽王, 394년 ~ 491년 음력 12월)은..

[웹북] 연개소문

연개소문 淵蓋蘇文연개소문고구려의 막리지재임 ?~642년 / 전임 연태조 / 군주 고구려 영류왕고구려의 대막리지대수 1대 / 재임 642년 음력 10월~666년 음력 5월 / 후임 연남생 / 군주 고구려 보장왕이름별호 개금(蓋金), 이리가수미(伊梨柯須彌)신상정보출생일 미상 / 출생지 고구려 동부(東部) 순노부(順奴部)? 추정 / 사망일 666년? / 가문 연씨 / 부친 연태조 / 모친 소씨(蘇氏) / 형제자매 연정토(淵淨土, 남동생) / 자녀 남생(男生), 남건(男建), 남산(男産)군사 경력복무 고구려군 / 근무 고구려군 / 지휘 고구려군 / 주요 참전 고구려-당 전쟁연개소문(淵蓋蘇文, ?~ 666년?)은 고구려 말기의 장군이자 정치인이다. 일명 개금(蓋金)으로도 불린다.중국의 《구당서》, 《신당서》 및 ..

[웹북] 고구려

고구려 (5세기 이전) 高句麗 / 고려 (5세기 이후) 高麗 / 기원전 37년~서기 668년 / 표어 天帝之子천제지자수도 졸본성(기원전 37년 ~ 3년) / 국내성(3년 ~ 427년) / 평양성(427년 ~ 668년)정치정치체제 군주제왕기원전 37년 ~ 기원전 19년 동명성왕(초대) / 371년 ~ 384년 소수림왕 / 392년 ~ 413년 광개토대왕 / 413년 ~ 491년 장수왕 / 642년 ~ 668년 보장왕(말대) 국상166년 ~ 179년 명림답부(초대) / 294년 ~ ? 창조리(말대) 대막리지642년 ~ 665년 연개소문(초대) / 666년 ~ 668년 연남건(말대)국성 고씨입법부 제가회의역사시대 구분 삼국 시대 • 건국 5세기 기원전 37년 /  • 충주 고구려비 축조 / • 광개토대왕비 축..

[웹북] 김유신 (660~673) 신라 대장군

1926년에 발간된 조선명현초상화사진첩에 실린 김유신의 초상화김유신 / 金庾信신라의 추존왕신라의 태대각간 / 재임 668년 ~ 673년 8월 21일신라의 상대등 / 재임 660년 1월 ~ 673년 8월 21일전임 금강 / 후임 김군관 / 군주 문무왕이름별호 흥무공, 대각공 / 시호 개국공(開國公) / 순충장렬흥무대왕(純忠壯烈興武大王)신상정보출생일 건복 12년(595년) / 출생지 신라 만노군 / 사망일 문무왕 13년(673년) 8월 21일 (78세) / 사망지 신라 금성 / 국적 신라 / 경력 관등: 태대각간, 직책: 대장군, 양하도총관, 봉상정경(당) / 가문 신김씨 / 부친 김서현 / 모친 만명부인 / 배우자 영모 부인, 지소 부인 / 자녀 삼광(三光), 원술(元述), 원정(元貞), 장이(長耳), 원..

[웹북] 계백 장군 (660년) - 황산벌 전투

계백계백 / 階伯660년 8월 20일 음력 7월 9일신라 황산벌 / (現 대한민국 충청남도 논산)달솔 / 백제 / 백제 육군백제군 결사대황산벌 전투계백(階伯, ? ~ 660년 8월 20일(음력 7월 9일))은 백제 말기의 군인이다. 660년 나·당 연합군이 백제를 침략할 때 가족의 목숨을 버리면서까지 충성을 지킨 인물로 알려져 있다. 군사 5천을 이끌고 황산벌에서 5만의 신라군과 네 차례의 전투를 벌인 끝에 백제군이 전멸하고 계백도 전사했다. 성충, 흥수와 함께 백제의 충신이라 불린다.생애660년 당의 신구도대총관(神丘道大摠管) 소정방이 이끄는 13만 수군과 신라의 상장군 김유신이 지휘하는 5만 육군이 수륙 협공으로 백제를 침공했을 때, 계백은 충상의 지휘 하에 5천의 결사대로 황산벌에서 신라군을 만났다..

[웹북] 황산벌전투 (660년) - 신라의 백제 정벌의 일부

황산벌 전투신라의 백제 정벌의 일부날짜 660년 8월 20일 (음력 7월 9일)장소 황산벌, 현재 논산시 연산면 인근결과 신라의 승리, 백제 패망교전국신라 / 백제지휘관김유신. 김흠순 . 품일 . 김천존 . 김반굴. 관창. 김법민 / 충상 항복. 상영 항복 . 계백 병력50,000명 / 5,000명피해 규모불명 4,980명황산벌 전투(黃山伐 戰鬪)는 660년 8월 20일 (음력 7월 9일) 황산벌(오늘날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신양리 및 신암리 일대)에서 신라군과 백제군 사이에 일어났던 전투이다. 《삼국유사》 태종무열왕조, 《삼국사기》 계백 열전 등에 전투 내용이 나온다.배경642년(의자왕 2)에 백제가 신라를 공격해 대야성을 비롯한 40여 성을 함락하며 신라를 압박했다.신라는 고구려의 힘을 빌리려 하였..

[웹북] 백강전투 (663년) - 백제 부흥운동의 일부

백강 전투백강 전투백제 부흥운동의 일부날짜 663년 8월 27일~8월 28일 / 장소 백강 부근 / 결과 나당연합군의 승리 교전국신라.당나라 야마토 왕권 / 백제 부흥군.탐라지휘관문무왕. 유인궤 / 부여융 가미쓰케노키미 와카코 . 아베노 히라후 . 풍왕병력당군 17,000명. 당 함선 170여척 .신라군 병력 규모 불명 / 왜군 42,000명.왜 함선 800척.백제군 병력 규모 불명피해 규모불명 함선 400척 손실 / 왜군 10,000명 사망. 말 1,000필 손실 백강 전투(白江戰鬪, 중국어: 白江口之战→백강구 전투, 일본어: 白村江の戦い→백촌강 전투)는 663년 8월에 신라의 백강(현재의 금강 하구 부근)에서 벌어진 백제·왜국의 연합군과 당·신라의 연합군이 벌인 전투이다. 당·신라 연합군의 승리로 끝..

[웹북] 의자왕 (백제)

의자왕 義慈王의자왕 (어라하) 제31대 백제 국왕재위 641년~660년 / 전임 무왕 / 후임 풍왕 / 섭정 성충(647~648)이름 휘 의자(義慈) / 별호 해동증자(海東曾子)신상정보출생일 599년 / 출생지 미상 / 사망일 660년 / 사망지 당나라 낙양 / 왕조 백제 / 가문 부여씨 / 부친 무왕 / 모친 사택왕후 혹은 선화공주 / 배우자 은고 / 자녀 부여태(扶餘泰) 부여효(扶餘孝) 부여연(扶餘演) 부여풍(扶餘豊)부여용(扶餘勇) 부여충승(扶餘忠勝)부여충지(扶餘忠志)부여선광(扶餘禪廣,扶餘善光)종교 불교의자왕(義慈王, 599년]~660년)은 백제의 제 31대, 마지막 국왕이다. 이름은 부여의자(扶餘義慈)며 망국의 군주이기 때문에 시호를 받지 못했다. 어린 시절, 우애가 깊어 해동증자(海東曾子)라 일컬..

[웹북] 인천 차이나타운

인천 차이나타운인천 차이나타운 Chinatown, Incheon위치 인천광역시 중구 북성동 및 선린동 일대설립일 1884년경인천 차이나타운은 인천역 앞에 있는 차이나타운이다. 중국 음식점이나 기념품 등을 파는 상점이 많은 편이다. 화교중산학교가 있다. 매년 9월과 10월엔 각각 인천-중국의날 문화축제와 짜장면 축제가 열린다. 1883년 인천항 개항 후 1884년에 만들어진 중국(청나라) 조계지에 화교들이 모여들면서 형성되었다. 인천 차이나타운은 특이하게 산둥 출신이 중심을 이룬다.역사조선 말 청나라 사람들이 대거 들어오기 시작한 것은 임오군란 때였다. 임오군란이 일어나 조선의 정세가 급변하자 청은 조선의 공식 요청이 없었는데도 산둥성에 주둔 중이던 오장경(吳長慶)의 수군을 파병하였다.[1] 오장경이 지휘..

[웹북] 인천광역시 소개

인천광역시 인천  仁川廣域市 광역시시계 방향으로 인천대교, 인천아시아드주경기장, 인천 차이나타운, 인천항, 송도국제도시, 인천국제공항.  행정국가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 행정 구역 8구 2군 / 시장 유정복 (국민의힘)지리면적 1,067.04 km2 / 시간대 한국 표준시(UTC+09:00)인문인구 3,000,043명(2024년) / 인구 밀도 2,775.40명/km2상징시목 목백합 / 시화 장미 / 시조 두루미 / 마스코트 버미·꼬미·애이니 (점박이물범), 등대리 (등대) / 표어 All Ways Incheon 인천의 꿈, 대한민국의 미래지역 부호지역번호 032인천광역시(仁川廣域市, 영어: Incheon Metropolitan City)는 대한민국 북서부에 있는 광역시이다. 서쪽으로 서해, 동쪽으로..

[웹북] 인천항 (인천)

인천항인천항소재지 인천광역시 중구 항동7가상세개항 1883년(고종 20년) 1월 1일관리자 인천항만공사종류 무역항인천항(仁川港)은 인천광역시 중구에 있는 서해안 제1의 무역항구로 서울, 수도권 지방의 해상 관문이자, 서울의 외항으로 기능하고 있다.역사국가로써 존속 시기 옛 지명은 미추홀(彌鄒忽)이며 고구려 점령당시에는 ‘매소홀(買召忽)’로 신라가 삼국통일을 이룬뒤에는 ‘소성(邵城)’으로 바뀐다.신라는 삼국통일이후 이용되던 세 갈래의 뱃길 가운데 인천 연안을 이용하는 북부연안항로가 난파나 조난의 위험이 적었다. 이 항로가 빈번히 사용된 것으로 짐작된다.고려 시대에는 개경의 관문역할을 하면서 발전하였다. 고려의 연방제 체제에서는 지역 행정에 중심지 수주(樹州) 지방이었다.조선의 인천조선 태종이 인천(仁川)이..

[웹북] 경인선 (인천역)

인천역 (개괄)관할 기관 한국철도공사. 수도권광역본부 인천관리역소재지 1호선 : 인천광역시 중구 제물량로 269수인선 : 인천광역시 중구 차이나타운로26번길 12-17개업일 경인선 : 1899년 9월 18일축항선 : 1959년 2월 24일1호선 : 1974년 8월 15일수인선 : 2016년 2월 27일역 번호 1호선 : 161 / 수인·분당선 : K272 / 종별 관리역 / 등급 2급 / 승강장수 1호선 : 2면 3선  /수인·분당선 : 1면 2선 비고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수도권 전철 4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거리표●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인선)  구로 기점 27.0km●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인선) 수원 기점 51.6km인천역(Incheon station, 仁川驛)은 대한민국 ..

[웹북] 조미수호통상조약 (1882)

조미 수호 통상 조약조·미수호통상조약(朝美修好通商條約, 영어: Treaty of Peace, Amity, Commerce and Navigation, United States–Korea Treaty of 1882)은 1882년(고종 19년) 조선과 미국 간에 조인된 조약이다. 1882년 5월 22일(음력 4월 6일) 조선의 전권위원 신헌, 김홍집과 미국의 전권위원 로버트 윌슨 슈펠트 간에 제물포에서 체결되었다. 이 조약은 조선이 서양 국가와 맺은 최초의 수호 통상 조약이다.개설미국 정부의 명을 받은 슈펠트는 처음에 일본을 통하여 조선과 수호 조약을 맺으려고 일본 외무경(外務卿) 이노우에 가오루(井上聲)의 소개장을 가지고 부산에 입항하였다. 그는 일본 영사(領事) 곤토(近藤眞鋤)로 하여금 동래부사를 방문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