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한국근대사 연구 (책 소개)/5.동학혁명.의병 15

남도 한말의병의 기억을 걷다 (2023) - 의롭고 당당한 삶으로 겨레의 별이 된 사람들

저자 소개 저 : 김남철 관심작가 알림신청 작가 파일 전남 나주 출생. 전남대학교 국사교육과를 졸업했다.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역사교육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고, 전남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전남 노화종고, 여천고, 부영여고, 여수화양고, 완도수고, 노화고, 나주고, 전남과학고, 완도고 등에서 30년 넘게 한국사와 세계사를 가르쳤다. 전남역사교사모임 회장과 전국역사교사모임 부회장을 역임했고, 통일교육, 독도교육 실천과 남도 민주평화길을 주관했다. ...

남도 임진의병의 기억을 걷다 (2022) - 의롭고 당당한 삶으로 겨레의 별이 된 사람들

책소개 국난 앞에서 의연하게 일어서서 이름 없는 꽃처럼 스러져갔지만 면면히 흐르는 역사를 지켜온 이들의 삶과 그 현장들을 새롭게 만나다! 이 책은 김천일·최경회 등 잘 알려진 의병장만이 아니라, 홍천경·문위세·최강 등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의롭고 당당했던 남도 의병(장)들의 이야기다. 호남 곳곳에 서려 있는 의병 정신을 이 시대에 되살려 전승·계승하게 하는 선생님의 의지에는 서릿발 같은 기개가 있다. 다시 쓰고 새로 쓰는 남도 의병 이야기를 위한 오랜 발걸음은 오늘도 지역사회와 학교 교육에 큰 울림으로 퍼져나간다. 목차 추천사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의병, 영원한 역사교육의 파수꾼 _최광표(염암교육지원청 교육장) 남도 곳곳에서 만난 이름 없는 의병장의 진혼곡 _신봉수(광주예술고등학교 역사교사) 책을 내면서..

오늘과 마주한 3.1운동

책소개 ‘오늘의 나’의 눈으로 바라보고 6가지 개념으로 새롭게 구성한 3·1운동 3·1운동은 늘 거족적인 운동으로 기억되어왔다. 오늘의 대한민국을 있게 한 민족사적 성과, 즉 과거사로서 평가받았다. 하지만 3·1운동의 역사를 찬찬히 들여다보면 그 속에서 수많은 오늘의 나를 만나게 된다. 집단이 아닌 개인 주체의 시각에서 보면, 나를 통해 과거와 현재는 이어지게 된다. 여기서 오늘의 나는 2017년 거리에서 민주주의의 봄을 맞았던 촛불시민으로서의 나이기도 하다. 한국역사연구회 3·1운동100주년기획위원회 위원장과 대통령직속 3·1운동100주년기념사업추진위원회 기획소통분과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김정인 교수는 민주주의의 눈으로 한국 근현대사를 재해석·재구성하는 작업을 지속해오고 있다. 3·1운동은 민주주의..

동학과 갑오농민전쟁연구

책소개 신용하 저작집 4권인『동학과 갑오농민전쟁 연구』의 신판. 본문의 한자를 한글로 바꾸어 읽기 편하도록 편집하고 강원도 동학농민군 자료 및 사진 자료를 추가하였다. 한국근대사에서 역사적, 사회사적 일대 사건으로 기록된 갑오농민전쟁을 동학과 연결 지어 사회사적 시각에서 다방면으로 고찰한 연구논문집이다. 목차 신판 머리말 초판 머리말 제1장 동학과 갑오농민전쟁의 결합 1. 머리말 / 2. 최제우와 동학의 창도 / 3. 동학의 명칭과 포덕의 시작 / 4. 동학의 사회사상적 구조 / 5. 동학의 교단 조직 / 6. 보은취회와 동학조직의 발전 / 7. 동학과 농민전쟁의 결합설 / 8. 맺음말 제2장 갑오농민전쟁의 주체세력과 사회신분 1. 머리말 / 2. 갑오농민전쟁의 주체세력의 사회신분 / 3. 갑오농민전쟁의..

이단의 민중반란 : 동학과 갑오농민전쟁 그리고 조선민중의 내셔닐리즘

책소개 동학과 갑오농민전쟁은 민족사라는 좁은 울타리 안에 머무는 폐쇄적인 사상이나 종교, 사건이 결코 아니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지나칠 정도로 민족사의 울타리 안에서만 해석하고 평가해온 경향이 강했다. 이제는 이 같은 좁은 울타리를 넘어서야 한다. 최소한 동아시아의 차원에서 깊이 연구되고 분석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동학과 갑오농민전쟁은 그럴 만한 가치를 지닌, 보편성을 가진 사상(종교)이자 사건이다. 또 하나, 지금까지는 갑오농민전쟁에서 동학이 차지하는 역할에 대해 그것이 이른바 혁명 사상이냐 아니냐는 이항대립二項對立의 관점에서만 바라보고 평가하는 경향이 지배적이었다. 동학 사상 속에 혁명성이 있느냐 없느냐는 논쟁도 중요하지만, 그보다는 더 본원적인 차원에서 동학에 대해 접근할 필요가 있다. 바로 이..

1871년 영해 동학혁명

책소개 올해로 120주년을 맞이하는 갑오년 동학농민혁명의 전사(前史)라고 하는 ‘1871년 영해 동학혁명’의 전말을 조명하고, 그 역사적 의의, 동학의 역사에서의 위상, 그 주동자인 이필제의 생애와 사상 등을 조명한 책이며 도서출판 모시는사람들이 새롭게 시작하는 동학총서 제1권이다. 목차 조선후기 향촌사회 지배구조와 영해지방의 동학 변혁운동 - 이이화 1871년 영해 동학혁명의 사료와 자취 - 김기현 초기 동학 교단과 영해지역의 동학 - 성주현 혁명가 이필제의 생애와 영해 - 임형진 1894년 영남의 동학농민군과 동남부 일대의 상황 - 신영우 이필제와 최시형 - 임상욱 영해 동학혁명과 해월의 삶에 나타난 사인여천 사상 - 김영철 동학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인문학적 기반 연구 - 조극훈 저자 소개 저자 ..

근대 신청년과 신문화 운동

책소개 한국 근현대사에서 가장 왕성한 청년운동을 전개한 천도교청우당의 창립과정과 조직변천, 그들이 전개한 신문화운동과 개벽운동의 배경사상과 전개양상의 연구를 통해 한국 근대사에서 부당하게 소외되었으며, 우리 사회의 미래에 새로운 길의 가능성을 제안해 주는 자주적, 주체적, 개벽적 근대의 길을 제시한 천도교청우당을 재조명한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1920년 전후 천도교청년단체의 조직과 활동 1. 천도교청년교리강연부의 창립과 활동 2. 천도교청년회로의 개편 조직의 확장 3. 천도교청년회본부와 지회의 활동 제3장┃ 천도교청년당의 창립과 조직체계 1. 천도교청년당의 창립과 특성 2. 천도교청년당의 지도이념과 조직체계 제4장┃ 1920년대 중후반 천도교단의 분규와 천도교청년당의 대응 1. 천도교단의 분규..

해월 최시형 평전

책소개 동학의 2세 교조로 1863년 8월 14일 동학의 최고책임자가 되어 36년간 도바리 생활을 해월 최시형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흥미로운 일화들이 많다. 그 중의 하나가 ‘최보따리’이다. 최시형은 성리학 이데올로기의 조선에서 이단으로 지목을 받아 끝없이 잠행하면서 보따리를 어깨에 메고 다녔다. 그래서 제자들이 붙여준 별명이다. 또 하나의 별명이 있는데, ‘해월 선생’이었다. ‘선생’과 ‘보따리’ 두 별명은 상반되는 듯하지만, 해월 최시형을 가장 잘 보여주는 모습이다. 선생의 이미지는 동학 지도자로써 보여준 다양한 모습을 그대로 담고 있다. 검곡에서 ‘만민평등’에 대해 처음으로 설교를 한 이래 천지부모(天地父母), 대인접물(待人接物), 경천(敬天)·경인(敬人)·경물(敬物)의 삼경설(三敬說), 부부화순(..

동학과 동학농민혁명

책소개 동학과 동학농민혁명은 한국근대사의 한 획을 긋는 역사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연구자나 관점에 따라 다양하게 인식되고 접근하여, 동학-동학농민혁명-3·1운동으로 이어져 오는 역사성에 대해 긍정하는 측면도 있었고, 이를 단절해 보고자 하는 측면 또한 없지 않았다. 동학농민혁명 이후 동학 세력은 다양하게 분화를 하였지만, 대부분 천도교로 통합되었다. 이를 노선이 변화로 보는 것이 타당한가 많은 의구점이 든다. 그리고 천도교와 함께 3·1운동의 대열에 적극 참여하였다. 이들은 3·1운동에 참여하면서 동학농민혁명 때 이루지 못한 희망을 가지지 않았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동학농민혁명 당시 그들이 희망하였던 세상은 무엇이었을까. 무엇 때문에 목숨을 걸고 투쟁하였을까. 조금이나마 본질에 접근해 보고자 작은 ..

이이화의 동학농민혁명사

책소개 새로운 세상을 꿈꾼 민초들의 혁명사 누가 봉기의 횃불을 들게 하였는가! 분단시대의 인문주의자, 사학계의 녹두장군 이이화 필생의 역작이자 유작! 50여 년간 연구한 ‘동학농민혁명’을 총정리하다 얼마 전 타계한 역사학자 이이화는 평생에 걸쳐 동학농민혁명 연구에 매진해왔다. 이 책이 그 결실이자 유작이다. 저자가 그토록 오랫동안 동학농민혁명에 천착한 이유는 이 혁명이 한국 근대사를 밝히는 상징이기 때문이다. 19세기를 민란의 시대라 부를 만큼 끊임없이 이어진 민중 봉기는 인간 평등을 추구하고 자주 국가를 건설하려는 민초들의 저항운동이었다. 이러한 동학농민혁명의 정신은 3·1혁명으로 이어졌고 나아가 반독재 민주화운동으로 이어져 촛불혁명에까지 영향을 끼쳤다. 이에 저자는 한국 근현대사를 관통하는 이 혁명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