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문화예술 입문 (책 소개)/4.영화세계 58

스틸 마음을 훔치는 드라마 쓰기 (2024)

책소개 『네 멋대로 해라』 박성수 감독의 30년 경험과 노하우를 담은 드라마 작법서 “감히 단언컨대, 이 책을 읽은 자가 승자가 될 것!” 송재정 작가 강력 추천!. OTT가 늘어나며 한 주에도 몇 편씩 새로운 드라마가 쏟아지고 있다. 그만큼 신인 작가가 설 자리가 늘었고, 드라마 작가를 꿈꾸는 이들도 넘쳐나고 있다. 하지만 실상은 어떨까. 드라마 작가의 시작을 도울 제대로 된 국내 작법서를 찾기 어려운 실정이다. 대부분의 작가 지망생들이 오늘날의 현실과 유리된 관념적인 작법서나, 해외 영화 시나리오 작법서를 보며 길을 헤매고 있다. K-드라마가 세계를 사로잡은 황금기 한가운데에서 엉뚱한 길로 돌아가고 있는 것이다. 이 책의 저자는 바로 이 지점에서 펜을 들었다. 『스틸』은 드라마 연출가, MBC 드라마..

우리들의 블루스 1 노희경 대본집 (2022)

책소개 ‘인생작 메이커’ 노희경 작가 4년 만의 신작 [우리들의 블루스] 작가판 무삭제 대본집 출간! “살아 있는 우리 모두 행복하라!”는 뜨거운 응원 메시지를 내걸며 4년 만에 발표한 노희경 작가의 화제작 [우리들의 블루스]가 무삭제 작가판 대본집으로 출간된다. 노희경 작가의 작품에 초호화 캐스팅까지. [우리들의 블루스]는 방영되기 전부터 많은 화제를 낳은 드라마다. 4월 9일 첫 방송 이후 시청자들은 ‘역시 노희경!’ ‘또 하나의 인생작 탄생!’이라며 이 드라마에 열혈한 환호를 보냈다. [우리들의 블루스]는 한국은 물론 전 세계 어디에서도 시도된 적 없는 독특한 ‘옴니버스’ 드라마 형식으로 무려 14명의 주인공을 등장시키며 풍부한 스토리를 선사한다. 동석(이병헌 분)과 선아(신민아 분), 한수(차승원..

영화를 찍으며 생각한 것 (2017) - 고레에다 히로카즈 영화자서전

책소개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영화자서전 영화와 사람 그리고 세상에 대한 생각을 전하다 이 시대를 살아가는 한 인간으로서, 영화를 찍는 작가로서 고레에다 히로카즈의 모든 것을 총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책이다. 고레에다 히로카즈는 자신이 영화를 찍으며 배우고 깨달은 것, 그리고 앞으로 작품을 계속해 가며 해결해야 할 과제들을 마치 자신의 영화처럼 인위적인 장치 없이 솔직담백한 태도와 목소리로 전한다. 이 책에는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 스스로 밝히는 영화 창작의 비밀과 이를 둘러싼 무수한 에피소드가 가득하다. 더불어 그가 창작자로서 범했던 실수와 후회, 반성, 그리고 깨달은 바를 재차 반복하지 않으려는 노력과 시도가 묵직한 감동으로 전해진다. 영화감독뿐만 아니라 한 인간으로서 사람을 대하는 태도와 세상을..

기생충 각본집 & 스토리보드북 세트 (2019)

책소개 칸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과 천만 관객의 영예를 동시에 거머쥔 2019년 최고의 화제작 [기생충]! 봉준호 감독이 직접 쓰고 그린 ‘영화의 계획’을 각본집과 스토리보드북으로 만나다! 제 72회 칸 국제영화제 황금종려상을 수상하며 한국 영화 100주년인 2019년, 대한민국 영화계와 영화팬들에게 뜻 깊은 선물을 안겨준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 각본집과 스토리보드북(콘티집)가 각각의 단행본으로 출간된다. 영화 [기생충]은 전원백수인 ‘기택’네 장남 ‘기우’가 고액 과외 면접을 위해 ‘박사장’네 집에 발을 들이면서 시작된 두 가족의 만남이 걷잡을 수 없는 사건으로 번져가는 이야기이다. 송강호, 이선균, 조여정, 최우식, 박소담, 장혜진, 이정은, 박명훈 등 기라성 같은 배우들의 명연과 봉준호 감독의..

미국 영화비평의 혁명가들 (2019) - 1940년대 평론가들은 미국 영화 문화를 어떻게 변화시켰는가

책소개 미국 영화평론의 선구자 오티스 퍼거슨, 제임스 에이지, 매니 파버, 파커 타일러 그들은 미국 영화 문화를 어떻게 변화시켰는가 영화와 관련된 어떤 직업을 꿈꾸었든, 영화를 공부해본 적이 있는 사람이라면 분명 데이비드 보드웰이 쓴 책은 한 권쯤 읽었을 것이다. 대학 교수직을 은퇴한 이후에도 왕성하게 운영하고 있는 그의 웹사이트는 온라인에 존재하는 가장 훌륭하고 믿음직한 최신 버전의 영화 백과사전에 다름 아니다. 데이비드 보드웰은 위스콘신-매디슨 대학의 영화연구전공 명예교수이다. 그는 1940년대 영화평론가들에 대한 시리즈를 자신의 웹사이트에 연재하였는데, 고대 그리스 시대에 신의 계시를 받아 서사시를 낭송했던 음유시인에 비유하여 그가 랩소드라 명명한 평론가는 오티스 퍼거슨, 제임스 에이지, 매니 파버..

영화 스타일의 역사 (2020)

책소개 촬영, 기술, 연출 등 영화 테크닉 안에서의 변화와 연속성에 관해 학자들이 어떻게 이해해왔는지를 분석하고, 영화 스타일의 역사를 기술하는 저자 자신의 관점을 보여주는 연구서이다. 영화 스타일을 미세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영화제작 과정 자체를 지켜보아야 한다는 관점하에, 제작 과정과 관련된 다양한 사례들을 꼼꼼히 분석하고 있다. 목차 제1장 영화가 보여주는 방식: 스타일 역사의 의미 제2장 제7예술의 옹호와 정의: 스타일 역사의 표준판형 영화 문화와 기본사 표준판형: 중심적 가정 사운드의 도래 바르데시, 브라실라, 그리고 표준판형 제3장 제7예술에 맞서: 앙드레 바쟁과 변증법적 프로그램 새로운 아방가르드 영화 언어의 진화 비순수 영화를 향하여 스타일의 역사에서 주제비평으로 제4장 모더니즘의 회귀: ..

영화의 이론 (2024) - 물리적 현실의 구원

책소개 “영화는 물리적 실재를 기록하고 드러낼 때 가장 영화다워진다.” 영화 매체의 매력과 본질, 그리고 우리 시대에 대한 크라카우어의 독창적 사유 많은 논쟁을 촉발한 문제작이자 영화 이론의 지평을 180도 바꾼 기념비적 저서 철학자이자 사회학자, 문화비평가, 영화이론가, 소설가 등 다방면에서 역량을 발휘한 종합 지식인이자 탁월한 에세이스트 지크프리트 크라카우어의 대표작 『영화의 이론』(김태환, 이경진 옮김)이 번역 출간되었다. 유대계 독일인이던 크라카우어는 나치의 박해를 피해 미국으로 망명한 뒤 세 권의 주저를 집필하는데(『칼리가리에서 히틀러로』와 『영화의 이론』, 그리고 유작인 『역사: 끝에서 두번째 세계』), 특히 이 책 『영화의 이론』은 영화 비평과 이론의 지평을 180도 바꾼 기념비적 저서로 평..

21세기 한국영화 - 웰메이드 영화에서 K-시네마로 (2020)

책소개 한국영화의 새로운 표준, 뉴노멀 시대의 한국영화를 묻다 2000년 이후 첫 20년간의 한국영화를 산업적·미학적·기술적으로 정리한 책. 2019년 한국영화 100년을 맞아 국내 유일의 영상 아카이브 기관인 한국영상자료원(KOFA)이 기획하고, 주제별 최고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영화산업 구조와 내적 성장을 살핀 총론부터 장르 변천, 감독과 미학, 독립장편극영화, 다큐멘터리 지형, 산업과 정책 및 기술 변화, 젠더 담론 등 지난 20년간 한국영화(산업)의 지형도를 그려 보인다. 목차 책을 펴내며 총론 - 21세기 한국영화: 르네상스부터 COVID-19까지 _김형석 압축성장과 모순 폭발의 20년 한국영화 르네상스 〈쉬리〉에서 〈괴물〉까지, 고속 성장의 시기 | 투자조합이라는 든든한 밑천 | 자본의 합종연횡..

1990년대 한국영화 - 우리가 알고 있는 한국영화의 모든 것 (2022)

책소개 굿바이 ‘방화’, 헬로우 ‘한국영화’ 한국영화 역사상 가장 역동적인 시기로 평가받는 1990년대 한국영화의 산업적 환경과 작품·영화인 등을 개괄 정리한 책이다. 한국영화 유산을 보존하고 그 가치를 현재화하는 사업을 펼치는 국내 유일의 영상 아카이브 기관인 한국영상자료원(KOFA)이 기획하고, 분야별 최고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90년대의 역동적인 사회문화적 변화상을 분석한 총론부터 장르 스펙트럼, 영화미학, 스타파워, 독립영화, 시네마테크 문화, VFX 기술 등 1990년대 10년간 한국영화(산업)의 다채로운 지형도를 그려 보인다. 이 밖에도 90년 한국영화의 결정적 순간을 담은 화보와, 영화제작자 14인의 인터뷰를 2부에 실어 당시 ‘영화판’ 밖과 안의 시각까지 입체적으로 조망했다. 1990년 6월..

이방인들의 영화 - 한국 독립영화가 세상과 마주하는 방식 (2023)

책소개 이름 없는 영화들이 있다. 극장 개봉을 해도 관객이 보러 가지 않는 영화, OTT에 서비스되어도 추천 목록에 뜨지 않는 영화, 영화제에서 상영되어도 평단의 관심을 받지 못하는 영화, 다시 말해서 영화산업 시스템의 바깥에 있는 예술영화, 독립영화, 실험영화, 대안영화가 그것이다. 한국 독립영화는 이방인에 의해 만들어지는 이방인을 위한 영화이다. 아직 이름 없는 영화로 존재하는 한국 독립영화는 관객에게 발견되기를 기다리고 있다. 목차 서문 5 1장 혼돈의 사회와 도시의 리듬 30 2장 영화의 도시에 대한 권리 72 3장 한국 독립 다큐멘터리가 역사와 벌이는 한판 내기 113 4장 현장을 전유하는 다큐멘터리 158 5장 불안에 대한 에세이적 성찰 203 6장 포스트 시네마적 상상 256 7장 이 지루함..